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기흡입형 고속추진기관 기술동향

        차봉준,강상훈,양수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6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4 No.1

        초음속 또는 극초음속 비행체용 추진기관은 산화재 공급방식에 따라 공기흡입형과 로켓 그리고 이들을 혼합한 형태인 복합사이클 추진기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미래의 추진기관들은 공기흡입형과 복합사이클 추진기관들이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초고속 추진기관으로 유력시 되고 있는 공기흡입형 추진기관들 중에서 램/스크램 제트 추진기관들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개발동향과 기술개념을 기술하였으며 이 두 가지 추진기관들을 바탕으로 구성된 복합사이클 추진기관들에 대한 개념들을 소개하였다. 항공우주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차세대 고속비행체 및 고속추진기관의 실용화 개발 움직임들이 구체화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들어 비록 미약하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한 몇 개의 기관 및 대학에서 램제트/스크램제트 추진기관에 대한 핵심 요소기술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논문이 차세대 초고속 추진기관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안국선의 기독교 담론과 근대적 정치성 연구 -<금수회의록>을 중심으로

        차봉준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서구적 근대성을 수용하고 그것에 바탕을 둔 정치사상을 구현하는 데 그 누구보 다 적극적이었던 개화기 지식인 안국선의 기독교 수용 과정을 중심으로 기독교 담론과 근대 적 정치성의 양상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안국선이 서구적 근대성의 표상으로 수용한 기독 교는 그의 대표 소설인 <금수회의록>에 집약적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 소설에 작가의 기독교 인식이 어떻게 형상화되었으며, 나아가 그 속에 내재한 근대적 정치성이 기독교적 세 계관과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를 집중했다. 지금까지 안국선의 <금수회의록>에 대한 기독교 문학으로서의 연구는 작품 자체에 표면 화된 문맥에 의거하여 기독교 인식과의 상관성을 결론짓는 데 급급했던 한계를 안고 있다. 안 국선이 개화기 지식인으로서의 사상적 틀을 체계화하는 데에는 서양 정치사상을 학문적 배경 으로 삼았다는 점과 기독교적 세계관이 근대의식의 밑거름으로 상호작용했다는 점을 간과해 서는 안 된다. 때문에 이러한 전제 하에서 그의 기독교 수용 과정을 좀 더 면밀히 고찰할 필요 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국선의 기독교로의 개종 과정을 사적으로 고찰하는 작업을 선행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기독교 사상이 그의 개화의식 형성 및 소설의 창작에 어떤 식 으로 관여하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금수회의록>에 대한 기독교 소설로서의 의미를 새롭 게 조명하고자 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iscourse on Christianity and modern political aspects centered on the conversion process of Christianity for Kuk-seon Ahn, an intellectual from Enlightenment Period who has been enthused for the acceptance of Westernized modernity and materialized political ideologies based on it. Kuk-seon Ahn portrayed Christianity as the representation of Westernized modernity and intensively covered it in his representative novel Keumsuheoilog. Thus the discussion is on how the author’s perception of Christianity has been shaped and how the inherent modern political nature has combined with Christian world view in this novel. Until now, the study of Kuk-seon Ahn’s Keumsuheoilog as Christian literature has been limited to the context of the surface content work and was preoccupied with concluding it as being correlated to Christian perception. The fact that Kuk-seon Ahn, as the intellectual in Enlightenment Period, has chosen Western political thoughts as the intellectual basis for the systemization of ideological foundation and the fact that his Christian world view has acted as the foundation for modern awareness cannot be overlooked. In this light, his path to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has to be examined more extensively.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template on Kuk-seon Ahn’s conversion to Christianity and based on this, to examine how his Christian thoughts have formed the awareness for enlightenment and affected the creative process of the work for the purpose of shedding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Keumsuheoilog as a Christian novel.

      • KCI등재

        『가룟 유다에 대한 證言』에 형상화된 수난 모티프 수용 양상

        차봉준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literary application patterns of Jesus’ suffering motif and the writer’s intention in such patterns as shown in the gospels in the novel, Testimony on Judas Iscariot by Do-ki Baek. Baek has consistently published works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nd framework since he launched his literary career. He is thus evaluated as one of the writers that opened up the possibilities of Christian-themed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he parodied the ways that the gospels were handed down in order to shed new light on them as a theological theme in contemporary times. Moreover, he also contributed to the literary interpretation and portrayal of such contemporary theological themes. The Testimony on Judas Iscariot,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learly shows this aspect of Baek.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Do-ki Baek’s novel and its portrayal of the suffering motif which is one of the most dramatic scene in Jesus’ life differs from the delivery of the gospel. By shedding light on such a re-interpretation and the writer’s intention implied in it, this study sought to diagnose the theological thoughts of Do-ki Baek and his recognition of reality. In doing so, this study re-verifies the possibilities for Korean-themed Christian literature, and confirms a pattern of a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relig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이 연구는 백도기의 장편소설 『가룟 유다에 대한 증언』을 중심으로 복음서에 전승되는 예수의 수난 모티프의 문학적 변용 양상 및 그에 담긴 작가의식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백도기는 등단 초기부터 기독교적 세계관과 상상력에 바탕을 둔 작품을 지속적으로 발표해 오면서 한국 문학사에 기독교 소설의 가능성을 높여준 작가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는 복음서의 전승들을 패러디하여 현대의 신학적 주제로 재조명하는 것에 남다른 관심을 보여 온 작가일 뿐 아니라, 그에 대한 문학적 해석과 형상화에도 탁월한 성과를 남겨 주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가룟 유다에 대한 증언』도 이러한 특성과 성과가 잘 드러난 소설이다. 본 연구는 예수의 일생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장면인 수난 모티프를 형상화한 백도기의 소설이 복음서의 전승과 어떤 차이를 두고 재해석되고 있는지를 분석함에 일차적 목표를 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재해석과 변형에 내재된 작가의 패러디 의도를 규명함으로써 백도기의 신학적 사유와 현실 인식의 특성을 진단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한국 문학사의 변방에 해당하는 기독교 문학의 가능성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문학과 종교의 상관성이 한국 소설사에 발현되는 한 양상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담화표지 교육을 통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교육

        차봉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3

        This study aimed to discuss on the teaching methods for the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ies regarding their writing of academic purposes.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n the writing of academic purposes in the foreign students is to prepare the communication tool by writing text. Therefore, we emphasized in this article that the knowledge on the text organization as well as the process to learn about the text organization skill should be included in writing courses as the learning practices. Moreover, we added that writing knowledge was not only for contents in the academic purpose text, but also for organization of academic purpose text, hence, writing discourse other than writing paragraph should be a category of education courses including writing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ext organization skills of academic purpose discussed in this article include the meaning as well as logical structure required for the organization of paragraphs other than sentences. Therefore, the process to use discourse marker was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to develop the organizing skill of academic purpose text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text structures provided for discussion were based on explanatory text and logical text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academic purpose text. Since the types of both text structures were shown to be relatively simple and typical, we suggested discourse marker,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types of logical text structure, to find out the text organization knowledge using this as the education method of writing knowledge. By this discourse marker education of text structure, we aimed to show the writing students to prepare the academic purpose text effectively and to perform the writing practices which were appropriate to the type and purpose of the text. 본 연구는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대학생의 학문 목적 쓰기 텍스트 작성을 위한 교육 방법을 논의함에 중점을 두었다. 외국인 학습자의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은 문어 텍스트를 통한 소통 도구 작성에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쓰기 교육 내용에 텍스트 구조에 대한 지식이 포함되어야 하며, 교육 활동으로서 텍스트 구성 능력을 습득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쓰기 지식은 학문 목적 텍스트에 나타나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문 목적 텍스트의 구조에 대한 지식이며, 쓰기 지식을 교육의 내용으로 포함하여 단락 이상 담화 쓰기가 쓰기 교육의 범주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한편 본고에서 논의하는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능력은 문장 이상 단락 간 구조 구성에 필요한 의미 구조이자 논리 구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교육 내용으로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능력을 기르기 위해 담화 표지 사용 과정이 효과적임을 주장하였다. 논의를 위해 제시하는 텍스트 구조는 학문 목적 텍스트의 대표적 유형인 설명 텍스트와 논증 텍스트를 기준으로 하였다. 두 텍스트의 구조 유형이 비교적 단순하고 전형적인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텍스트의 논리 구조 유형별로 자주 사용되는 담화 표지를 제시하고, 이를 사용하여 텍스트 구조 구성 지식을 쓰기 지식으로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텍스트 구조 담화표지 교육을 통해 쓰기 학습자는 결과적으로 학문 목적 텍스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작성하고, 텍스트 유형과 목적에 적합한 쓰기 수행을 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 연구

        차봉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3

        In this study, we proposed that the curriculum for writing class in the university should be prepared with a series of cyclic activities including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writing knowledge, academic communication by writing articles, and self-correction and evaluation on the writing text as the process of academic communication. We emphasized especially, that cultural writing course as the basic element for the study should be prepared with the proactive writ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organization of the students. In this regard, focusing on the teaching method discussion highlighting cultural writing course to improve the social and contextual writing skill, we discussed in this article that the course should be prepared with self-corrective ways related to the writing practices of the students as well as the process of peer student evaluation in detail. To do so, the discussion was continued focusing on Peer Assistant Learning, which was the language practice as the learning tool, for the writing practice in view of Social Constructionism. This is to suggest that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is possible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 and to develop the contextual writing knowledge in the discourse communication society by self-application process of this writing skill.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organization process of writing knowledge separately by students’ discussions and agreements for the education course of structured knowledge on the academic purpose text with respect to the education contents. From this discussion process, we emphasized that focusing on writing education should be to generate the knowledge required for writing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on the evaluation parameters and contents with the initiatives of the students and their peers.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수업의 교육과정이 학문적 소통의 과정으로서 글쓰기 지식 수용, 글쓰기 지식 적용, 쓰기 글을 통한 학문적 소통, 글쓰기 텍스트 자기 수정 및 평가의 순환적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한다. 특히 학문을 위한 기초 소양으로서의 교양 글쓰기 교육 과정이 학습자의 주체적인 글쓰기 경험과 지식 구성을 교육 내용으로 제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의에서는 교양 글쓰기 교육이 사회적, 맥락적 글쓰기 능력의 제고에 중심을 둔 교수 방안을 논의의 중심으로 하여 교육 과정에서 학습자의 쓰기 활동과 관련하여 자기 수정은 물론 동료 학습자의 평가 과정이 구체적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쓰기 활동에 관련해서는 ‘학습도구로서의 언어활동’인 ‘협력학습’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쓰기 지식을 제고하고 이러한 쓰기 지식의 자율적 적용 과정을 통해 담화 소통 사회의 맥락적 글쓰기 지식을 구축하는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그리고 교육 내용으로는 대학 글쓰기에 필요한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학문 목적 텍스트의 구성 지식을 교육하는 과정을 학습자의 토론과 협의를 통한 쓰기 지식 구성 과정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쓰기 학습자와 동료 학습자가 평가의 주체가 되어 평가 기준과 평가 내용을 논의하는 과정 속에서 글쓰기에 필요한 지식이 생성되는 것이 글쓰기 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했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생활 적응 방안 연구 - 유학생 대상 신입생 세미나 교과목 개발을 중심으로

        차봉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정부 주도의 ‘Study Korea Project’, 대중문화가 선도한 ‘한류열풍’, 그리고 한국사회의 ‘학령인구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때문에 2000년대 이후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은 지속적 증가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 대학들은 유학생의 학습효과 증진과 교육 만족도 제고를 위해 어느 정도 충분한 준비가되어 있는지에 대한 점검과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외국인 유학생증가에 따른 국내 대학들의 유학생 대상 교육과정 편성의 수월성, 만족도 및 효과성검증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의 개선 효과, 그리고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유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등의 성과는 여전히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당면 과제의 선행 조치로서 유학생 대상 ‘신입생 세미나’ 교육의필요성을 제안하며, 이에 대한 교육과정의 모델을 제안함에 목적을 두었다. 유학생의관점에서 보건대, 유학 생활의 성패를 가르는 1차 관문이 국내 대학에서의 첫 학기를어떻게 보내느냐에 달려있다고 보아도 과언은 아니다. 낯선 환경과 문화에 고스란히노출되고 여전히 익숙지 않은 언어로 인한 소통의 난맥상에 놓여 있는 유학생에게 제공할 신입생 세미나 교과(프로그램)는 유학생들에게 심리적 안정은 물론이고,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 적응의 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별 대학의 입장에서도 이러한 교과목(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유학생의 조기 정착을 유도함으로써 중도 탈락을 낮출 수 있고, 아울러 안정적인 유학생 관리에도 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의 국내 대학 유학생 증가 추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고, 유학생 증가에 따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학생활의 성패를 좌우할 첫 학기에 유학생에게 제공할 대학생활 적응, 대학자원 활용, 보고서 작성법 등으로 구성한 신입생 세미나 교과 프로그램 모델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현대 생태소설 연구 - 연구 동향과 작품 경향을 중심으로

        차봉준 문학과환경학회 2023 문학과 환경 Vol.2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 생태소설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한국의 생태소설은 7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의 부작용으로 두드러진 공해 문제와 환경파괴의 실상을 주요 모티프로 삼으면서 본격적인 출발을 알리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이후 90년대까지 이어지면서 수질오염, 대기오염, 방사능 문제 등의 다양한 환경문제를 다루는 작품들이 발표되었고,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생태적 사유에 대한 문제 인식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최근에는 SF 기법을 동원한 재난소설의 유형으로 확장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90년대 이후로 넘어오면서 한국의 생태소설은 문명과 자본에 대한 비판과 인간의 욕망에 대한 성찰을 다루는 차원으로 한 단계 더 변모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한국 현대 생태소설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0년대 이후 발표된 162편의 학술논문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논문들은 한국의 현대소설 작품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으면서 이 작품들을 생태론적 시각에서 분석한 연구들이다. 이러한 논문을 통해 90년대 이후 매년 발표된 연구논문의 빈도, 생태소설 관련 연구가 발표된 주요 학술지, 해당 분야의 연구논문을 발표한 연구자 현황, 그리고 이러한 연구논문에 가장 많이 분석의 대상이 된 작가와 작품들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기초적인 현황 분석을 통해 지난 50여 년간 발표된 한국 현대 생태소설의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함에 이 연구의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contemporary Korean ecological novels since the 1970s. Korean ecological novels emerged significantly in the 1970s as a response to the adverse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focusing on issues of pollution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This trend continued into the 1990s, addressing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water and air pollution, and radiation problems, prompting readers to become aware of ecological concerns. More recently, there has been an expansion towards disaster novels utilizing science fiction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from the 1990s onwards, Korean ecological novels have transformed further, exploring dimensions of critique against civilization and capitalism, and reflections on human desires. To explore these trends in contemporary Korean ecological novels, the author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f 162 academic papers published after the 1990s. These papers analyze modern Korean novel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themes of ecological discourse. Through this analysis, the frequency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each year since the 1990s, major academic journals where ecological novel-related research is published, profiles of researchers who contributed to this field, and the authors and works that were extensively analyzed in these papers were categorized. This foundational analysis provides insight into the trends of Korean contemporary ecological novels published over the last 50 years, contributing to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 KCI등재

        대학 신입생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 방안 모색

        차봉준,성신형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5

        신입생 예비대학은 2000년대 이후부터 한국 대학교육의 기초 프로그램 중 하나로 발전해 왔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예비대학의 모델로 숭실대의 운영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본 논문은 신입생을 위한 기초 준비 단계의 프로그램을 미국대학의 사례를 통해서 살펴본 후에, 미국대학의 프로그램을 응용하면서 발전해 온 국내 대학의 예비대학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숭실대학교가 2011년부터 도입하여 현재까지 진행해 온 예비대학의 전반적 내용을 살펴보면서, 그 진행 과정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였다. 숭실대는 예비대학을 실시한 이래로, 순수 오리엔테이션 형식, 교과와 비교과 멘토링을 혼합하는 형식, 코로나19 시기에 온라인 방식의 비교과 멘토링 형식, 그리고 최근에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예비대학으로 꾸준하게 변화와 개선을 이어오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생 친화적인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지난 몇 년 동안 숭실대가 운영해 온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신입생 예비대학에서 필요한 내용을 분석하고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끝으로 숭실대가 2023년에 처음 도입한 메타버스 신입생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게임세대’라고 불리는 지금의 대학교 신입생을 위한 예비대학 기획 프로세스를 제안함에 목적을 두었다. The first-year student preliminary college has developed into one of the primary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since the 2000s in Korea. This paper conducts a case study of Soongsil University's first-year student preliminary college program that can be generally applied to domestic universities. First, this paper examines basic programs for first-year students through the example of American universities. Then, it examines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student preliminary college programs in domestic universities that have developed by applying to American university programs. Next,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first-year student preliminary college program that Soongsil University has implemented since 2011. Since Soongsil University first implemented this first-year student preliminary college program, it has continuously develop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an orientation format, mixes of curricular and non-curricular mentoring format, an online non-curricular mentoring format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recently, a metaverse format. To find a way to create a student-friendly preliminary college program, this study analyzes the program satisfaction operated by Soongsil University over the past five years, analyzes the contents needed for this program, and seeks developmental measures. Lastly, this paper proposes the first-year student's preliminary college program using metaverse for this new generation, called 'Game Generation.'

      • KCI등재

        민중문화 기반 한국학 교육콘텐츠 개발 연구

        차봉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5

        최근 지속해서 증가하는 한국학 수요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되고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부응하여 해외 한국학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유용한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을위해 우리 문화의 저변을 형성하고 있는 민중문화적 요소가 콘텐츠로 활용될 필요성을 제안한다. 즉 민중문화의개념, 역사, 문학, 어문, 사상과 종교와 관련된 광범위한 요소를 한국학 교육콘텐츠로 개발함으로써 한국학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한층 더 깊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문과 문화에 내재한 민중의 속성을 활용한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역사와 사상에 기반한 학제 간 교육콘텐츠의 개발 필요성과 방법론을 제안하였고, 교육콘텐츠 개발의 모델 제시를 위해 해외 한국학의 현황 분석과 현시점의 한국학 수요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민중문화 기반 한국어 교육콘텐츠 개발의 실례로 ‘민중문화와 한국어 속담’교과목의 강의 구성안 제시하였다. 특히 이 교과목은 MOOC 강좌를 전제로 구성안을 개발함으로써 향후 해외 한국학 수요자 대상의 K-MOOC 강좌 개발의 모델로 활용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