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약학대학 학생들의 교과외활동 현황 평가 및 동기에 대한 분석

        최미나,김수지,임성실,이윤정,Choi, Mina,Kim, Suzy,Lim, Sung Cil,Lee, Yun Jeong 대한약학회 2016 약학회지 Vol.60 No.3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voluntary participations that students engage in outside of classroom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Korean pharmacy students' degree of involvement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motivations behind participation, and influences from those engagements. The study was performed as a voluntary online survey to pharmacy students in four pharmacy schools in Korea and a total of 188 students participated. Sixty-one percent and 34% of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involved in at least on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school, and out-of-school, respectively. Areas with most involvements were arts/music/sports (73%), followed by volunteer activities (31%). Thirty two percent responded that they have been involved in research internships, followed by 15% and 10% in pharmaceutical company and community pharmacy internships, respectively. For motivations behind involvement, students indicated that their involvement was for hobby (72%) and networking (38%). In conclusion, while Korean pharmacy students actively engag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range of activities was limited in scope, and most students were involved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hobbies rather than for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for student involvement in various pharmacy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internships in the pharmacy work setting would provide valuable experiences for pharmacy students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pharmacist.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에 따른 학습자 특성과 이러닝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 모바일러닝 수강동기 분석

        최미나(Choi, Mina),노혜란(Rho, Hye-L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대학이러닝에서 수강생들의 학습스타일을 규명하고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에 대한 학습효과와 향후 모바일러닝을 수강을 하고자 하는 수강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러닝 만족도와 모바일러닝 수강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학습스타일 진단을 위하여 Gregorc의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C 대학교에서 이러닝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161개의 유효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학습스타일은 구체순차형이 가장 많았고, 남학생은 구체순차형이 여학생은 추상임의형이 많았다. 둘째,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었다. 구체순차형의 학습자가 구체임의형 학습자보다 성적이 높았다. 셋째,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 만족도 중 ‘이러닝에서의 상호작용의 충분성’에 대하여 구체순차형 학습자의 만족도가 구체임의형보다 높았다. 넷째, 학습스타일에 따른 모바일러닝 수강 동기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학습스타일과 학년, 전공에 따른 이러닝 학업성취도와 이러닝 만족도, 모바일러닝 수강동기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습스타일과 성별에 따른 모바일러닝 수강동기 중 일부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체순차형의 여학생의 모바일러닝 전공관련에 대한 동기가 높았고 추상구체형 여학생의 모바일러닝 축약된 핵심내용에 대한 동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닝과 모바일러닝에서 학습효과를 발휘하는 학습자의 특성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학습자 분석에 기반한 이러닝 및 모바일러닝 지원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in University By analyzing the previous relevant research, it has developed 10 items for measuring e-learning satisfaction and 14 items for measuring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To diagnose learning style, I used Gregorc’s Questionaries. The study conducted in June 2015 for students who have taken the e-learning course in University at Chungbuk, 161 valid data was collected. By statistics analysis such as cross-tabulation analysis, ANOVA and MANOVA, I have a several meaningful result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ing style. CS type was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CR type.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CS type was higher e-learning satisfaction than CR type for interaction sufficiency. Third,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Finally,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and gender, but there is in motive. Concerning to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CS type’s female has been a high motive for major need, and AS type’s female has been a high motive for mobile learning’s abbreviation. This study, by identifying what learner’s characteristics was to learning effect in e-learning provides a support plan for e-learning and mobile learning.

      • 대학의 동료튜터링에서 튜터와 튜티 특성에 따른 동료튜터링 운영실태와 요구에 대한 인식 분석

        최미나(Choi, Mina)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튜터링에서 튜터와 튜티의 특성에 따라 동료튜터링 운영실태와 요구에 대해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튜터·튜티 역할구분, 성별, 전공계열, 학년, 래포형성 수준에 따른 운영실태와 요구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C대학 동료튜터링 프로그램 참가자 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할구분에 따라 튜터·튜티 선정 요건, 튜터링 기간에 대해, 성별에 따라서는 팀 형태에 대한 요구에 차이가 있었다. 전공계열에 따라 튜터링 장소에 차이가 있었고, 학년에 따라서는 튜터링기간에 대한 요구에, 래포형성 수준에 따라서는 부족요인과 1회당 만남시간에 대해 인식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팀구성시 튜터와 튜티의 성적 이외에 성격, 친분과 같은 인간적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고, 성별과 학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튜터링 운영방식 계획 시 학년과 계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aps of awareness about operating conditions and needs according to tutor and tutee’s characters in a peer tutoring program. In order to investigate awareness about operating conditions and needs according to a role in a tutoring team, gender, major, grade and rapport’s level, I conducted a survey of 74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of ‘C’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that are tutor and tutee’s needs about the selection condition of tutor and tutee, the period of the tutoring program.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gaps in needs about team type according to gender. Thir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needs about the period of the tutoring program. Final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about factors of insufficiency and a tutoring time according to the level of rapport in tutoring team. Judging from this result, It suggests that a manager of the tutoring team should consider to tutor and tutee’s the human factor such as characters and affinity except academic achievement, gender and grade when he organize a tutoring team.

      • 전자책과 학습의 융합으로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이슈 및 과제

        최미나(Mina Choi) 한국전자출판학회 2012 전자출판연구 Vol.2012 No.2

        세계적으로 전자책 시장의 폭발적 증가와 더불어,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시장도 증가됨에 따라, 디지털교과서의 적용 및 확산을 위해 디지털 교과서를 둘러싼 다양한 이슈와 과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과 최신 동향 등을 살펴보고, 융합 콘텐츠로서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는 이슈 및 과제를 도출하여 디지털 교과서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융합 콘텐츠로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첫째, 학습으로서의 디지털 교과서 측면에서 이러닝과 디지털 교과서간의 상호보완과 차별화, 둘째, 전자출판으로서 디지털 교과서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가 전자출판 산업에 주는 시사점, 셋째, 혁신적 융합 콘텐츠로서 디지털 교과서 측면에서 스마트한 융합 콘텐츠로서의 기능과 역할 등에 대한 이슈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이슈 및 과제에 대한 심도 깊은 숙고와 면밀한 연구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대구지역 장애인의 보조공학 서비스에 대한 수요 조사

        최미나 ( Mina Choi ),이근민 ( Kun Min Rhee ),송병섭 ( Byung Seop S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들 대상으로 보조공학 서비스 에 대한 수요 조사를 실시하고, 그들의 주된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9년 8월 ~ 9월에 걸쳐 총200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113명의 설문지를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구광역시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할 보조공학 서비스 센터가 필요하며, 정보제공, 상담 및 평가, 보조기기 맞춤 제작 및 개조의 업무를 우선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장애인들이 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 지방 자치단체 및 공적급여 등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된 결과는 향후 지역사회 기반 보조공학 서비스가 실시될 경우 사업 규모 책정, 계획 수립, 보조공학 서비스 센터 운영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Daegu city on their demand for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and to identify their primary needs. The survey had carried out from August 2009 to September 2009. And 200 had participated in survey, 113 of availabl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setting up a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which aimed at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Daegu city was identified. Tasks like information provision, consultation and evaluation, manufacture and modification devices and user training should be performed by assistive technology experts and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 public benefit, and health insurance were needed in using assistiv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pected to be used as a groundwork for decision of scale, devisal of plan and management of further community-bas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 STR - Tree : 계층 공간 분할을 이용한 다차원 정적 데이터 색인

        최미나(Mina Choi),문정욱(Jung-Wook Moon),이기준(Ki-Joune Li)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B

        최근 다차원 공간색인 방법의 성능 향상을 위해 근사법을 사용하여 노드의 팬아웃을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많이 행해졌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색인 구조의 정확성이 떨어져 불필요한 노드를 방문할 확률을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적 데이터에 대하여 노드의 팬아웃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향식 STR 공간분할방법을 사용한 새로운 색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공간분할방법을 사용하므로 근사법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정확성이 높을 뿐 아니라 하향식 계층 STR을 제안하여 STR 공간 분할방법을 효율적으로 트리 구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이중분할 방법을 제안하여 점 데이터 및 사각형 데이터의 색인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사장 공간을 줄여 불필요한 노드의 방문을 막아 성능을 향상시켰다.

      • KCI등재

        공과대학생의 이러닝 강좌 수강행태, 수강동기, 만족도에 관한 연구

        최미나(Mina Choi) 한국공학교육학회 2012 공학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 preliminary data and suggestion for introducing and spreading e-learning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analyzing learning behaviors, learning motivations, and satisfaction of e-learning engineering students. Especially, this comparative study analyzes each research domain according to majors and grades, thereby suggesting more specific and practical results. 2,745 students registered in 38 subjects of e-learning in 2 Universiti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study result shows that engineering students are attending around 2 e-learning subjects with a duration of about 30 minutes once a week The main of learning motivation for e-learning was not easy test level and feasibility of acquiring credit but advantages of e-learning such as freedom of time and space, learning by repetition. The satisfaction scores of e-learning were lower compared to the aspects of system and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an active spread of e-learning to engineering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the demand from the engineering students is high enough and they have desirable learning behavior and learning motivation for it.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grade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on operation of e-learning. Third, a successful e-learning process needs more meticulous and active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