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1940년대 ‘식민지 이중언어문학 장’ 국가와 시장을 둘러싼 언어선택과 문학제도의 재편에 관한 고찰

        차혜영 상허학회 2013 상허학보 Vol.39 No.-

        본고는 식민지 시대 일본어글쓰기의 위상과 의미를, 1934년~1943년까지 『삼천리』, 『경성일보』, 『국민문학』의 조선문학 및 일본어글쓰기에 관한 좌담회를 대상으로, 식민지 이중언어 체계와 자본주의적 근대문학제도라는 문제틀 속에서 태평양 전쟁 이전과 이후와의 내적 연속성의 관점을 견지하며 살펴보았다. 입론적 개괄로서의 2장에서 식민지 시대 문학제도를, 식민지 이중언어체계라는 국가적 축과 근대문학제도라는 자본주의 문화제도라는 두 축으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문화정치의 시기를 통해 신문과 잡지 등의 미디어와 출판시장, 가격이 책정된 상품으로서의 책, 독서공중의 존재, 1926년부터 시작된 라디오 방송, 영화, 문화상품으로서의 대중잡지 등 다른 문화상품들 과 경쟁하는 콘테츠로서의 자본주의 문화상품 및 근대문학제도로서 성장해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2차교육령기(1922-1937) 조선어 학교교육의 실시, 민간에서의 문화적 경로를 통한 언어 및 문학 교육 재생산, 그리고 치안유지법과 검열, 카프의 해산 등에서 보듯이, 국가권력의 유동적`상시적 개입을 통해 문학제도 구성의 한축으로서의 국가적 차원을 상정할 수 있다고 논했다. 그래서 식민지 이중언어체계하 1922~1938까지 약 15~20년의 시간은 한편에서는 자본주의 근대문학제도로서 한글로 쓰어진 조선문학이 명실상부하게 발전해 온 시간이지만, 다른 한편 국가적 축에서는, 식민지 이중언체계가 유동적으로 허용한 조선어문학장 내에 구속된 채 점층적으로 공공어와 일상어의 분리, 고급어와 저급어의 분리, 독서시장에서 일본어 독자층`일본어 출판물의 지속적 성장이 이루어진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선 식민지 내부의 ‘자본주의/국가’ 양축의 절합체는, 조선 외부적으로 지배국가(일본)축과 일본자본의 축에 의해 규정`지배되면서 작동해온 것임을 언급했다. 이런 입론하에, 3장에서 문화통치시기(2차교육령기) 일본어글쓰기에 대응하는 조선인 문인지식인들의 『삼천리』(34-36년) 좌담회를, 4장에서 3차교육령기(1938년) 일본어글쓰기에 대한 『경성일보』 좌담회를, 5장에서 태평양전쟁기~4차교육령 개정까지의 1940년대 『국민문학』, 『삼천리』 좌담회를, 언어선택을 둘러싼 국가와 시장의 제도적 규약지점이 어떻게 변동되고 지속되는가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3장에서, 문화통치시기인 2차교육령기(1922~1937)의 『삼천리』좌담회(34년~36년)를 통해, 장혁주가 제공한 ‘식민지 조선인의 일본어(국어)문단 신진진출’이라는 사건에 반응하는 이 시기 조선어문학장의 대응방식을 분석했다. 장혁주의 식민지배국 진출(국어권 진출)을 미국` 프랑스와 같은 해외진출과 동렬화하고, 그것은 조선문학이 아니다라는 조선어 순혈주의로 배제하는 조선문학 정의의 내부적인 지점을 논했다. 그러나 이는 외부적 시각에서 보면, 이 장혁주 사건은 1922년부터 지속된 2차 신교육령시기 식민지 이중언어체계하에서, 일본 측의 출판자본의 시장개척 요구, 언어적으로 균질화된 더 넓은 시장의 필요성, 그것을 위한 미디어의 개방, 그리고 그것을 위한 언어일원화, 증가해가는 국어권 독자(=국어권 국민)의 존재라는 상황이 결합된 결과임을 논했다. 4장에서 조선어가 선택과목화 되고, 조선인 지원병제가 실시되는 3차교육령기를 『경성일보』 좌담회를 통해 살펴보았다. 조선적 본질주의와 일어로의 번역불가능성을 ... Targeting the symposiums of 『Samcheonri』, 『Kyungsungilbo』 and 『Kukminmunhak』 over Joseon literature and Japanese writing from 1934 to 1943,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tatus and meaning of Japanese writing in the colonial era by analyzing the bilingual language system in the colonial era and the capitalistic modern literary institution before and after the Pacific War, from the perspective of inner continuity. In chapter 2 an argumentative summary, the literary institution in the colonial era was considered to consist of two axes; the bilingual language system of the colonial age and the capitalistic modern literary institution. Capitalistic cultural goods and modern literary institution have been developed as contents to compete with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 publishing market, books as priced commodities, reading public, popular magazines as radio broadcasting, film and cultural goods launched in 1926, during the period of cultural politics. Also, the implementation of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school during the 2nd educational law period(1922-1937), reproduction of language and literary education through cultural channels in the private sector, the Peace Preservation Law, censorship and dispersion of KAPF demonstrate that they made a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the literary institution on a national level, through fluid and regular intervention of state power. As a capitalistic modern literary institution, Joseon literature written in Hangul had made remarkable advance for nearly 15~20 years from 1922~1938, under the bilingual system of the colonial age, but from the national point of view, this was also when public language and high-level language were separate from ordinary language and low-level language by gradation, and Japanese readers and publications constantly developed in the reading market, while it was repressed in the Joseon language literary field that was fluidly allowed by the bilingual system of the colonial age. Moreover, it was mentioned that the articulation of two axes; 'capitalism/state' in the colonial era developed, being regulated and ruled by the ruling nation(Japan) and Japanese capital. Based on this argumentation, chapter 3 analyzed the 『Samcheonri』(1934~1936) symposium of Joseon literary intellectuals who stood against Japanese writing during the cultural ruling period(the 2nd educational law period), chapter 4 analyzed the 『Kyungsungilbo』 symposium on Japanese writing during the 3rd educational law period(1938), and chapter 5 analyzed the 『Kukminmunhak』 and 『Samcheonri』 symposiums of the 1940s from the Pacific War to the 4th educational law revision, in order to see how the institutional regulations in the country and market over language selection changed and lasted. After classifying these symposiums according to each period and medium, each chapter examined 1) the articulation of the market and state in the Joseon language literary field of the colonial era through discourse analysis of symposiums, and 2) the regulation by the 'articulation of the market and state in the colonial era'. During the three periods(the 2nd educational law period and cultural ruling period, the 3rd educational law period, and the war period of the 40s), 1) the country(colonial policy and war)'s bilingual system in the colonial era changed into the monolingual system, and 2) it led to the change of the capital(market) which was in a complementary relation with this, in the end. The 'writing subjects of Joseon' yielded by the process of modern literary institutionalization within this 'articulation of the market and state in the colonial era' were regulated, being bound by the literary field that was multiply affected by the regulations of the capital and state like desire for good writings to build literary career and win prize, readers and the conditions of the publishing market, the existence of magazines and newspapers and rights for their continuati...

      • KCI등재

        식민지 시대 폴란드 한의사 유경집의 유라시아 디아스포라와 해외 조선인 네트워크

        차혜영 한국근현대사학회 2019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9 No.-

        In the 1920s, he was a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 who was operating Oriental Hospital in Warsaw, Poland. As a young colleague of Ahn Jung-geun’s body in 1988, he was awarded as an independent activist. And after the dismantling of the Soviet Union in 1989, These are scattered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These three figures are a family of Yoo-Kyungjeep(劉敬緝=Ryu-chosi:劉初試) who moved to Russia in the 1890s. This article restructured and restored the life of disciples of Eurasian Diaspora (Ryucho si) and explored its meaning. Through the textual discovery, the tracking of personal life history, an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individual is located and related. Through this, I illuminated the portrait of The Eurasian Diaspora Yu-Kyungjeep in the following three contexts. 1) Korean National Movement in Russia from 1909 to early 1910’s. It i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Ahn Jung-geun. 2)1920s European Overseas Korean Network, 3) Eurasian Diaspora returnees who hid their status and career in 1937(The late 1930s, the late Colonial Fascist War). Furthermore, this article goes beyond the ‘Ryu’ individual case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ial period overseas migrant Koreans and the inside of colonial Korea. Particularly, the global mobility of human interchange of knowledge ·discourse·based on the media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the period of 3post (after World War I, after the Soviet revolution of 1917, after the 3·1 movement in Asia and after the 5·4 movement) I looked at the political vision shared by the Asian colonies.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conducted through this. The first one is about the reality of Diaspora in the Eurasian region, the second is how the discrete individual is connected with the homeland, the third is the modern media and communication network, the world system and the global spatial and temporal horizon. In other words,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 in 3 post (after World War I, after the Soviet Revolution of 1917, after the 3·1 movement in Asia and after the 5·4 movement).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Diaspora return narrative in 1937, which hid the memory of the connection, and the fifth, the possibility of thinking differently about the national paradigm of the inter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1920년대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한약방을 운영하던 ‘류초시’라는 한의사, 1988년안중근 의거의 어린 동지로서 독립운동 유공자로 공훈·추서된 유동하, 그리고 1989 년 소련 해체 후 한국에 소개된 유라시아 다아스포라 가족(유동주·유동선 남매), 이 세 인물(군)들은 1890년대 러시아로 이주한 유경집(류초시)의 가족이다. 본고는 유라시아 디아스포라 유경집(류초시)을, 텍스트 발굴, 개인 생애사의 추적, 그 개인이 위치하고 관계 맺은 사회·역사적 맥락을 통해, 그의 이산의 생애를 복원·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탐구했다. 유경집 본인의 1937년 귀환 인터뷰 및 고백 서사, 그 자기서사에서 숨기고 있었던 1909년의 안중근 사건, 그리고 1920년대 식민지조선과의 접속을 보여주는 근거들로 단층화된 한 개인 이산자의 다층적 국면에 접근하고자 했다. 나아가 유경집(류초시)이라는 개인 사례를 넘어, 식민지시대 해외이주 조선인과 식민지 조선 내부와의 관계를 논했다. 특히 3post(제1차 세계대전이후, 1917년 소비에트 혁명 이후, 동아시아에서의 3·1운동 및 5·4운동 이후) 시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기반하의 인적·담론적 교류의 광역적 이동성, 이 광역적 이동성하의 세계와 아시아 식민지 지역이 공유한 정치적 비전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첫째 한 개인의 유라시아 지역 디아스포라의 실체를, 둘째 개인이산자가 고국과 접속되는 방식과 경로를, 셋째 그 경로가 위치한 근대 미디어및 통신네트워크 및 세계체제와 광역적 시공간적 지평의 자장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 속에서 1937년 귀환서사가, 실재했던 민족주의적 저항의 기억과세계와의 광역적 접속의 기억을 은폐하는 정치적 맥락을 논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논의를 통해 ‘해외독립운동’이라는 ‘일국사적 내셔널 프레임’을 다르게 사유할 수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 KCI등재후보

        사실, 주체, 섹슈얼리티-‘황진이’류 소설에 대하여

        차혜영 대중서사학회 2005 대중서사연구 Vol.- No.14

        This thesis studies historical recode(historical reality), sexuality and sexuality in Lee Tae-Jun' {Whang Jin-ie} and Kim Tak-Whan' {I, Whang Jin-ie}. especially this thesis focus on sexuality and modernity, and selection and suture in the text. In Lee Tae-Jun' {Whang Jin-ie}, disruption between sexuality and modern subjectivity is sutured through self-decision in sex and cultural dignity. In Kim Tak-Whan' {I, Whang Jin-ie} eliminate sexuality and her mail sex traveling. Lee's is corresponded with 1930's cultural nationalism, and Kim's is corresponded with deconstruction of modernity and subjectivity.

      • 무안경 3D 광고 전략을 위한 소비자 분석

        차혜영 서비스마케팅학회 2016 서비스마케팅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1

        현재 무안경 3D의 경우 떨어지는 입체감, 제작 및 공유의 어려움과 같은 단점들 때문에 시장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며, 외면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삼성전자와 애플이 무안경 3D 기술 관련 특허를 출원하여, 무안경 3D 산업이 다시 주목을 끌고 있다. 삼성전 자의 경우 필름 액세서리를 통해 3D 효과를 구현할 것으로 전망되며, 애플의 경우 디스플 레이를 통해 아이폰에서 3D 효과를 구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여러 단점들을 보완 하여 상용화에 성공한다면, 모바일 콘텐츠와 광고 시장의 변화는 기대해 볼 만 하다. 한편 , 현재까지 무안경 3D와 관련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컴퓨터공학, 전기전자공학, 디스플레 이공학과 같은 공학 분야에서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시야각 범위 및 성능 개선과 같은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며, 소비자 행동을 다루는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를 통한 광고가 광고태도와 구매 의도를 형성하는데 있어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은 즐거움과 지각된 용이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이 성별에 따라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점 을 발견할 수 없었다. 즉, 남녀 모두 상관없이 무안경 3D 광고는 즐거움과 지각된 용이성 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무안경 3D 광고를 더욱더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소비자 행동 분야와 무안경 3D 이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1920년대 지(知)의 재편과 타자 표상의 상관관계― <<개벽>>의 해외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

        차혜영 한국역사연구회 2005 역사와 현실 Vol.- No.57

        This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image and others-image in 1920s Gaebyeok. Representation of abroad in the world-system is connected with formation of colonial modern subject Knowledge and writlng of other 1920s Gaebyeok branch from enlightenment into news, critic and confession. This is correspond with specialization of nation, class, individual in society The knowledge and writlng of abroad 1920s Gaebyeok is next. Powerful country as crisis description, lesser power country as teleological and historical narrative. This denote postcolonial longing political liberation

      • KCI등재

        ‘학교’에서 ‘시장’으로의 전환 (1) ― 1920년대 중반 ≪개벽≫의 ‘조선의 자랑’을 통해 본 식민지 근대의 내적 ‘전환’ 연구

        차혜영 한국언어문화학회 2008 한국언어문화 Vol.0 No.36

        The Gaebyuk(開闢)'s feature articles ‘pride of Chosun’ is very important to analysis Korean modern cultural change. The change of middle of 1920' in the recognition of self and other, condition of the public, media, and culture is as follows. The first,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from sense of inferiority caused by civilization to cultural diversity and particularity. The second, decline of historical philosophy or progressive prospect. The third, as the subject of discourse(opinion-leader), the change from the enlightenment intelligentsia to professional. The fourth, as the communication with the mass of people in writing, from intellectual monopolistic writing to public discourse of mass media. I will call this change metaphor ‘from school to market’. In my thought, this naming is useful to exposition the inner change of colonial modernity and avoid circular reasoning of ‘imperial and colonial’

      •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생분해성 평가에 관한 연구

        차혜영,심정화,이종길,우제완,박용성,황영애,박상순 한국공업화학회 2002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02 No.0

        합성 플라스틱은 biopolymer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내구성, 열안정성 등의 물성이 우수함으로 인구증가와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해 대량소비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합성 플라스틱의 난분해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기간이 지난 후, 폐기시에 분해되어 없어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그 원형이 보존되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 친화적인 분해성 플라스틱 소재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있으며, 이들 플라스틱의 분해성 평가 연구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물질로 cellouse(positive)와 PVC.PE(negative), 합성고분자로써 생분해성이 우수한 지방족 폴리에스터인 poly(butylene succinate), poly(butylene adipate), poly(butylene adipate-co-succinate), poly(butylene adipate-co-succinate-co-terephthalate)를 사용하여 생분해 거동을 이산화탄소 발생량 측정에 의한 분해성 평가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표상의 시간ㆍ지리학-『문장』의 기행문 연구-

        차혜영 한국근대문학회 200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0 No.2

        본고는 『문장』지의 기행문 연구이다. 기행문은 경험적 사실성과 주관적 진정성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글쓰기의 일종이다. 『문장』의 기행문을 통해, 물리적 공간 이동 및 이에 대한 표상으로서의 ‘심상지리’를, 식민지 시대 말기의 지역표상과 역사적 시간의식의 관점에서 논했다. 중국 여행의 시·공간 지리학의 의미화 논리는 다음과 같다. ‘현재’의 경성에서 출발해, ‘과거’의 퇴락한 북경을 거쳐, 또 다른 ‘현재-미래’의 조선인촌을 거쳐, 무시간적 ‘영원성’의 지점인 전쟁터를 거친다. 이 시·공간은, 기행문을 쓰는 글쓰기 주체의 입장에서는 서울의 ‘병든 나’로부터 출발해 과거의 웅대한 대륙을 전리품으로 획득하고, 제국처럼 ‘강건해진 나’로 돌아오는 의식의 여행이기도 하다. 이처럼 중국지역 기행문이 공간의 분할 및 시간의 차등화를 통해 미래적 전망을 분리, 할당하는 방식이라면, 일본과 서구 지역 기행문은 이와 다른 시간 지리학을 보인다. 독일 기행문은 ‘서구’를 지구상에 특정한 지역을 개인이 향유하는 방식을, 동경 기행문은 일본의 동경(도쿄)을 ‘현재적 동시간대’로 서술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런 동시간대적 현재 체험 중심의 지역 전유는, 이전에 서구가 가졌던 ‘문명의 권위’를 탈각하고 개인이 체험하는 한정된 특수지역으로 의미화하는 것이다. 이는 역사주의적 발전론상 ‘서구→일본→조선’이라는 서열에서 벗어나 서구, 일본, 조선을 강력한 ‘동시간성’ 속에서 표상하는 것이다. 이런 해외기행문의 심상지리는 서구의 지위 변경, 일본과의 평등성의 가상을 ‘시간’과 ‘지역’을 통해 표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를 전유하는 ‘현재적 체험’ 중심의 시간은, ‘과거→현재→미래’라는 발전의 환상을 중국(동양)을 분할 전유하는 미래의 ‘대동아’에 할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중국의 공간 분할(북경, 조선인촌, 전쟁터) 및 이를 시간적 분할을 통해 역사적 단계론으로 전치하는 방식은, 서구와 일본의 동시간대적 전유와 동전의 앞뒷면으로, 조선의 자기인식과 ‘대형상화’ 관계에 있다. 『문장』에 실린 국내 고도(古都) 기행문은 자기상 형성에 나타나는 ‘직접적 선택과 삭제’의 기제를 보여준다. 부여와 평양을 중심으로 씌어진 『문장』지 국내 기행문은, 내선일체의 역사성을 확인해주는 조선 내부의 고적 설정과 근대 자본주의적 개발주의가 관광을 통한 지역 소비의 방식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이 두 지역에 대한 국내 기행문은 하나는 과거를 현재화하는 시간해석을 통해 새로운 가상공간(내-선)을 창출하고(부여), 다른 하나는 국내 지역에서 이데올로기를 선택적으로 특화해 과거(단군)을 삭제하고 대신 개발과 발전, 탐험이라는 미래로의 기대지평이라는 근대주의적 시간지리학(평양)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문장』의 입장, 정체성의 준거로서의 미적, 조선적인 것으로서의 이미지는, 국내 지역 전유의 이와 같은 이데올로기적 변동과 서로 상보적으로 되비춰져야만 하고, 또한 이 국내기행문과 대비적으로 결합된 해외기행문의 외부 전유의 자장 속에서 고려되어야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travel writings in Munjang. A travel is a kind of a modern writing, focused in the empirical reality and subjective authenticity. From the travels in Munjang, the transfer of physical space and 'geographical feature of imagery' as a representation of it, are discussed on a standpoint of the regional representation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and historical and temporal consciousness. The following is the logic behind making meaning of temporal and spatial geography on traveling in China. From Kyungsung of the 'present,' through dilapidated Beijing of the 'past' and Korean residence town of the 'present-future,' a battlefield, a spot of timeless 'eternity,' is passed. This time and space are for the traveling of consciousness, on the writer's view, departing from 'ailing I' in Seoul, acquiring the vast land in the past as a trophy, and coming back to 'robust I' like an empire. In this manner, while the travels in China show a way of separating and sharing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through division of the space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time; the travels in Japan and the Western area show different way of temporal geography. The travels in German show 'the Western world' on how an individual enjoys a certain area in the world, and the travels in Tokyo show how to write on Tokyo(Japan) in the 'contemporaneity of the present.' This way of appropriation of the region, focused on the contemporaneous experiences of the present, is making meanig of a certain area for each individual's experiences, free from 'the authority of civilization' of the Western world in the previous. Free from the order of 'the Western→Japan→Chosun'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this is representing the Western world, Japan, and Chosun within the strong 'contemporaneity.' The geographical feature of imagery in these travels in foreign countries can be something that represents the virtuality on changes in rank of the Western and equality with Japan, through 'time' and 'region.' The time, centered in 'experiences of the present,' is something that assigns the fantasy on the development of 'past→present→future,' future 'the Great East Asia' dividing and appropriating China(the Orient). The way of transposing to the historical stage, through the division of places in China(Beijing, Korean residence town, and a battlefield) and its temporal separation, is like a relationships between heads and tails of coins and contemporaneous appropriation of the Western and Japan; and has 'formative' relationship with self-consciousness of Chosun. Travels in Korea's old capitals in Munjang show the mechanism of 'direct selection and removal' in the process of self-image formation. This travels in the domestic area, especially written on Buoyu and Pyeongyang, establishment of historical remains inside Chosun, which confirms the historicity of the unific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and the way of consumption across the region through travel industry by the modern capitalistic developmentalism. Specifically, of the travels on these two areas, one creates new virtual space(Japan-Korea) by the interpretation of time, which contemporizes the past into the present; the other removes the past(Dangun) by specializing ideologies in the domestic areas, and shows the modernistic temporal geography(Pyeongyang), that is the expected horizon toward the future of development, improvement, and exploration. Therefore, an image as of aesthetic and of Chosun on the authority of an identification, on the standpoint of Munjang, should be flashed back complementarily with this ideological changes in the appropriation of domestic areas. This image should also be considered within the frame of outside appropriation, comparatively combined with these travels.

      • KCI등재

        개벽사 경성표상의 정치학, 『별건곤』1929년 9월 대경성 특집호 연구

        차혜영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7

        『 byeolgeongon 』 (1929.9) ''Kyoungsung' Special Research' is a self representation= alternative exhibits made by 'colonial bourgeois national movement forces= the private media group = gaebyeok' The text is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Empire: The outside of the composition of 'consumer representation in the colony', shows that the radical and dacheungseong. A colony of self-production self-representation shows the following: 1. gaebyeok's bourgeois national elitist subject which is supported settings, 2. develop holistic sense one hours based on modernity, and 3. emotional nationalism as a community unit. The special issue classifi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and knowledge anger the expansion of Seoul(Kyoungsung) since colonial times. And objectively analyze and reflect on urban ecology of the city of Seoul and its consumption 『 byeolgeongon 』 (1929.9) ''Kyoungsung' Special Research' of Gaebyeok described actively in Seoul(=Kyoungsung=spaces of contemporary life) rather than one divided by the ideology of bourgeois nationalism, in terms of internal contradictions and heterogeneous urban expansion in the currency of that division 『별건곤』1929년 대경성 특집호는 1929년 시점 8월~9월 총독부의 ‘시정 20년’의 성과를 자랑하는 기획으로 개최된 조선박람회에 대한 ‘개벽사’라는 식민지 민간미디어 집단 및 부르주아 민족운동세력이 스스로 생산한 자기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텍스트는 ‘표상생산 및 유통의 주채:제국’과 ‘표상의 소비자:식민지’라는 구도를 벗어난, 독특하고 의미있는 지점을 보여주었다. 이는 개벽사가 이 시기 경성을 놓고 기획한 부르주아 민족운동의 운동론으로서의 미래전망, 서울이라는 자기 공간에 대한 르뽀적 탐사, 서울이라는 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이질성과 분열에 대한 개방적 자기응시가 종합된 총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20년대 동인지 문학 운동과 미 이데올로기

        차혜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4 No.-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aesthetic autonomy and movement in 1920's coterie magazine literature. Coterie magazine-writer made their own aesthetic ideology, aesthetic self-consciousness, and literary medium. They made cultural sense and association, at last establish their own original statu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ir aesthetic ideology as combination of individual subject and art is early 1920's characteristic property. 'Pureness' that is regarded in the same light with aesthetic autonomy, played Korean special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