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담자 인상형성 척도의 개발

        최가희,조성호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社會科學硏究 Vol.18 No.-

        상담과정 및 성과에서 상담자 측면은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임에서 불구하고 상담자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과정 및 성과에서 상담자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지각, 즉 인상형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가희(2002)가 사용한 주관적 인상형성 질문지와 치료적 인상형성 질문지를 토대로 59문항의 상담자 인상형성 척도를 제작하였고, 146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상담자 인상형성 질문지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7개의 요인은 각각 '긍정적 상담성과' '상담자의 촉진적 태도' '내담자 매력' '치료적 개입의 용이성' '내담자 정서적 안정성' '내담자 저항수준' '내담자 진실성'으로 명명되었다. 또한 내담자에 대한 인상형성 척도는 .94의 내적합치도를 보여 비교적 신뢰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주관적인 인상형성과 치료적 인상형성이 구별된 요인으로 묶이는 것을 보여 주었고, 이론적으로만 구분되었던 주관적 인상형성과 치료적 인상형성을 경험적으로 지지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들을 제시하였다. Although therapis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unseling, research related to therapist has been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rapists' Impression-Formation Scale. For this. Therapist's Impression-Formation Scale was administered to 146 therapists. The scale is based on Personal Impression-Formation and Therapeutic Impression-Formation scales developed by Choi(2002). Seven factors were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of the scale, and they were named as positive therapy outcome, therapist's encouraging attitudes, client's attractiveness, easines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client's subjective well-being, client's resistance level, client's sincerity. Each factors reflect personal impression-formation and therapeutic impression-form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the personal impression-formation and therapeutic impression-formation, and this scale can be useful on the research related to therapist.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ARX모델기반 가상센싱을 통한 사장교 케이블의 장력 추정

        최가희,신수봉 한국지진공학회 2017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21 No.6

        Sometimes,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sensor on a certain location of a structure due to the size of a structure or poor surrounding environments. Even if possible, sensors can be frequently malfunctioned or improperly operated due to lack of adequate maintenance. These kind of problems are solved by the virtual sensing methods in various engineering fields. Virtual sensing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an measure data even though there is no physical sensor. It is expected that this technology can be also applied to the construction field effectively. In this study, a virtual sensing technology based on ARX model is proposed. An ARX model is defined by using the simulated data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rather than by actually measured data. The ARX-based virtual sensing model can be applied to estimate unmeasured response using a transfer function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oint data. In this study, a simulation and experimental study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proposed virtual sensing method with a laboratory test on a cable-stayed model bridge. Acceleration measured at a girder is transformed to estimate a cable tension through the ARX model-based virtual sensing.

      • KCI등재

        Interference in xbp1 gene expression induces defective cell differentiation and sensory organ development in Drosophila

        최가희,박승환,황수진,한승엽,홍윤기,이민정,이수진,조경상 한국유전학회 2010 Genes & Genomics Vol.32 No.3

        The X-box binding protein 1 (Xbp1) is a transcription factor that is important in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to protect cells from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and is implicated in several other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liver growth and B lymphocyte differentiation. Although the cellular function of Xbp1 has been well studied, its developmental role remains to be elucidat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role of Drosophila xbp1 using an RNAi-mediated gene silencing system. When xbp1 gene expression was specifically interfered with in developing tissues, such as wing and eye during larval growth, the tissues were strongly deformed. Cell death was not observed in these tissues, and this phenotype was not rescued by the overexpression of Drosophila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1 (DIAP1), a caspase inhibitor, indicating that these developmental defects are not associated with apoptosis. Furthermore,changes were not observed in cell cycle progression and Jun-N-terminal kinase activation in tissues whose xbp1 gene expression was interfered with. Rather, the xbp1 gene silencing resulted in defective cell differentiation and supernumerary of sensory organ precursors. These results suggest the inability of xbp1gene silencing to induce strong ER stress and the importance of Drosophila Xbp1 in cell fate determination and sensory organ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인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과의 접촉이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와 현실갈등인식의 매개효과

        최가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5 No.4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Korean students’ contact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on Korean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ies. This study also examined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and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between contact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and multicultural competencies. For the purpose, 384 Korean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contacts, life satisfaction, realistic conflicts perception toward international students, everyday multicultural competencie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mber of contacts predicts cultural self-efficacy and cultural knowledge, whereas contact diversity predicts cultural openness. Life Satisfaction predicts cultural openness, cultural self-efficacy, and cultural knowledge, and realistic conflicts perception predicts all subscales of everyday multicultural competencies scale other than cultural knowledge. Results also discovered that life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act divers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ies, but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did not mediate between contact divers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to enhance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과의 접촉이 한국인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삶의 만족도와 현실갈등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과의 접촉은 접촉의 수, 접촉의 빈도, 접촉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출신 지역 다양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한국인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상의 다문화 역량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총 384명의 대학생이 접촉, 일상의 다문화 역량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현실갈등인식 등을 포함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접촉 수는 문화적 자기효능감과 문화적 지식에, 접촉 다양성은 문화적 개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만족도는 문화적 공감을 제외한 다문화 역량의 세 개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실갈등인식은 다문화 역량의 문화적 지식을 제외한 다문화 역량의 세 개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와 현실갈등인식을 각각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접촉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만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점점 그 구성원이 다양화되고 있는 대학 문화 내에서 한국인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과 내담자에 대한 인상형성

        최가희,조성호 한국상담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4 No.4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impression formation on a client according to the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he impression formation was examined both in the personal impression formation and the therapeutic impression formation. The personal impression formation is a subjective view which the therapist has on the client. The therapeutic impression formation is the one that concerns therapeutic assessment and therapeutic plan for the client.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in the personal impression formation among therapists with different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but there would be in therapeutic impression formation. To inspect the hypothesis, five scenarios of a fictional client were written and then 30 men and women were asked to evaluate them on their pathological seriousness and vividness. Selecting the most and least pathologically evaluated scenarios, two forms of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upon either of them. Then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41 therapist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sonal impression formation but there was in the therapeutic impr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f the therapist. That is, in the therapeutic impression formation, therapists with high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produced higher scores than therapists with low one, which means that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is that we cannot too mu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therapist's ability in controling his or her inner reaction to the client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 수준에 따라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해 형성하는 주관적 인상형성과 치료적 인상형성에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관적 인상형성이란 상담자가 내담자 개인에 대해 어떠한 인간적 인상을 형성하는가를 말하고, 치료적 인상형성이란 내담자에 대한 치료적 평가와 치료계획에 관련된 인상형성을 말한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 수준에 따라 주관적인 인상형성에서는 차이가 없을 것이나, 치료적 인상형성에서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상담자에게 강한 인상을 줄 수 있는 가상의 내담자를 묘사한 시나리오 다섯 개를 제작한 후, 30명의 일반인에게 각 시나리오의 심각성과 생생함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가장 심각하다고 평가된 시나리오와 가장 덜 심각하다고 평가된 시나리오를 본 연구에 사용하기로 하고, 두 가지 시나리오가 각각 포함된 두 유형의 설문지를 제작하여 총 141명의 상담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 수준에 따라 내담자에 대한 주관적 인상형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치료적 인상형성에서는 역전이 관리 능력 수준이 높은 상담자가 낮은 상담자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여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한 자신의 내적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상담과정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면밀히 살펴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사회정의와 상담심리의 역할

        최가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2

        상담심리학자들이 전통적인 역할을 넘어, 사회변화와 사회정의를 위한 행위자로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고정관념과 차별에 근거한 모든 형태의 억압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움직임이 최근 북미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담심리학자들이 자신의 사회화 과정에 대해 면밀하게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대중강연, 심리교육, 로비활동, 언론을 통한 설득 등을 통해 소외집단의 고통에 기저 하는 사회 환경적 맥락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사회변화를 이루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것이 사회정의적 접근의 핵심이다. 본 논문은 사회정의적 접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문화 상담의 원리를 알아보고, 사회정의의 실행과 상담자 훈련모델 및 사회정의적 연구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상담심리학이 사회정의적 접근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소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사회정의적 접근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한국의 상황에서 사회정의적 접근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고, 이후 활발한 논의를 위한 장을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Given the influence of socio-environmental factors on clients’ presenting problems, there have been calls for counseling psychologists to expand their role beyond traditional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to embrace social justice principles. Whereas counseling psychologists should develop self-awareness and cultural sensitivity to work with clients from marginalized groups, counseling psychologists also contribute to social change by adopting a macro-level approach and helping social problems more visible. This article introduces concepts of social justice, starting from definition of social justice to discussion of multicultural counseling theory, implementation of social justice, and social justice training models. Finally, this article discusses how to conduct social justice research, specifically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의 다문화 접촉경험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 조망수용과 편견의 매개효과

        최가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9 No.3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contacts on multicultural competency. This study also examined mediating effects of perspective taking and prejudice. Multicultural contacts were divided into quality of contacts and quantity of contacts. Effects of quality and quantity of contacts on multicultural competency through perspective taking and prejudice were separately analyzed using two models. For the purpose, 642 Korean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multicultural contacts, multicultural competency, perspective taking, prejudice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quality and quantity of contacts are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competency, but quality of contacts a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competency. Also, perspective taking and prejudi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contacts and multicultural competency while mediators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y of contacts and multicultural competency.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imate and positive contacts with outgroup members help enhance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y through increased perspective taking and prejudice reduction. Futur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should focus on increasing the quality of multicultural contacts and help them with perspective taking, and reducing prejudice. 본 연구는 대학생의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조망수용과 편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문화 접촉은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였고, 접촉의 양과 질 각각이 조망수용과 편견을 통해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총 642명의 대학생이 접촉, 일상의 다문화 역량, 조망수용, 편견 등을 포함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접촉의 양과 질 모두가 다문화 역량에 유의미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접촉의 질적인 측면이 양적인 측면에 비해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망수용과 편견은 접촉의 질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접촉의 양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과의 교류가 친밀하고 긍정적일 때 조망수용 증진과 편견 감소를 통하여 다문화 역량 함양이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은 교류의 질적인 측면에 집중하여 조망수용 증진과 편견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계층에 따른 군집유형: 우울, 불안, 정신적 웰빙, 대처 전략 및 심리상담 이용경험과의 관계

        최가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social class clusters and examin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unseling accessibility across clusters. It also aimed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lass clusters and aspects of mental health. Data from 617 Korean adults were analyzed. The clusters revealed were: Optimistic Social Class Perception, Negative Social Class Perception, High Social Class, and Low Social Class. MANOVA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social class clusters in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the mental health continnum,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Active coping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clusters and mental health continuum.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nseling accessibility were found across clusters. This study added empirical evidence to social class literature and pointed to the critical role that social class may play in understanding mental health issues. 본 연구는 객관적․주관적 사회계층에 따른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에 따라 우울, 불안, 정신적 웰빙, 대처 전략 및 심리상담 이용경험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계층 군집과 우울, 불안,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적극적 대처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617명 성인의 설문 응답을 사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객관적 사회계층과 주관적 사회계층의 수준에 따라 낙관적 사회계층 인식 군집, 비관적 사회계층 인식 군집, 높은 사회계층 군집, 낮은 사회계층 군집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군집에 따른 심리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각 집단에 따라 우울, 불안, 정신적 웰빙, 적극적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각 군집과 우울, 불안,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군집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적극적 대처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계층 군집에 따른 심리상담이용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계층을 객관적인 측면과 주관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회계층에 대해 입체적으로 살펴보고, 사회계층이 단순히 인구통계학적 배경이 아니라 내담자의 내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