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가변 디퓨저를 장착한 원심 압축기 불안정성 연구

        차봉준,임병준,양수석,Cha, Bong-Jun,Im, Byeong-Jun,Yang, Su-Seok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6 No.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instability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a centrifugal compressor equipped with a cambered variable diffuser has been performed with varying diffuser vane angles. The test was conducted at the design speed of 20,800 rpm and the 80% design speed of 16,640 rpm for 5 diffuser angles : 65$^{\circ}$, 70$^{\circ}$, 75$^{\circ}$, 77.5$^{\circ}$, 80$^{\circ}$ The steady performance test results showed that choking mass flow rate decreases and total pressure ratio increases with a narrowed surge margin as the diffuser vane angle increases. Unsteady pressures were measured using high-frequency pressure transducers at the inducer and the diffuser throat to investigate the instability phenomena such as rotating stall and surge inside the compressor. From the unsteady measurements, it is found that the transient process from rotating stall to surge was mainly affected by diffuser angl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applied to the instability control of the centrifugal compressors using a variable diffuser.

      • KCI등재
      • KCI등재

        정찬 소설의 반문명적 사유와 구원의 가능성

        차봉준(Cha, Bong-jun)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7

        정찬은 삶의 근원과 인간의 본성을 욕망과 권력에 얽힌 비극으로 인식하며, 이로부터의 구원을 탐색함에 작가적 역량을 기울여오고 있다. 특히 이 작가가 부정하고 비판하는 권력이란 타자를 대상화하고 타자를 소유하려는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정찬의 소설은 이러한 욕망과 권력의 메커니즘을 우리 역사의 비극적 사건 속으로 파고들던가, 아니면 문명이나 자본의 폭력성으로 끌고 들어감으로써 타자의 대상화에 내재한 심각성을 노정한다. 아울러 타자성의 회복과 구원의 가능성 모색에 진력한다. 본 연구는 정찬의 단편소설〈별들의 냄새〉, 〈산다화〉, 〈섬〉에 표상된 근대적 욕망과 권력의 문제성을 작가의 반문명?반자본적 비판 인식에 기초하여 분석했다. 이 세 소설에는 현대 사회가 맹신하고 있는 자본과 문명의 폭력성에 희생당한 각각의 인물들이 생동감 있게 그려짐으로써 작가의 문명과 자본에 대한 비판적 태도가 구체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덧붙여 대상화된 타자성의 회복과 구원의 가능성 모색을 위해 정찬이 반복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샤먼’으로서의 희생 제의에 주목했으며, 이를 작가의 예술가적 소명의식과 결부시켜 보았다. 끝으로 정찬의 단편들이 삶과 생명의 가치 및 존엄성을 생태적 인식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이 역시 시장 이데올로기와 문명 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표상임을 밝히고자 했다. Jung Chan recognizes the root of life and nature of human being as the tragedy involved in desire and power and his writing capability is focused on seeking after redemption of the human from these. He especially disavows and criticizes the power that is a product of the desire to objectify and own other person. Therefore, Jung Chan’s short stories expose the seriousness inherent in the objectification of others by inquiring this mechanism of desire and power in traffic events in our history or in violence of culture or capitalism. Furthermore, he endeavors to restore the identity of other person and find a ways into redemp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esires in modern times and the problems of power represented in his works, odor of stars, Camellia flower and island based on his anti-culture and anti-capitalism. These stories embody his critical attitude with lifelike-description of each character being sacrificed by the violence of capital and culture in which the modern society has blind faith.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sacrifice of Shaman that Jung Chan repetitively projects to restore the identity of person being objectified and find the way into redemption and this paper associated this with his artistic vocation. Lastly, we tried to find that Jung Chan’s short stories are the critical study of market ideology and culture supremacy based on the fact that he approaches the value and dignity of life and living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recognition.

      • KCI등재

        한국 최초의 대학 ‘崇實’이 한국 문학에 남긴 영향

        車奉俊(Cha, Bong-Jun),김미진(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9 한국문학과 예술 Vol.3 No.-

        이 글은 민족 최초의 대학인 숭실대학교가 건학된 지 111주년을 기념한 학술대회에서 숭실 문학의 지나 온 과정을 되짚어 보고자 하는 의도로 쓰여 졌다. 숭실은 근대화와 일제치하라는 격랑의 역사 속에서 건학한 이후 지금까지 민족적 사명을 감당하기에 결코 나태하지 않았다. 식민지 상황이라는 비극 속에서도 꿋꿋하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독립운동의 면면에 그 역할을 성실히 감당해 왔다. 또한 애국계몽운동, 농촌진흥, 과학기술의 보급, 한국 근대음악의 발전 등에 뚜렷한 영향을 끼치면서 한국 역사의 중심에 서 있었다. 『숭실학보』, 『숭실문학보』, 『숭실활천』 등의 교지(校紙)를 통해 문학적 성과를 쌓아오던 숭실의 문학이 본격적인 토대를 갖추게 된 것은 80년대를 기점으로 국어국문학과가 창설되고 뒤이어 문예창작학과가 창설되면서부터이다. 이때부터 체계적인 문예교육과 창작교육이 이루어지면서 한국 문단을 이끌어 나갈 신예작가들이 꾸준히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병렬을 선두로 조기봉, 문재호, 이재홍, 조현, 김태용 등이 이 시기의 주목받는 작가들이다. 이병렬은 군 하사관으로 장기 복무한 병영 생활의 체험, 대학원 시절과 시간강사의 삶으로 이어지는 작가의 체험을 바탕으로 소시민의 일상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가진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그리고 고인(故人)이 된 조기봉의 경우도 비록 짧은 생애였지만 삶에 대하여, 죽음에 대하여, 그리고 사랑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였다. 한편 최근에 와서 문단의 집중적인 조명을 받기 시작한 작가로 조현과 김태용을 빼놓을 수 없다. 200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조현의 경우는 현대 문명에 대한 지적인 냉소와 유쾌한 비틀기를 통해 현대 사회를 바라보는 통찰력이 매우 날카로운 면모를 보여준다. 그는 현대문명이 직면하고 있는 심각성을 오히려 농담처럼 해소해 나가면서 지금까지의 한국 문학이 보여주지 못했던 독특한 소설세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2005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하고 2008년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한 김태용의 경우도 ‘언어’라는 매개를 아주 능수능란하게 사용하면서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변별되는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숭실 문학의 미래는 이들 신예작가들에 의해 그 전망을 밝게 내다볼 수 있다. This was written in order to look back over the past of Soongsil literature at a conference of commemorating the 111th anniversary of Soongsil since Soongsil University, Korea-first university was found. Soongsil has never been lazy to fill the national mission up to now since Soongsil was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modern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sm. Even in a tragedy of a colony situation, Soongsil has arous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has filled its roles in all sid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lso, Soongsil stands in the middle of Korean history as Soongsil clearly affected an enlightenment movement, a rural promotion, a spread of science & technology, and a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music. The literature of Soongsil which accumulated the literary performance through a school magazine such as ‘Soongsil Hakbo’, ‘Soongsil Literature’, and ‘Soongsil Hwalcheon’ has arranged the active foundation, after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as established in 1980s and then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was opened. As the systematic literature education and creation education has been made from that time, new writers who will lead the Korean literary world started to appear constantly. Lee Byeongryeol, Jo Gibong, Mun Jaeho, Lee Jaehong, Jo Hyeon and Kim Taeyong occupied the attention for that time. Lee Byeongryeol has published many writings with a warm sight on normal citizens’ life based on his army experience as sergeant, the graduate school life, a part-time lecturer experience and the writer’s experience. Also, the decreased Jo Gibong was interested in the life, death and love even though he had a short time of life. Besides, Jo Hyeon and Kim Taeyong have recently started to receive an intensive spotlight in the literary world. Starting to write through a spring literature contest of [DongA Ilbo] in 2008, Jo Hyeon shows very keen insight of looking at the modern society through intelligent smile and pleasant twisting about the modern civilization. He has solved the seriousness of the modern civilization like a joke and has made the unique novel world that the Korean literature hasn’t contain up to now. Also, starting to write through [Literature of the World’ in 2005 and awarding ‘the literature prize of Hankook Ilbo’, Kim Taeyong has implemented his own area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narrative literature while using the medium of ‘language’ sophisticatedly. After all, the future of Soongsil literature can be brightened by new writers.

      • KCI등재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 분석

        차봉준(Cha Bong-Jun),한윤영(Han Yun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이 논문은 S대학이 교양필수로 개설하고 있는 글쓰기 교과목의 수업 효과성 검증을 통해 해당 교과목이 재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S대학의 글쓰기 교과목은 이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연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수업 효과성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나게 한 원인 분석을 위해 S대학 글쓰기 교육과정의 구성상 특성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연계하여 수업 효과성을 조사하기 위해 활용한 진단도구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를 순차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특히 의사소통 수업 효과성에 대한 분석은 기본역량과 특수역량의 두 범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계열별 효과성을 비교 검증함으로써 향후 해당 교과목의 개선을 위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대학의 의사소통의 기본역량 전체평균은 2.14점이었으며, 특수역량 전체평균은 2.80으로 특수역량이 기본역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S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을 평가해 볼 때 해당 교과과정은 재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증진에 의미 있는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의사소통의 기본역량 중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성을 보인 이해(△M=.25)와 특수역량 중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성을 보인 동기(△M=.15) 부분에 대한 증진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아울러 계열별 효과성 분석 결과, 법학계열의 의사소통 역량 증진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계열별 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 및 교재개발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요구된다. 그리고 글쓰기 교과가 실용적 측면에서의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목표는 달성하지만, 자아 성찰적 성장을 통해 인성을 함양하는 전인교육의 차원은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교육 내용인 글쓰기 주제 측면에서도 깊이 있는 고민과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confirm how the writing courses that is S university requirement classes to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affect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courses. In particular, the writing courses are characterized by rather linki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an conducting theory-centered practices. This paper first examines structural uniqueness of the writing courses and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uses that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ourses. Then, it introduc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diagnostic tools us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and explor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sequentially. Specifically, the analysis on their effectivenes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asic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At last, this study is concluded by comparing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to find directions and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future. The findings shows that the special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basic one(total average of special competency: 2.80/ total average of basic competency; 2.14). Th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urriculum has an effect on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Meanwhile, the findings require to improve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understanding in basic communication competency(△M=.251) and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motivation in special ones(△M=.147). Furthermore, the singularity is that the law department shows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suggests that academic discuss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xtbook development suitable for each department be required. Second, the writing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for students‘ self-reflection growth with various topic and composition in order to achieve their multi-layered goals.

      • KCI등재

        백도기 기독교 소설의 현실 지향성 연구

        차봉준(Cha, Bong-jun),이형진(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0 한국문학과 예술 Vol.5 No.-

        본 연구는 백도기의 단편 소설 〈본시오 빌라도의 手記〉를 복음서의 전승과 상호 텍스트적 관계에서 분석했다. 백도기는 등단 초기부터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기독교인의 자기 성찰과 비판적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작품을 창작하고 있다. 또한 목회자라는 신분에도 단순히 호교적 차원의 종교문학에 머물지 않고, 오히려 제도화된 종교로서의 기독교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부정은 서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인간 존재의 실존적?사회적 조건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이 세계의 진상을 폭넓게 진술했다는 점에서 기독교 소설사의 비중 있는 작가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의 대상인 〈본시오 빌라도의 手記〉는 예수의 십자가 처형에 직접적으로 관여된 ‘빌라도’라는 인물을 서사의 전면에 등장시킴으로 예수의 죽음에 대한 인간적 고뇌와 씻을 수 없는 회한을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고뇌하는 빌라도의 모습 속에서 이 시대의 권력과 책임이라는 문제의 상관성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복음서의 전승과 여타의 역사적 전승들이 백도기의 소설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상호 텍스트적 맥락에서 비교 분석을 시도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빌라도의 항변에 담긴 의미의 타당성을 논증하고, 아울러 빌라도에 대한 작가의 옹호와 변명에 담겨진 기독교적 사유의 특질에 접근을 시도했다. 그 결과 신으로부터 권력을 위임받은 통치자란 ‘진리’와 ‘선’과 ‘정의’에 근거해서 ‘그 시대의 불의와 행악’에 맞서는 것이 절대적 사명이며, 따라서 그러한 불의와 행악을 막지 못한 책임이 전적으로 통치자에게 있다는 작가의 현실적 역사인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Old Testament of the Gospels and 「Memorandum of Pontius Pilate」, a novelette written by Do-gi Baek, in inter-textual relations. Since his first proceed to the platform, Baek has been writing literatur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conscience and critical cognition of a Christian on the absurdity of reality. Despite of being a Pastor, he is being noted for not limiting his work to a simple religion-favoring writings, but rather to make cutting remarks and denial of an institutionalized Christianity. He is also portrayed to be an influential author of the Christian Novel Society for his thorough statements on human being’s examination of existential & social condition of this world.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Memorandum of Pontius Pilate」, illustrates human suffer and irrevocable repentance on the death of Jesus by fully presenting in its prologue, a character named ‘Pilate’, who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crucifixion of Jesus. The novel is also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oday’s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issues from the sufferings of Pilate.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the Old Testament of the Gospels and the other historical Testaments are demonstrated in Baek’s novel has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in a context of inter-textuality. Based on this analysis, argument on meaning and pertinence of Pilate’s contradiction was made. In addition, the author’s vindication and justification implying the Christianized reasons are approached. Conclusion was reached following these attempts: for the Leaders, whose authority was delegated from God, holding out against ‘immorality and evil of the generation’ while rendering ‘truth’, ‘virtue’, and ‘justice’ is an absolute responsibility. Accordingly, the author’s extensional appreciation of history, in which the Leaders are to be blamed entirely when they can not defend against such immorality and evil, can be derived as well.

      • KCI등재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차봉준(Cha, Bong-Ju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본 연구는 최인훈의 단편소설 을 고전 과의 상호텍스트적 관계에서 분석하면서 패러디 담론의 양상과 그것에 함의된 작가의 역사 인식을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금까지 최인훈의 소설들은 등단 초기부터 일관되게 유지되어 온 환상적, 관념적 성향의 농후함으로 인해 반사실주의 소설로 거명되어 왔다. 아울러 작가의 세계에 대한 대응 방식도 현실 참여적 태도가 빈약하다는 측면에서 일부의 부정적 평가를 피할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인훈은 작가로서의 현실 참여를 내용적 차원이 아닌 ‘방법적 자각’이라는 형식적 차원 에서 구체화시켜 나갔는데, 그 대표적 방식이 패러디 기법이었다. 따라서 필자는 본 연구에서 최인훈이 을 중심으로 의도했던 효과와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인훈 소설에서 패러디가 갖는 의미를 작가 개인의 내면 의식 및 시대적 상황 인식에 결부시켜 분석했다.아울러 최인훈 소설이 표방하는 문학의 참여정신이 과연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 특히 형식적 실험을 통한 방법적 자각이 두드러진 패러디텍스트에서 작가의 미학적 자의식과 함께 부조리한 당대에 대한 역사인식이 어떤 식으로 강조되어 있는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작가가 표방하고 있는 본질적 저항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최인훈의 은 선행텍스트의 서사 담론을 전반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계획된 차이를 바탕으로 당대에 대한 비판적 역사 인식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개개의 인물들이 처한 현실을 ‘어둠’의 상황으로 상징한 것을 시작으로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이 현실적 공간을 벗어난 곳에서 성취되도록 전개한 서사의 후반부는 당대에 대한 비판적 성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에 나타난 패러디 담론은 부정적 현실에 대한 본질적 저항이라는 작가의 역사 인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문학적 전략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This study center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between In-hoon Choi’s short story and the classic , to understand the aspect of parodied discourse and the author’s historical perspective implied in the book. In-hoon Choi’s novels have been dubbed as antirealist novels due to imbued fantastical and idealistic tendencies which were persistently maintained from the start of his career. Moreover, the author’s response to the world could not prevent negative assessment by some in that the actualistic attitude was lacking. However, In-hoon Choi specifically reflected the reality an author, by ‘methodical awareness’ not content-wise as a way of formality and the representing method for such way of formality is a parody. Thus in the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and meanings the author intended for by In-hoon Choi and based on such finding, analyzed the work with the combination of the meanings of parody in his novel with the author’s inner workings and context-awareness of the times. It further set out to investigate how literary spirit was portrayed by In-hoon Choi’s novels while focusing on how his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corruptions of his times, along with his aesthetic self-awareness were stressed in parody texts with distinighuished methodical awareness through cursory experimenets. The study was designed to witness the truth of fundamental resistance the author supported. In conclusion, by In-hoon Choi, adopted preceding text’s narrative discourse overall but at the same time, critical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time with the intended discrepancy. Namely, by symbolizing the reality each character was placed in as “darkness”,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where' Chunghyang and Monryong Lee’s love becomes actualized outside the realistic realm was the critical reflection of his tim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parodied discourse in was a literary tool to effective communicate the author’s historical perspective, the fundamental resistance against the pessimistic reality.

      • KCI등재

        『사람의 아들』의 성서(聖書) 모티프 수용(受容)과 기독교적(基督敎的) 상상력(想像力)

        차봉준 ( Cha Bong-j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本 硏究는 李文烈의 『사람의 아들』을 중심으로 韓國 現代小說에서 基督敎 文學의 방향성을 모색함에 目的을 두었다. 그동안 基督敎的 世界觀을 표방한 多數의 작품이 발표되기는 했지만 작가의 思惟體系가 깊지 못한 점, 혹은 지나치게 護敎的 성향으로 흐른 점 등에 의해 긍정적 평가를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사람의 아들』의 경우는 基督敎的 想像力에 대한 작가의 省察이 매우 깊이 있게 형상화되었으며, 아울러 기독교가 지닌 문제에 대한 批判과 方向의 提起라는 점에서 기존의 작품들과는 차별되고 있다. 이문열은 聖書의 모티프를 끌어들여서 文字的 解釋에 머물러 있는 죽은 신앙에 대한 懷疑, 현실을 도외시한 거짓 신앙에 대한 反省을 보여준다. 또한 神의 存在에 대한 물음, 바람직한 宗敎像에 대한 작가적 인식의 표출에 이르러서는 靈智主義的 思惟, 實存主義的 認識과 같은 매우 심도 깊은 성찰을 보이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Mun-Yeol Lee’s (Man’s Son( to examine Christian literature in modern Korean novels. There have been several works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but they have not received positive evaluation because writers’ thinking systems have not been deep enough or they were too theologically fundamental. However, (Man’s Son( thoroughly reflected the writer’s thoughts based on his Christian imagination and was distinguished from other novels with its criticism of Christianit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Christianity. In other words, (Man’s Son(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s with Biblical motifs while presenting how modern Korean novels should adopt the concept of Christian literature in a greater depth. Bringing Biblical motifs to his literature, Mun-Yeol Lee did not simply reconceptualized narrations in the Bible. He shows his reflection of dead religion that is trapped in literary interpretation and false religion that neglects the reality. He also shows a very deep reflection of gnosticist thoughts and existentialist awareness in respect to his questions on God’s existence and views on the ideal form of religion in reality.

      • KCI등재

        한국 현대소설의 생태적 가능성

        차봉준(Cha, Bong-Jun) 문학과환경학회 2015 문학과 환경 Vol.14 No.1

        This study analyzes Korean modern novels that depict ecological problems and express reflections on them. As in the literature of Europe and the U.S., the ecology motif has become commonplace in Korean literature since the 1970s. Poems started to raise environmental issues from the 1970s but it was only after the 1980s that poets actively created their work with the motif. Meanwhile, narratives joined this trend a bit later; it was from the 1990s that fiction deeply centered on ecology became noticeable. Korean works of modern fiction, however, were published from the mid-1970s, and some had already reached with contemplation the highest level in literature.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written by Jo Sehui in 1975 is the most exemplary novel among them. The story depicts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inevitably caused by the highly industrialized Korean society in the 1970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ad the story from the literary ecological point of view since it includes a deeper ecological awareness of the confrontation among different classes and extreme isolation. This book accusingly presents the severe reality brought by environmental destruction in Korean society at the time. Likewise, since the story characterizes women who were oppressed and victimized by men, it is also feasible to analyze the story from the viewpoint of ecological feminism. Furthermore, if the reader focuses on the human nature of dominance masked in the confrontation among classes and economic disparity, it is viable to analyze the fiction from the social ecological viewpoint. Thus,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can be analyzed on multiple layers from a variety of literary ecological points of view. This study reviews the author’s reflections on ecology implied in the narration of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