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액화석유 가스 (L. P. G) 와 산소 혼합물의 폭발특성 및 점화조건에 관한 연구

        최성락,심규선,김은식,윤석승,김웅,Sung Nak Choi,Kyu Sun Shim,Un Sik Kim,Sock Sung Yun,Ung Kim 대한화학회 1986 대한화학회지 Vol.30 No.4

        Detonation reaction in L.P.G./$O_2$ mixture gas has been investigated over the L.P.G. concentration range of 3∼45 volume%. The variation of detonation velocity with mixture ratio is very interesting as it shows and inflection point near at the stoichiometric ratio. This might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detonation reactions at fuel-rich condition and fuel-lean condition proceed via different mechanisms. The maximum detonation velocity of 2.65km/sec occurs not at stoichiometric ratio(${\phi}$=1) but at fuel-rich condition (${\phi}$=1.57). Assuming that a stable detonation wave must propagates with the constant velocity, The upper and lower limit of detonation were determined and found to be 40.0 and 3.40 L.P.G. volume% respectively. The shock-heating technique was also utilized for the measurement of self-ignition temperature onsetting a stable detonation wave at varous mixture ratios. The self-ignition temperature at stoichiometric ratio is $742{\pm}3{\circ}K$ and the self-ignition temperature increases as the mixture ratio deviates from the stoichiometric condition. 충격관을 사용하여 L.P.G./$O_2$혼합기체의 폭발반응에 대해 L.P.G. 농도 3~45 부피 % 범위에 걸쳐 조사하였다. 본실험조건하에서 폭발가능한 하한농도조건은 L.P.G.농도 3.4%, 상한농도조건은 40.0%로 측정되였다. L.P.G.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폭발파속도는 증가하였으나 당량비조건(${\phi}$=1, L.P.G. 농도 17.2%)에서 변곡점을 나타내었으며 최대속도는 당량비보다 1.57배 큰 농도조건(${\phi}$=1.57)에서 2.65km/sec를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량비근처에서 변곡점이 나타난 것은 L.P.G. 농도가 당량비보다 적은 조건과 당량비보다 큰 조건하에서 폭발반응메카니즘이 다른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충격가열 방식을 사용하여 L.P.G./$O_2$ 조성비에 따른 자동점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파를 형성시킬 수 있은 자동점화온도는 당량비조건에서 $742{\pm}3{\circ}K$의 최저값을 나타냈으며 당량비로 부터 벗어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KCI등재후보

        고고학에서 영상의 필요성과 영상고고학

        최성락,조우택,Choi, Sung Rak,Cho, Woo Tack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3

        영상매체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지난 20세기의 대표적인 영상이 사진이라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의 대표적인 영상은 동영상이다. 영상매체의 변화는 고고학 기록 수단의 변화를 가져왔다. 현장조사를 통해 물질적 자료를 획득하는 고고학의 특징으로 볼 때 신뢰성 있는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동영상의 활용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의 발굴과정은 하나의 콘텐츠로 볼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유적이나 유구의 입지적 환경, 불가피한 개발로 인한 경관 보존의 기록 수단으로서 혹은 인류의 기록 유산으로서 영상은 탁월한 효용성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영상은 고고학이 지닌 사회적 학문적 기능을 충실히 하기 위한 대중고고학으로의 전환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다면 고고학에서 시각자료의 기록과 보존을 위한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적극적인 대안으로 영상고고학을 제창한다. 영상고고학은 고고학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영상고고학의 연구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는 조사과정의 영상기록과 영상아카이브(기록관리)에 관한 연구이다. 둘째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미디어로서의 연구이다.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고고학 이론과 방법의 영역에서 심도 있게 다뤄져야 할 것이다. Changes in a society and visual media has a tight relationship. Photography represented the last 20th century in the visual media; while the 21st century we live in is represented by moving image(video). The change of visual media also brought changes to the archaeological recordings. As information is gathered from the field work in archaeology, it seems that use of video recording, a reliable way of collecting and recording data, will increase. The proces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can be considered as a contents itself. Also, video recording has many advantages when recording environmental surrounding of the sites and artifacts, for the reservation of the scenery, and as recorded heritage of the humankind. Video recording can be a tool of conversion to public archaeology to devote to its social and academic roles.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studying ways to record and preserve visual materials is essential in the field of archaeology and we should be prepared for it. We strongly propose reinstatement of the visual archaeology, which should be studied in archaeological perspective.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visual archaeology can be summarized into two. First is the study on the video recording during field work and the archive of video recordings. Second is the study on the media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More detailed and organize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in the archaeological theory and methods.

      • KCI등재

        체계적인 식품 위해 정보 수집.공유 체계 구축 방안

        최성락,Choi, Sung-Rak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7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7 No.3

        Food safety has been a growing consumer concern over the last few decades, and remains a priority for consumers, the food industry, and regulatory agencies alike. Although consumer concern for food safety has increased, consumer confidence has decreased. The emphasis on food safety is related to that of preliminary risk management. The ability to collect and provide food risk information is a key element in enhancing the way food safety authorities protect consumers from risk. This review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well as several countries' systems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food risk informatio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each system, this review proposes strategies to establish a systematic collecting of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infrastructure in Korea. To develop a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suited to Korea's situation,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strengthen interactions and cooperation with other trade partners through the enlargement of international networks. Such efforts on food risk communication should be made by providing high quality and clear information.

      • KCI등재

        음악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른 팝음악의 라우드니스와 다이내믹 레인지 변화에 관한 실증연구 : 1965년에서 2020년 빌보드 No.1 싱글 음원의 LUFS, PLR, LRA의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최성락(Sungrak Cho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본 연구는 최근 방송 및 음반 산업에서 디지털 콘텐츠 유통 환경에 적합한 오디오 마스터 표준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라우드니스(Loudness)에 대한 개념 및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러한 개념이1990년대 이후 음반 산업의 큰 이슈였던 라우드니스 전쟁(Loudness War)이라 불리는 음압경쟁현상 속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고찰해보며, 음반 산업의 초기부터 최근까지 발표된 팝 음악의 라우드니스 및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한 장르/연대별 추이를 실증적으로 고찰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65년부터 2020년까지 빌보드 연말차트(Billboard Year-End Chart)의 No.1 싱글곡을 대상으로 미국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애플뮤직(Apple Music)에서 해당 음원을 추출하여Integrated LUFS, True Peak, LRA(Loudness Range), 순간 최대 라우드니스(Maximum Momen tary LUFS) 등의 변수를 스펙트럼 분석기 Insight 2.0로 측정하였으며 해당 측정값들의 연대별시계열 분석, 장르/연대별 분산분석, 장르 간 차이분석(t-test), 연대 간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시계열 분석 결과, 분석대상 음악의 라우드니스 레벨(LUFS)은 1980~90년대에 비하여 최근평균 30%정도 상승하였고 PLR값으로 측정한 라우드니스의 다이내믹 레인지 또한 25%이상 증가하였다. 그리고 LRA값은 2000년대까지 작아지다가 2010년대 이후 30% 커지면서 라우드니스관점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 1980년대 이후 LUFS(Int.) 및 PLR의 분산 값이 지속적으로 작아지면서 음악라우드니스의 획일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Pop장르의 경우 2010년 이후 라우드니스 분산 값 이다시 커지면서 라우드니스 획일화 정도가 완화되고 있다. 장르 간 차이분석 결과, LRA값을 제외한 나머지 라우드니스 관련 변수들에서 분석대상 두 장르간 차이가 없고 전체적으로 비슷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대 간 차이분석 결과LUFS(Int.), True Peak, PLR, Max. Momentary LUFS 값이 연대별로 유의미하게 달라진 것으로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loudness, which has recently begun to be used as an audio mastering standard suitable for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in the broadcasting and music industry. The increasing loudness of music tracks has been a major issue in the music industry since the 1990s.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it is applied during the sound pressure competition phenomenon called the “Loudness War.”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trends of loudness and dynamic range of pop music by genre/age rel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record industry to the latest. To this end, the list of No. 1 single song on the Billboard Year-End chart from 1965 to 2020 was considered,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was extracted from Apple Music, an American music streaming service, and variables such as integrated LUFS, True Peak, LRA (Loudness Range), and Maximum Momentary LUFS were measured with a spectrum analyzer, “Insight 2.0.” Additionally, the time series analysis by age, variance by genre/age, t-test between genres, and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decad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loudness level (LUFS) of the music has recently increased by an average of 30% as compared to the 1980s and 1990s, and that the dynamic range of the loudness measured by the PLR value has also increased by more than 25%. Additionally, as the LRA value decreased until the 2000s and increased by 30% after the 2010s, it was found that the dynamic range in terms of loudness is expan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since the 1980s, the continuous decrease in the variance values of integrated LUFS and PLR have led to rise in the uniformity of the musi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r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res that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other loudness-related variables except for the LRA value, and the overall trend was similar. It was found to have changed significantly.

      • KCI등재

        게임이 청소년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최성락(Seong-Rak Choi),최정민(Jeong-Min Choi),서순복(Sun-Bok Seo) 한국게임학회 201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게임 수행이 청소년들의 행복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산 지역 중·고등학생들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게임 수행 여부는 청소년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게임을 한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의 행복도가 게임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의 행복도보다 유의미하게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어떤 게임을 수행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게임을 오래 하는지, 게임을 잘하는지 여부는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게임을 더 오래하고, 잘한다고 행복해지지는 않으며, 단지 게임을 하는가 여부가 행복도에 영향을 미쳤다. 게임 수행 여부 외에 행복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공부를 잘하는가 여부였다. 결론적으로 게임을 수행하는지 여부는 공부를 잘하는지와 같이 청소년들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다. 게임을 하는 청소년은 게임을 하지 않는 청소년보다 행복도가 높다. This study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game and adolescent’s happiness. By survey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this study want to find how playing game influences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result, playing game and having a good grade influences adolescent’s happiness. But whether one is good at game and how long one plays game are not the factors which influences adolescent’s happiness. The adolescents who play game are more happier than the adolescents who don’t play game. And playing game is more important factor to adolescent’s happiness than having a good grade.

      •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실체

        최성락 ( Choi Sung-rak ) 국립중앙박물관 2011 고고학지 Vol.17 No.-

        영산강유역의 실체를 해석하는 시각은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내부적인 관점에서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다면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실체는 어디까지나 재지세력에 의해 형성된 사회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실체를 고고학 자료가 아닌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야 한다면 4세기 후반 이후를 마한이라고 지칭할 수 없다. 이 보다는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후반까지 영산강유역의 실체를 新彌諸國으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 이다. 백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남지역은 4세기 후반에 일차적으로 백제의 영역에 포함된다. 이 시기 백제의 지방통치는 공납적 지배형태로 추정되지만 그러한 근거를 고고학 자료에서 찾기가 매우 어렵다. 다만 해남, 강진, 고흥 등 해로상에 자리잡고 있는 세력은 백제와의 관계가 밀접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남해안지역의 세력은 백제와 일본이 교류하는 통로에 위치하므로 쉽게 백제의 영향을 받을 수 있었던 반면에 영산강유역에 자리잡았던 옹관고분사회, 즉 新彌諸國에 미치는 백제의 영향이 미미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475년 한성백제의 붕괴 이후에는 영산강유역에 대한 백제의 영향력은 극히 낮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498년 동성왕의 親征으로 백제는 영산강유역의 지배권을 확보한 것이 분명하다. 그 형태는 왕후제나 담로제 등이 주장되었지만 왕후제의 형태가 더 가능성이 있다. 또한 5세기 말경에 나타나는 전방후원형 고분의 존재는 498년 동성왕의 무력시위를 낳게 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 때 백제가 지배권을 확보하였지만 6세기 중엽까지 영산강유역에서 백제의 문화 요소들이 본격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은 고고학 자료가 문헌기록보다 늦게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6세기 중엽경 五方制가 실시되면서 영산강유역은 백제의 지방으로 편입되었을 것이다. Various views exist regarding the true nature of the Yeongsan river basin.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plore the internal perspective. From this point of view, identity of the ancient society is defined by the preexisting regional power. However, ancient societ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should be named according to documented records, not by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therefore, this region at the late 4th century cannot be called Mahan. All we can say is that the entity of Yeongsan river basin from late 4th to late 5th century can be seen as the Shinmi-Jegug (新彌諸國, various small countries representing Shinmi). The Jeonnam region was part of Baekje after the late 4th century, when Baekje ruled provinces with tribute (貢納的 支配). However, since archaeological facts are difficult to find, we can only infer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following regions; Haenam, Gangjin and Goheung, areas in the sea route from Baekje to Japan. Southern sea regional power resided between Baekje and Japan, naturally being influenced by Baekje; but Baekje had trifling influence on the Shinmi-Jegug (新彌諸國)that resided in Yeongsan river basin. After Hanseong Baekje collapsed in the year 475, Baekje’s influence to Yeongsan river basin became weak. However, in the year 498, King Dongsung’s conquest brought Yeongsan river basin under the influence of Baekje in a form of ruling by kings and lords (王侯制)rather than a form of ruling by the loyal family (擔魯制). Also, keyhole shaped tombs (前方後圓形古墳)in the late 5th century brought about armed protest of King Dongsung. Even though Baekje ruled this region at this time, the reason for lack of Baeje’s cultural elements can only be explained as a late appearance of archaeological artifacts compared to documented records. In the mid 6th century, Oh-bang-jae (五方制, five district system) began which made Yeongsan river basin become part of Baekje.

      • KCI등재

        적극적 정책결정 전략으로서의 무의사결정

        최성락(Seong-Rak Choi),박민정(Min-Je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한국의 정책 현실에서는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지만 막상 정책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렇게 정책 결정이 지연되는 이유로는 적정한 정책 절차를 거치기 위해서 지연되는 경우, 이해관계자의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연되는 경우 등도 존재하지만, 이와 같은 사유만으로 정당화되지 않는 정책 지연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당화되지 않는 정책 지연은 정부에 의한 의도적인 무의사결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사례로 상암동 롯데복합쇼핑몰을 제시하고, 상암동 롯데복합쇼핑몰 정책 과정을 무의사결정의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엘리트층의 존재, 목적, 정책수단, 정책과정, 결과 등의 요소들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상암동 롯데복합쇼핑몰 건립 지연 사례는 정부의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무의사결정에 의한 것으로 추정될 수 있었다. 소극행정과 구분되는 정부의 전략적인 무의사결정에 대해 향후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Korea, there are many cases where policy decisions are not made even though it is a big social issue. Usually, the reasons for such delay in policy making are cases where it is delayed to go through an appropriate policy procedure, and there are cases where the consent of stakeholders is not obtained. But,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at a few policy delay in Korea can be explained by intentional non-decision-making by the government. Non-decision making is being made as a strategic and active strategy of the government. In this study, the case of Lotte Shopping Mall in Sangam was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non-decision making.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factors such as the existence of elite, purpose, policy tool, policy process, and result, it can be assumed that the policy delay of the Lotte Shopping Mall was caused by the governments active strategic decision. The governments strategic non-decision-making, which is distinct from passive administration, needs to be reviewe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역 축제 방문객 지출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최성락(Seong Rak Choi),김철회(Choel Hoi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11 관광연구저널 Vol.25 No.4

        These days, there are many local festivals led by local government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local festivals is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is important to increase visitors` scale of spending. However, existing previous studies do not suggest specific guidelines to increase the scale of spending. Therefore, in this study, authors suggest specific implication on which part local governments should put more focus on in order to increase visitors` scale of spending.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cale of spend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local festival shows that the spending on shopping increases as the satisfaction level goes up. Furthermore, the increase in spending on shopping indirectly affects the increase in overall scale of spending. There are various factors such as infrastructure, public relations, diversity and culture which lead to the success of local festival.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o come up with unique products of food.

      • KCI등재

        규제영향분석서에서의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분석: 의견수렴 절차 및 내용의 규제 과정을 중심으로

        최성락 ( Choi Seong Rak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4 No.4

        현재 규제 제정 과정에서는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중시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규제를 제정, 강화할 때에는 규제영향분석서 내에 이해관계자 사항을 필수적으로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2019년에 총 876건의 규제영향분석서가 입법예고시 공개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규제영향분석서 내의 이해관계자 부분을 분석하여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의 특성과 한계를 살펴본다. 규제영향분석서 내 이해관계자 부분을 분석한 결과, 표면적으로는 규제안에 대해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강조하지만, 실제 규제안이 마련되기 전에 의견 수렴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존재한다. 또한 규제로 인해 영향을 받는 전체 이해관계자에 대해 의견 수렴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규제 집행자, 규제 제정자 측에서의 의견 수렴이 주를 이루는 경우도 다수 존재한다. 또한 현재 규제영향분석서의 의견 수렴은 그 과정 및 내용이 불명확하다는 한계가 있다. 규제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제 이해관계자에 대한 의견 수렴 과정이 보다 개선될 필요가 있다. Currently, the process of enacting policies and regulations places importance on collecting opinions from stakeholders. Therefore, when enacting and reinforcing regulations, it is essential to review stakeholder opinions in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ollecting stakeholder opinions by analyzing the stakeholder part in regulatory impact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stakeholders in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it occupies a large proportion of cases where opinions are not collected before the actual regulatory proposal is prepared. In addition, the current regulatory impact analysis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process and contents are unclear.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egulation,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from regulatory stakeholders needs to be further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