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 "복지" 개념과 제도의 변화

        정근식 ( Keun Sik Jung ),주윤정 ( Yun Jeong Joo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98

        복지란 개념은 20세기 이래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만, 이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정의가 없는 실정이다. 복지는 Welfare의 번역어인데, 이는 원래 행복을 뜻하는 용어였으며 1940년대 이후 사회구성원들이 좋은 상태의 유지를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입이라는 의미를 갖기 시작했다. 동양에서도 복지는 번역 초기, wellbeing의 의미로 사용이 되었다. 식민지시기 복지란 용어보다는 사회사업, 후생, 민생으로 지칭되어지고 제도화가 되었다. 해방이후, 초기에는 식민지기의 제도적 명칭을 이어받지만 가회보장과 사회복지의 개념이 수용되면서 정부의 제도와 기구가 변화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사회보장, 사회복지 개념의 수용에는 선성장 후복지가 복지의 확대를 막는 큰 요인으로 작동했다. 한국 사회의 복기 개념, 기구와 조직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논의 없이는 성장담론을 뛰어넘는 복지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The concept of ‘welfare’ is widely used since the 20th century.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this concept means among all different walks of life. ‘Bokji’, Korean translation of welfare, originally meant ‘well-being’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ince 1940’s with the influences of total in the Western countries, it started to gain the meaning of “the state or condition of doing or being well; good fortune, happiness, of well-being (of a person, community, or thing); thriving of successful progress in life, prosperity.” With the coming of Japanese colonialism, the concepts like social works, husaeng, minsaeng were employed and institutionalized. After liberation, the concepts from the colonial time persisted and were gradually replaced by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The development of such concepts and institutions based on them were greatly hindered by the discourse of “First Growth and Later Welfare,” Without the historical analysis of the concepts and institutions relevant to welfare, it will not be possible to create welfare discourse overcoming development orientated discourses handicapping welfare.

      • KCI등재

        효모 Saccharomyces diastaticus YIY 345에서의 Human Lactoferrin 유전자 발현 및 분비

        주윤정,김종우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96 농업과학연구 Vol.23 No.1

        The expression and secretion of human lactoferrin (hLf) in Saccharomyces diastaticus were performed. 1. For the secretion of hLf in yeast, recombinant plasmid pYEGLf was constructed using promoter, secretion signal sequence of glucoamylase I gene (STA1) and transcriptional terminator of GAL7 gene. 2. Each correct recombinant plasmid was selected by mini-preparation of plasmid DNA from E. coli transformant and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analysis. The selected plasmids, pYEGLf, were transformed into S. diastaticus YIY345 as a expression host, respectively. 3. Western blot analysis using rabbit anti-hLf was carried out to identify expressed hLf. Positive signals were shown in culture supernatant of pYEGLf transformant. 4. About 100 ㎍-1 ㎎ of concentrated culture supernatant of positive clone were loaded on paper disc and tested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 coli. However, no activity was observed. We concluded that this fact results from low concentration of hLf secreted from yeast, compared with the fact that MIC of hLf is as high as 3 ㎎/㎖. Therefore, the purification of secreted hLf may be require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From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low-cost production of sufficient quantities of human lactofferin for nutritional and therapeutical applications were suggested.

      • SCOPUSKCI등재

        김치유래 젖산균의 균체지방산 분석을 이용한 분류학적 연구

        이정숙,정민철,김우식,이근철,김홍중,박찬선,이헌주,주윤정,이근종,안종석,박완,박용하,민태익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2

        표준균주를 포함한 230여개의 김치유래 젖산균에 대한 균체지방산(FAMEs)을 분석하였다. FAMEs profiles는 Euclidian Distance 17.5에 의해 7개의 Major Cluster와 1개의 Single Cluster로 나뉘어졌다. 이중 A, B, C 및 Cluster는 Leuconostoc속으로 분석되어졌고, F는 Lactobacillus속으로 분석되어졌다. 그리고 E와 G cluster는 두개의 Genus가 혼재되어 나타났으며 보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김치유래 젖산균의 균체지방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한 데이타베이스에 95가지 탄소원을 이용하는 수치분류학적 접근방법 및 Pyrolysis Mass Spectrometry 등의 화학적 분석 방법과 분자친화적 연구를 통한 종합적 분류정보 체계가 갖추어지면 젖산균의 신속, 정확한 동정 및 연구에 활발히 이용되어질 것이다. Two hundreds and thirty lactic acid bacteria, mostly isolated from Kimchi, including type strains were sued for analysis of cellular fatty acids. The 230 test strains were recoverd in 7 major and 1 single clusters defined a Euclidian distance of 17.5. These aggregate taxa were equivalent to the genus Leuconostoc (aggregate group A, B, C and D), and the genera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aggregate group G). It is concluded as evident that FAMEs (Fatty Acid Methyl Esters) profile of cell can be used as a criterion in class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l from kimchi. Additional comparative taxonomic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on well chosen representative strains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of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