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후 위기 체크리스트: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주혜선,안현의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1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posttrauma risk checklist (PRC) for adults and tested its validity. PRC was developed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a trauma in order to examine risk factors in several areas that affect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PTSD within a month after from the traumatic incident an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TSD. In order to develop the questions in PRC, we reviewed literature on risk factors that cause, prolong and worsen PTSD (PTSD risk factors). PTSD risk factors were extracted for the personal area (before, during and after the trauma), the trauma area and the recovery environment area. From the extracted PTSD risk factors were drafted preliminary questions. Then the questions were verified by a group of specialists that resulted in a total of 93 questions. Because PRC is a test to be used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a traumatic incident, the subjects for the development of PRC were selected from adults aged over 18 who had experienced a trauma, and as a result, a total of 442 adults were sampl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asymptomatic group, a partial PTSD group and a full PTSD group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symptoms. Through analyzing the questions (the discriminant index of each ques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s of a pair of questions), we excluded 40 out of the 93 preliminary questions, and developed the final PRC consisting of the 53 questions. The sub‐areas of PRC are the personal area (before, during and after the trauma), the trauma area and the recovery environment area. Based on the total score of PRC, the low risk level was set at 16 points or less (i.e., expected possibility of recovery without PTSD symptoms), the moderate risk level was set between 17 and 26 (i.e., expected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partial or full PTSD with a light to moderate symptoms). The high risk level was set at 27 points or higher (i.e., highly possible for developing into partial or full PTSD with a severe symptoms). The classification into the low risk, moderate risk and high risk groups according to risk level in PRC was clear in the score of each sub area and the total score except the area of perceived threat to life. PRC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PDS (.72, p<01), with BAI (.65, p<01) and with BDI (.52, p<01), confirming that it has concurrent validity. 본 연구에서는 성인용 외상 후 위기 체크리스트(Posttrauma Risk Checklist; PRC)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PRC는 외상적 사건이 발생한 이후 한 달 이내에 외상을 경험한 사람의 PTSD 발병 및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위험 요인들을 다양한 영역에서 점검하여 이후 PTSD로 진전될 위험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PRC의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PTSD를 발병, 지속, 심각하게 만드는 위험 요인들(이하 PTSD 위험 요인)을 개인(외상 전, 외상 당시, 외상 이후)영역, 외상영역, 회복환경영역으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예비 문항을 기술한 이후에 본 연구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93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 문항은 외상 관련, 외상 이전, 외상 당시, 외상 이후의 순서대로 배열하여 예비 PRC의 질문지를 제작하여 만 18세 이상 일반 성인 20명에게 사전 검사를 실시한 이후에 일부 문항을 이해하기 쉽게 수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질문지를 2주에 걸쳐 만 18세 이상의 일반 성인 집단에 중간 회수자를 통해 무작위로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외상 경험이 있는 442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PTSD 증상의 유무에 따라서는 무증상 집단, 부분 PTSD 집단, full PTSD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서는 약한 증상, 중간 증상, 심한 증상으로 구분하였다. 문항 분석(문항 변별도 지수 30이상이면서 문항-문항 총합 간 상관 .3이상인 문항들을 최종 문항으로 선별)을 통해 예비 문항 93문항 중 40문항을 제외하고 총 53문항을 선정하여 PRC가 개발되었다. PRC의 하위 영역들은 개인 영역(외상 당시 영역, 외상 이후 영역)과 외상 영역, 회복 환경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때 PRC의 하위 영역에서 개인 영역의 외상 이전 영역이 제외된 것은 문항 분석에서 개인 외상 이전 영역에 속하는 문항들이 모두 최종문항 선발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PRC 총점을 기준으로 외상 후 PTSD로 진행될 위험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절단 점수를 산출한 결과 16점 이하는 저 위기 수준으로 외상 후 회복되어 PTSD 증상이 없을 가능성이 높으며, 17점부터 26점까지는 중 위기 수준으로 외상 후 부분 PTSD 또는 full PTSD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고 증상의 심각도는 낮거나 중간 수준일 가능성이 높으며 27점 이상은 고 위기 수준으로 외상 후 부분 PTSD 또는 full PTSD로 진전될 위험이 높으며 증상의 심각도가 높은 수준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PRC의 위기 구분에 따른 저 위기, 중 위기, 고 위기 집단 구분은 지각된 생명의 위협 영역을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 점수 및 총점에서 명확하였고 PRC는 PDS(r=.72, p<.01), BAI(r=.65, p<.01), BDI(r=.52, p<.01)와 높은 상관을 지니고 있어 동시 타당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초등학교과정 시각중복장애학생의 실제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주혜선,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way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class structures in teaching such students, the applied curricula, the difficulties faced by teachers who teach such students, an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curricula, classes, and IP. In order to collect data, 81 educators nationwide who are teaching visually impaired students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at elementary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6 questions. The following were able to be deduced from the research results. First, full-time classes composed of both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ose with multiple impairments was the most prevalent type of class structure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and common curriculum was most the widely used as the course of stud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pplied the used curricula depending on their corresponding class structures. Third, the educators pointed out the discordance between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being taught and the types and levels of disabilities, the large diversity of the types and levels of disabilities within the classes, and the lack of professionalism in the class management and teaching method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as the main problems they encountered when teaching their classes. Last, the educators responded negatively to the question, “Do you believ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impairment are included in your class’s curriculum?” 이 연구는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학급의 운영 형태와 적용하고 있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지도 시 교사가 겪고 있는 어려움과 교사 인식을 분석하여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시각장애학교 초등학교과정에서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 81명을 대상으로 총 2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학급의 운영 형태는 ‘전일제 단순시각장애+중복장애 학급’이 가장 많았으며, 수업에 적용하는 교육과정은 공통교육과정이 가장 많았다. 둘째, 학급 운영 형태에 따라 수업에 주로 적용하는 교육과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지도하면서 겪는 어려운 문제로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와 교육과정 내용 수준의 불일치’, ‘학급 구성 학생들의 다양한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방법에 대한 전문성 부족’을 교사들은 지적했다. 넷째, 수업에 적용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하여 ‘시각장애의 특성과 관련된 교육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의 문항에서 교사들은 부정적인 응답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트라우마 사례개념화 양식(TCFF)의 개발: 사례개념화 기반의 트라우마 심리치료

        주혜선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 초점화된 심리치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트라우마 사례개념화 양식(Trauma Case Formulation Framework, TCFF)을 개발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함께 검토하였다. 트라우마 사례개념화 양식은 내담자의 트라우마로 인한 심리적 증상들과 이에 대한 개입에 대한 치료자의 이해를 돕는 정보들을 조직화해주는 틀이다. TCFF는 트라우마 사례개념화 영역 즉, 트라우마 사건 특성, 트라우마 관련 심리적 증상, 증상을 유지시키는 심리적 기제, 트라우마 치료목표, 트라우마 치료전략의 총 5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트라우마 심리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6개의 근거기반 심리치료들로부터 사례개념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이후 사례개념화 요소들을 범주화하고 전문가들로부터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21명의 참여자들에게 TCFF 활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트라우마 사례개념화 요소를 평정한 결과 평정자간 신뢰도는 수용할만한 수준을 보였다. TCFF 양식지의 활용에 대한 타당도는 다양한 임상 장면에서 활동 중인 46명의 심리치료전문가 집단에서 검토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 trauma case formulation framework (TCFF), tool that allows clinicians to constructively organize trauma-related information to better understand client’s posttraumatic problems and design effective interventions. The TCFF is comprised of five dimensions derived from six evidence-based trauma psychotherapie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the traumatic event, trauma-related psychological symptoms, maintaining psychological mechanisms relevant to psychological symptoms, treatment goals, and treatment strategies. Elements of each dimension were further identified and verified by specialists. 21 participants received training regarding the use of TCFF and interrater reliabilities were calculated and found to be acceptable. The validity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CFF worksheet was also reviewed by 46 psychotherapists. Implications, restrictions and further research suggestions for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건강전문가용 간접 트라우마 관리 도구(STCI)의 개발

        주혜선,조윤화,안현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3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the 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STCI), an instrument for assessing multidimensional secondary trauma care strategie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Following the literature review, 489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ere recruited, and 435 professionals with work-related secondary trauma were selected to generate items and dimensions (physical regulation, proactive social resourcing, psychological boundary setting, meaning making, other psychological 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secondary trauma management).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five-factor structure, good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Cut-off scores were calculated and based on the total scores of both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and validities were obtained. Results and restric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전문가들의 간접 트라우마 관리에 유용한 전략들을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Secondary Trauma Care Inventory, STCI)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전문가 집단이 문헌 연구를 통해 예비 도구의 영역(신체적 조절, 주도적 관계자원 활용, 심리적 경계설정, 의미추구, 그 외 심리적 균형 조절, 기관 간접 트라우마 관리)과 예비 문항들을 개발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주요 도구들을 포함한 설문을 489명의 정신건강전문가들에게 실시하고 직무 수행 과정에서 간접 트라우마 경험이 있는 정신건강전문가 43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그 외 심리적 균형 조절 요인이 제외되면서 최종 STCI는 5요인 구조이면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차원과 기관차원 각각의 총점에 근거하여 절단점수를 산출하고 절단점수의 타당도를 함께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STCI의 활용 제안,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하였다.

      • KCI등재

        침습적 외상 기억과 외상관련 정서의 종단 관계 연구: 외상 후 6개월 이상 경과된 대학생을 중심으로

        주혜선,심기선,안현의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trauma memory and traumna related emotions.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 was performed to tes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structs. Results showed that intrusive trauma memory had not a significant effect on trauma related emotions, whereas trauma related emotions(fear, alienation, betray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utobiographical trauma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a focus on trauma related emotions may be important in the counseling proce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침습적 외상 기억과 외상관련 정서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외상 사건 경험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대학생 집단에서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사건을 경험한 대학생 참가자를 대상으로 1개월 간격으로 네 차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네 차례의 모든 설문에 참여한 17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침습적 외상 기억과 외상관련 정서(공포, 소외감, 배신감, 분노, 수치심, 자기비난)는 모두 시간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침습적 외상 기억이 이후 시점의 모든 외상관련 정서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상관련 정서 중 공포, 소외감, 배신감은 이후 시점의 침습적 외상 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노, 자기비난, 수치심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관련 정서 중 공포, 소외감, 배신감을 높게 느끼는 사람들은 이후 시점에서 외상 기억이 침습적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함께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단일 빔 집속 LUT를 이용한 AESA 레이다의 근전계 시뮬레이션 기법

        주혜선,Ju, Hye Su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9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8 No.2

        능동배열안테나는 원전계에 있는 표적과 지형 등을 탐지/추적하기 때문에 개발 간 항공기 탑재 전 시험 수행을 위해 원전계 거리 조건을 만족하게 하는 수십 미터 이상의 지상 시험장이 필요하다. 따라서 빔 조향, 표적, 클러터 및 재밍 등의 시험 수행을 위해 지상에서 높은 곳에 실험실을 구축하는 야외 실험장을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야외 실험장은 주변 지형, 날씨, 외부 신호등으로 인해 시험에 영향을 받으며, 시간/공간/비용적인 제약사항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전계에서 빔을 집속 시키는 이론적인 방안이 제시되었지만, 이를 실험실 환경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AESA 레이다 하드웨어의 변화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변화 없이 AESA 레이다를 구성하는 안테나 송수신 모듈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단일 LUT를 이용해 근전계의 빔 집속을 구현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원전계 실험 환경 및 다중 LUT를 이용한 근전계 빔 집속 구현 기법보다 실험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사한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AESA radar scans and tracks a distant targets or ground, it requires a test field which meets far-field condition before flight test. In order to test beam foaming, targeting, and availability from cluttering and jamming, it is general to build a outdoor roof-lab test site at tens of meters high. However, the site is affected by surrounding terrain, weather, and noise wave and is also requires time, space, and a lot of cos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oretical near-field beam foaming method has proposed. However, it requires modification of associated hardware in order to construct near-field test configu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near-field beam foaming method which use single LUT in order to calibrate the variation of TRM(transmit-receive module) which consists AESA radar without modification of associated hardware and software. It requires less costs than far-field test and multiple LUT based near-field test, nevertheless it can derives similar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국제 학술지 분석을 통한 맹농인 관련 연구 동향 조사

        주혜선,이해균,류현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5 시각장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 동안 JVIB에 게재된 맹농인과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연구 동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자료 수집 및 분석 대상 결정 과정에 따라 선정된 19편의 연구논문들에 대하여 반복적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두 개의 변인별 특성과 여섯 범주의 주제별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변인별 특성으로서 연구자 소속국가별 연구 특성과 연구 대상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여섯 개 범주의 주제로서 맹농인과 관련된 특정 증후군 연구, 상호 작용 및 정서적 관계 형성 촉진을 위한 중재 모델 적용 연구, 의사소통 및 사회적 경험 연구, 평가 도구 개발 및 활용 연구, 개념 형성 및 학습 매체 연구, 단일 대상 설계 연구들에 적용된 중재와 교육의 실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변인에 따른 연구 결과로, 미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주제로 여러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반면, 그 뒤를 이은 네덜란드에서의 연구는 동일한 연구자들이 동일한 주제의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연구 대상으로서 맹농인 당사자와 부모, 교사, 보호자, 의사소통파트너, 비장애아동 등이 함께 참여한 연구가 가장 많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맹농인의 교육적 지원과 재활을 위한 구체적인 시스템 구축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적극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증상 진행경로에 미치는 정서조절곤란과 외상 기억 특성의 효과: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단기종단연구

        주혜선,이나빈,민문경,안현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trauma memory traits (i.e., involuntary recall, sensorimotor experience, disorganization) on college students’ depression progress route. A total of 203 undergraduates were assessed four times with a week interval. The growth pattern of trauma memory trait, emotion dysregulation, depression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LGM) and then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thre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except disorganization showed a linear decrease as time passed. In contrast, disorganization showed increasing trend during the measurement waves. Second, the decrease of sensorimotor experience and emotion dysregulation predicted the decrease of depression as time passed. Additionally, involuntary recall/disorganiz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affected depression only in initial time.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에 따라 외상 사건에 대한 기억 특성(침습, 생생함, 비조직화)과 정서조절곤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설문 및 4주 단위로 4차에 걸친 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203부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기억 특성인 침습, 신체감각적 생생함, 비조직화와 정서조절곤란 및 우울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고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변인으로 한 외상 기억 특성과 우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한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외상 기억 특성과 정서조절곤란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시간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변인별 분석모형에서는 모든 변인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선형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침습, 신체감각적 생생함, 정서조절곤란, 우울은 감소경향을 보인 반면 비조직화는 증가경향을 보였다. 변인간 분석모형에서는 침습과 비조직화의 경우 초기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신체감각적 생생함은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외상경험자들의 우울을 예방하고 치료를 계획하는 데 정서조절곤란과 함께 강조되어야 할 외상 기억 특성이 무엇인지, 효과적인 개입 방안이 무엇인지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함께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