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긍정적,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에서 불안통제의 매개효과

        최바올 한국교육치료학회 2022 교육치료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긍정적,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를 불안통제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 상태희망 척도로 구성하였다. 585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여 자료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변인 간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에 대한 긍정적 지각은 불안통제와 상태희망에 직접 영향을 미쳤고, 불안통제는 긍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은 불안통제에 직접 영향을 미쳤고, 상태희망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불안통제는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상태희망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통제 및 예측에 대한 주관적 판단에 따라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과정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즉, 스트레스를 대처할 만한 것으로 지각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차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스트레스에 처한 내담자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와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anxiety control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stress perceptions and state hope.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as composed of a perceived stress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anxiety control questionnaire, and a status hope scale. Answers from 585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confirm the fit of the data,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ositive stress perception had a direct impact on anxiety control and state hope, and anxiety control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stress perception and state hope. Negative stress perception did not directly affect the state of hope, but directly on anxiety control. Anxiety control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tress perception and state hope. The results imply individuals’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vary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appraisals about control and prediction of stress, suggesting it is adequate to evaluate clients’ personal perceptions of stress first and intervene based on them.

      • KCI등재

        부적응적 완벽주의, 무망, 우울, 심리적 극통 및 자살사고의 관계

        최바올,고은영,이소연,이은지,서영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3

        Psychache (i.e., unbearable psychological pain) has been hypothesized to be directly associated with suicide and mediate the effects of other relevant psychological factors.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hypothesis by investigating whether psychache uniquely explains the variance of suicidal ideation and mediates its relation with other risk factors (i.e., maladaptive perfectionism, hopelessness, and dep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417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that psychache uniquely explained the variance of suicidal ideation and exhibited greater 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than did the other risk factors.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link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uicidal ideation was fully mediated by hopelessness, depression, and psychache. The link betwee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depression and psychache. Finally,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psychache. 본 연구에서는 자살 관련 국내 선행연구들이 변인으로 채택하지 않았던 심리적 극통(psychache)을 자살사고의 예측변인으로 설정하고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 때 선행연구를 통해 자살의 위험요인으로 밝혀진 변인들(부적응적 완벽주의, 무망,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를 심리적 극통이 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직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N = 417)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심리적 극통이 포함된 모형은 그렇지 않은 모형에 비해 자살사고의 변량을 2% 더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사고에 대한 무망, 우울, 심리적 극통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심리적 극통의 직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망과 우울, 심리적 극통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살사고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살사고에 대한 무망의 직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살사고에 대한 우울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였고, 우울은 심리적 극통을 매개로 자살사고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살 관련 연구 및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20대 청년의 젠더갈등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최바올,백근영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24 젠더와 문화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남녀 20대의 젠더갈등 인식과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대 남녀 14명을 대상으로 집단심층면접을 실시하고, 면접내용을 반복적 비교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과 여성의 젠더갈등의 양상, 원인, 영향과 해결책에 대한 인식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공통적으로는 한국의 젠더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원인으로 남녀에게 사회적으로 부여되는 역할의 차이와 서로에 대한 공감과 이해 부족, 제한된 자원과 지나친 경쟁으로 인한 분노, 한국 문화와 사회의 특성을 지적하였고, 해결을 위해 개인의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태도와 체계적 접근의 필요성 등을 지적하였다. 이에 비해 차이점은 주로 젠더갈등의 원인에서 나타났다. 여성은 젠더갈등의 유발요인으로 여성에 대한 차별, 사회적 지위 및 경제적 지위의 차이 등을, 남성은 여성의 인권과 지위 향상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남녀의 젠더갈등에 대한 인식과 남녀차이를 면밀하게 탐색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how South Korean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perceive gender conflicts and to identify any differences in these perceptions between gende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participants, and the content was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findings revealed both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how men and women perceive the manifestations, causes, impacts, and solutions of gender conflicts. Both genders commonly acknowledged that gender conflicts in South Korea are perceived as severe. Commonly cited causes included differences in gender role socialization between men and women, lack of mutual empathy and understand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online media, anger arising from limited resources and intense competition, 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Differences appeared to shape the causes of gender conflicts. Specifically, women identified factors such as discrimination and differences in social and economic status, while men pointed to the improvement of women’s rights and statu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losely explores the perceptions of gender conflict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애 취약성 특성과 주관적 안녕감: 자기개념 명료성의 매개효과

        최바올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7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 between narcissistic vulnerability trait and subjective well-be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387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that self-concept clarit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vulnerability trai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direct effect from narcissistic vulnerability trait to self-concept clarity was negatively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effect from self-concept clarity to subjective well-being was positively significant. Narcissistic vulnerability trai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in the model with self-concept clarity, the direct effect from narcissistic vulnerability trait to subjective well-being turned to be in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undergraduates with high narcissistic vulnerabilit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기애의 하위 구인 중 자기애 취약성 특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 때 자기개념 명료성이 이 둘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를 모형으로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직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병리적 자기애 척도 중 자기애 취약성 척도, 자기개념 명료성 척도,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 정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애 취약성 특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자기개념명료성에 의해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효과를 살펴보면, 자기애 취약성은 자기개념 명료성에 부적인 영향을, 자기개념 명료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개념 명료성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자기애 취약성 특성이 있는 대학생 상담장면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애 취약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료성의 매개효과

        최바올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8

        본 연구는 자기애 취약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료성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들의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직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자기애 취약성, 이상섭식행동,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기개념 명료성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애 취약성과 이상섭식행동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기개념명료성에 의해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효과를 살펴보면, 자기애 취약성은 부적응적 완벽주의에 정적 영향을, 자기개념 명료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이상섭식행동에 정적 영향을, 자기개념 명료성은 이상섭식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료성의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자기애 취약성이 있는 대학생의 이상섭식행동 개입에 주는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 between narcissistic vulnerabil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383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that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elf-concept clarity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vulnerabil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The direct effect from narcissistic vulnerability to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effect to self-concept clarity was negatively significant. Also, the direct effect from Maladaptive perfectionism to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as positive, whereas the effect from self-concept clarity was negative. The both indirect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significant, meaning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elf-concept clar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vulnerabil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Implications for the undergraduates with high narcissistic vulnerability who have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행복플로리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연구

        최바올,조화진,조진주 한국인간발달학회 2023 人間發達硏究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flouris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verify the effect on flourish, resilienc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college adaptation. To this end,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ory and analysis of existing programs. To verify the effect,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14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9 males, 5 females) and 15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11 males, 4 females) who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lourish and college adaptation than the control group. A paired sample t-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flourish, resilience, life satisfaction, and college adap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self-esteem decreased, and psychological distress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control group,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lowered, and changes in other values were not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 valid program that can be used in universities to promote the flourish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애 취약성 및 웅대성과 부적응적 완벽주의에 따른 집단 분류와 이상섭식행동의 집단 간 차이

        최바올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4

        The present study explored how group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sub-factors of narcissism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investigated group differences i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Using cluster analysis with data from 383 college students, three clusters of narcissism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combinations are identified in terms of the scores: ‘Low narcissism-perfectionism group’, ‘Non narcissism-perfectionism group’, and ‘High narcissism-perfectionism group’. Of the three clusters, ‘High narcissism-perfectionism group’presented the most anorexic behavior, then‘Non narcissism-perfectionism group’ and ‘Low narcissism-perfectionism group’ followed in order. In bulimic behavior, ‘High narcissism-perfectionism group’and‘Non narcissism-perfectionism group’showed higher frequency than ‘Low narcissism-perfectionism group’. Implications for the undergraduates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 하위요인인 취약성 및 웅대성과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하위요인을 조합할 때 어떤 집단이 형성되는지 알아보고, 이 집단들이 이상섭식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83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자기애-완벽주의 집단, 비자기애-완벽주의 집단, 낮은 자기애-완벽주의 집단 세 개의 자연 발생적 군집이 형성되었다. 세 집단이 이상섭식행동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한 결과, 거식행동과 폭식행동의 양상이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거식행동은 높은 자기애-완벽주의 집단, 비자기애-완벽주의 집단, 낮은 자기애-완벽주의 집단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반면, 폭식행동은 높은 자기애-완벽주의 집단과 비자기애-완벽주의 집단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낮은 자기애-완벽주의 집단은 두 집단에 비해 폭식 행동이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대학생 상담장면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자살 사후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최바올(Baole Choi),서영석(Young Seok Seo)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미래교육학연구 Vol.23 No.2

        유명인이나 주변인의 자살은 남은 사람들에게 매우 크고 파괴적인 영양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자살 사후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연구한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또한 국내외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살 사후개입(suicide postvention)이라는 키워드로 관련 연구물과 프로그램을 검색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자살사건이 발생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한국형 초등학교 자살 사후개입 프로그램(Korean Post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KPPE)을 제시하였다. 특히, Roberts 등(1998)이 개발한 TEAM 접근법을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자살 사후개입에 지니는 의의와 제안점을 논하였다. A close person's or celebrities' suicide has vast and devastating effects on suicide surviv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based postvention program especially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s. The literature on children's perceptions of death was reviewed, and Korean Post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KPPE), a school-based postvention program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TEAM approach developed by Roberts et al.(1998).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여대생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최바올(Choi Bao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Data from 30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self-concept clarity had negative effect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positive effect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ncept clarity affects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rou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counseling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서울의 4개 대학 홈페이지에 연구참여 홍보문을 게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 생 302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모형은 자료에 적합하였다. 변인 간 직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개념 명료성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이상섭식행동에 정적 영향 을 미쳤다. 자기개념 명료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간접효과 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가 문헌과 교육 및 상담현장에 주는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성역할태도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향희,최바올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general self-efficacy, and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Data from 46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s from gender role attitudes to purposefulness and independe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to readiness was not significant among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for male students, the paths of gender role attitudes to deciveness and assurance were insignificant, while female students’ paths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hird, for femal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general self-efficacy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and deciveness/assurance were significant. Fourth, general self-efficacy of male student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and deciveness/assuranc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ve traditional or progressive gender role attitud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이 지각한 성역할태도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강원․충남․전남․세종․대전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하였으며, 총 463명으로부터 얻은 테이터를 통해 본인이 지각한 성역할태도, 진로태도성숙,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측정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한 뒤 구조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남녀 대학생의 성역할태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목적성과 독립성은 유의하였으나, 준비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진로태도성숙으로 가는 경로에서는 목적성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남학생은 성역할태도에서 결정성, 확신성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여학생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은 성역할태도와 결정성, 확신성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남학생은 성역할태도와 결정성, 확신성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을 높이고 보다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남녀학생의 평등적인 성역할에 대한 인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진 학생의 경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관련 교육 및 상담을 통해 진로태도성숙이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