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상분할에 근거한 공간영역에서의 다중워터마킹

        최미순,이정환 安東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2000 공업기술연구논문집 Vol.7 No.1

        본 논문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다중워터마킹 기법을 연구하였다. 제안방법은 LoG 필터링을 이용하여 원 영상을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에 서로 다른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다중워터마킹을 연구하였다. 제안방법은 공간영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삽입되는 각각의 워터마크는 64bit 이진영상을 사용하였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워터마킹된 영상에 JPEG영상압축, blurring 및 cropping 등을 수행한 후 워터마크를 검출하였으며 및 정규화된 상관계수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cribed a method of multi-watermarking based on image segmentation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The image segmentation using LoG filter is processed, and multi-watermarking are applied in the segmented regions. Watermarks used in this method are binary images with 64bits size. For performance evaluation, several attacks such as JPEG, blurring, and cropping are applied in the watermarked images. PSNR and normalized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used as evaluation paramet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학습 프로그램 수요 및 요구도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연구

        최미순,조혜영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learning capability according to the demand of learning progra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738 S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learning capabil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learning programs,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in participating in learning programs.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in not participating in learning programs.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in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learning. Fifth, learning capabilities in specific areas that students wanted to improv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본 연구는 학습 프로그램 수요 및 요구도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재학 중인 1,738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는 정보구성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는 정보구성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는 정보구성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학습의 어려운 점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는 정보구성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향상시키고 싶은 학습 분야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정보구성능력과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자기개선 및 사회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량중심 학습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학습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자기결정성 동기에 따른 학습역량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최미순(Choi, Mee-Soon),조혜영(Jo,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동기에 따른 학습역량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S대학교 보건⋅스포츠 계열 재학생 228명이 연구대상이며, SPSS 20.0과 AMOS 18.0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몰입은 학습역량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하위변인을 중심으로 학습몰입을 보면, 인지적 몰입은 자기결정성 동기의 무동기, 외적조절과 부적 상관관계, 동일시조절, 통합조절, 내재적동기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내사조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감성적 몰입은 자기결정성 동기의 무동기, 외적조절과 부적 상관관계, 내사조절, 동일시조절, 통합조절, 내재적동기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행동적 몰입은 자기결정성 동기의 내사조절, 동일시조절, 통합조절, 내재적동기는 정적 상관관계, 무동기, 외적조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무동기와 외적조절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학습역량이 완전 매개하며, 내사조절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학습역량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일시조절, 통합조절, 내재적동기가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학습역량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택트 시대를 맞이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태도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여 효과적인 학습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immersion according to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228 students from the health and sports departments of S University were studied and analyzed with SPSS 20. and AMOS 18.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learning immers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ability. In terms of variable-centered approach, cognitive immersion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amotivation i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external regulation. It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identified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it doesn 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trojected regulation. Emotional immersion shows negative correlations with amotivation i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external regulation. It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Behavioral immersion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but it doesn 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ternal regulation. Secondly, learning ability completely mediates in the process of amotiv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affect learning immersi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bility didn t show up in the process of introjected regulation affecting learning immersion. It shows that learning ability partially mediates in the process of identified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ffecting learning immer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se results confirm the importance of learners active attitudes in the ‘UNTACT’ era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esenting effective learning directions.

      • KCI등재

        세계 여러 나라 전통놀이를 통한 다문화교육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미순 ( Mi Sun Choi ),권경숙 ( Kyung Sook Kw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 여러 나라 전통놀이를 구성하고, 이를 적용한 다문화교육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와 유아의 태도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S구에 소재하고 있으며, 규모와 지역적 특성이 비슷한 2개 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38명으로, 본 연구에서 구성한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놀이를 15주간 실험집단에서 실시 하였고, 유치원 일과 중 유아들의 모습을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세계 여러 나라 전통놀이를 통한 다문화 교육은 유아들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들은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놀이를 여러 놀이 상황에서 스스로 즐기는 모습을 보였으며, 우리나라 전통놀이와 다른 나라 전통놀이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 이해를 바탕으로 다른 나라 놀이를 자연스럽게 즐기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유아들은 하나의 교실 안에서 세계 여러 나라 문화에 대한 공존의 경험을 하였으며, 이는 유아들로 하여금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plays of diverse countries around the world on young children`s awareness and attitude; its purpose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attitude and behavioral change after receiv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research`s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plays of diverse countries around the world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awareness score.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in consideration, respect, and openness toward multi-culture,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at it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so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other sub-factor,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e. This result show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plays of diverse countries around the world was effective in changing consideration, respect, openness toward multi-culture, all of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awareness. Second, to examine children`s attitude and behavioral change in the begin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plays of diverse countries around the world, children showed little interest in multi-culture and low participation rate in activities. However, as experiment continued, children showed positive attitude and behavioral change as they began to have more interests in multi-culture and participate in not only Korean traditional plays but also other countries` traditional plays.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plays of diverse countries around the world positively influences children`s attitude and behavioral change in multicultural awareness.

      • KCI등재

        대학생의 교수자율성 지지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습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최미순(Choi, Mee-Soon),조혜영(Jo,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교수자율성 지지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습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대학교 재학생 50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SPSS 20.0과 AMOS 18.0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교수자율성 지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학습역량(정보구성 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 학습몰입(인지적몰입, 감성적몰입, 행동적몰입)과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선호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자율성 지지가 학습몰입과 학습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지만,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이 매개요인으로서 효과성이 입증된 것으로 교사자율성 지지가 학습역량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이 중요한 요인임을 다시금 확인시켜 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는 4차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 autonomy support and self-efficacy,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ability. For this, 505 students from S University were studied and analyzed with SPSS 20. and AMOS 18.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in terms of teacher s autonomy support, i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ability(information ability,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learning immersion(cognitive immersion, emotional immersion, behavioral immersion) and self-efficacy(confidence, self-regulating efficacy), but it does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of self-efficacy. Second, support of teacher s autonomy does not directly affect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ability, but it shows that it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um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has proven to be effective as a medium, and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teacher s autonomy support affecting learning abilit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or capacity-oriented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methods should be established to strengthen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