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압제어회로 설계 및 제작을 통한 캡스톤 디자인 학습 성취도 향상연구

        이종길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0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2 No.1

        The pneumatic control circuit is an important basic element that constitutes factory autom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Revolution, and the ability to design and fabricate pneumatic control circuit at the university leve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courses. In this study, it introduced collaborative learning by group, and capstone design technique applied to the subject ofdesign and fabricate of pneumatic control circuit. In addition, it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innovation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by examining the learning achievement of students. It was investigated analytical skill differences by applying cooperativelearn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by applying traditional lecture methods to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that conducted cooperative learning showed higher academic ability than the comparison group that conducted only traditional lectures, and the t-test results of the significant level p<0.05 also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groups. It was also responded 13 survey questions in four experimental groups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ing a high satisfactionlevel of 4.731 on average. Through this study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pneumatic control circuit is more effective inimproving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when applying the capstone design technique than when operating as a normal subjectand expected to use as a basic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of Capstone design in the future. 공압제어회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공장 자동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기본 요소이며 대학 수준에서 공압제어회로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교육과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압제어회로의 설계 및 제작 과목에캡스톤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모둠별 협동학습을 도입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공학 교육의 혁신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공압제어회로 설계 및 제작에서 실험집단에는 모둠별 협동학습을적용하고 비교집단은 전통적 강의법을 적용하여 해석 능력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모둠별 협동학습을 수행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강의로만 진행된 비교집단보다 학업 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유의수준 p<0.05의 t-검정 결과에서도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3개의 설문조사 문항을 4개의 모둠별로 응답하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전체 평균 4.731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압제어회로의 설계 및 제작 교과목은 통상적인 과목으로 운영할 때 보다 캡스톤 디자인 기법을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향후 캡스톤디자인의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ADCP에서의 유속 추정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이종길,Lee, Jonggil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9

        An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ADCP) measures the current velocity and analyzes the degree of turbulence using Doppler effects of ultrasonic waves. Therefore, the autocorrelation or FFT spectrum estimates are obtained for extraction of current velocity in each spatial region. However, if the correlation method does not satisfy the assumption that the return signal spectra are symmetric Gaussian, the large bias errors can occur. Also, the accurate estimation of autocorrelation or FFT spectrum is difficult due to the short acquisition interval when the rapid changes of current velocity occur. Thus, in this paper, the estimation method of the autoregressive spectrum peak is suggested for the accurate current velocity measurement of both symmetric and asymmetric spectra. It is shown that estimation quality can be improved using the suggested method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Many return signals under the various environment are simula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for evaluation of the suggested method.

      • KCI등재후보

        中國法制 近代化過程에 있어 民事慣習調査 및 慣習法에 대한 검토

        李鍾吉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4 동북아법연구 Vol.8 No.2

        본고는 중국이 辛亥革命(1911년)을 전후한 시기인 淸朝末期와 民國時期에 중국법의 근대화 및 민법제정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이루어낸 관습조사의 경과와 입법에 있어 관습법에 대한 대응기조에 대해 고찰한다. 중국법의 근대화과정에 작성된 <大淸民律草案>은 중국 民情에 最適이 되도록 하는 원칙을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 同 草案 第一條에서 “民事本律에서 규정이 없는 경우는 慣習法에 의하고 慣習法이 없는 경우는 法理에 의한다”라고 하여 관습법을 실정법규정이 미비한 경우에 적용하는 法源으로 설정하게 되었다. 이는 결국 제정 법률이 갖는 한계를 구제하는데 더 없이 유용한 법문이 된다. 아울러 중국의 법근대화 및 민법제정과정에 있어 관습조사와 관습법 관련 논의에 대한 검토는 우리의 민사관련 법규의 제정 및 개정논의에 있어 반성과 함께 문제의식의 제고를 독려하는 의미를 갖게 된다. 법문화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보유해온 중국과 한국임을 생각할 때 중국법의 근대화과정에 주력하였던 관습법에 대한 연구 검토는 우리 한국의 법문화와 관습법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관심제고를 촉발하게 할 것이며, 이를 기초로 우리 민사법규의 제정 및 개정에 있어 새로운 법제발견을 숙고하게 할 것이다.

      • 조선시대 입법자의 법관과 법제정 경과 일고

        이종길 대한변호사협회 2005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48

        조선시대의 법 논의는 사회 실상을 철저히 반영하고자 노력하는 기조를 가지고 있다. 조선조는 법이 존재해야 하는 의의를 역사로부터 부단히 배우면서 발전적 측면에서 법 제정을 도모하고 있다. 법의 작용실상을 보건대 입법과정에서 충분한 논의가 결여되면 더 이상 실천으로 나아갈 것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입법과정에서의 논의 부족이나 법정신의 왜곡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해는 기존의 폐해와 함께 예측할 수 없는 해악을 가져 오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법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입법자들은 백성들의 願望과 법이 견지해야 하는 법정신의 충족을 위해 숙의를 거듭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성들로부터 신뢰의 전제가 되는 정당성의 확보를 위해 법과 정치의 원리가 응축되어 있는 經典을 숙고하고 경험을 담고 있는 歷史를 검토하면서 바른 법의 형성에 노력을 집중하게 된다. 여기에 구체적 타당성을 충족 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당시의 사회 실상을 적극 탐색하고 있다. 법은 법문의 정비만으로 종결되지 않는다. 법문의 탄생에 명백하게 이입된 바르고자 하는 법정신과 선의지들이 일상의 사회 관계에서 구체적으로 작동되고 실천될 때 법은 제대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역사 속의 법 작용실상에 대한 연구는 바로 현재의 법 실제에 대한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고는 조선시대의 형사 및 민사 관련 주요 제도를 중심으로 입법과정과 법의 적용 등을 검토하면서 법정신의 구현실상을 고찰하고 있다. 법 제정과정에서 논의에 심도를 더하여 갈수록 법은 백성들의 이익을 보호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게 된다. 법의 적용에 있어서도 법의 제정 본의를 충실히 탐구하면서 법문의 내용이 준수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실상이 검토된다. 이는 결국 법 담당 관리들에 대한 인군의 독려와 법 담당자 스스로의 자각과 실천의지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나아가 법 왜곡을 자행한 관리들에 대한 단호한 처벌을 통해 법의 제정의의가 준수되도록 제도화를 기하고 있다. 그러기에 英祖大王이 續大典의 완성 후 내린 御製題辭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마땅히 祖宗 列聖의 盛德과 法統의 仁厚함을 본 받아야 한다. 오늘의 續典을 보니 그 大要가 寬大하고 厚德하게 하는 데 있다. 그 밖에 세세한 규정마다의 이치(節文)는 관계되는 官衙에 있는 것이다 … 이에 생각을 더해 보니 오직 精誠과 恭敬이 있을 뿐이다. 欽恤하는 것이 恭敬이요 근본의 이치를 본 받고(實體) 따라가는 것(實遵)이 精誠인 것이다”라고 하여 법 담당자들에게 법정신과 법내용의 체득 및 실천에 소홀함이 없을 것을 訓飭하고 있다.즉, 법에 대한 기본 관념이 盛德의 법통을 본 받고 있는 만큼 법의 본의를 좇아 공경과 정성으로 임해야 하는 것이며, 또한 세세한 법문의 이치와 내용은 해당 관아가 잘 알 수 있으므로 관아가 그를 실천해야 할 것을 독려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법을 잘 준수하여야만 국가의 융성과 후세의 번창이 있게됨을 분명하게 관념하고 있다. 결국 조선조 사회는 법의 탄생에서부터 집행 및 적용에 이르는 전 단계에 걸쳐 법정신의 준수와 그 실천에 염려를 늦추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정신지체아의 집단스포츠활동이 사회적응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종길 한국특수체육학회 199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collective sport programs on development of social adaptive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e subjects were 32 mentally retarded students of junior and sector high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subjects were randomly devided into participant group(n=16) and non-participants group(n=16). KISE Developmental Scale(1996) by Korean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were administered by specialized teachers of the students. The statistical procedures used to analyze the hypotheses were ANCOVA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at mentally retarded students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collective sport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he development of self-support ability, social-emotional behavior, speech ability, cognitive ability, and gross motor skill rather than none-participants. It could be concluded in this study that sport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adaptive behaviors of mentally retarded adolescents

      • KCI등재

        기초학습능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역학 분야 기초학력강화 사례연구

        이종길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8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0 No.2

        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 중 많은 학생들이 기초학력 저하로 전공과목 수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대학 수준에 관계없이 전국의 모든 대학에서 나타나는 현실이기도 하다. 이러한 학습부진과 기초학력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A 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 중 기초역학에 대한 학습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학력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전 및 사후 검사 결과를 통하여 그 실효성을 확인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사전·사후 검사결과 A집단에서는 평균 40.1% 향상되었으며 B집단에서는 평균 18.9%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로그램 이수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 및 심층 면담 결과 기초학력강화 프로그램은 전체 평균 90.6%(4.53/5.0)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어 전공 과목에 대한흥미와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기여 했을 뿐 아니라 교수와 참여 학생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큰 도움을 준 유용한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Many undergraduate engineering freshmen have difficulties in attending major courses due to their poor basic academic ability. Regardless of the university level it is a reality in universities all over the count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poor learning and basic academic ability, in this study,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mechanical engineering at A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e effectiveness and surveyed the satisfaction with the questionnaire.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 group improved scores by 40.1% and the B group by 18.9%.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It showed that the basic learning ability achievement program was highly satisfied with the overall average of 90.6% (4.53/5.0) and an useful program which not only contributed to the interest in the major subjects and the confid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 and profess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