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ute Exacerbation with Severe Jaundice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

        이헌주,Lee, Heon-Ju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997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4 No.2

        만성 B형 간염의 경과중 흔히 볼 수 있는 간기능의 이상은 대부분 심한 황달의 동반없이 혈청 AST와 ALT의 증가만 보이면서 악화되는 것이다. 저자는 심한 황달을 동반한 16명의 만성 B형 간염 악화 환자(연구군)와 심한 황달없이 AST와 ALT치만 증가된 13명의 환자(비교군)를 비교관찰하였다. PMC 제재를 복용했던 환자는 연구군에서 11명(68.8%), 대조군에서 1명(7.7.%)으로 나타났으며 PMC를 포함하여 각종 약제 및 알콜 섭취가 저명했던 환자가 연구군에서 15명(93.8%), 대조군에서는 2명(15.4%)이었다. 혈청 HBeAg 양성율은 급성 악화전에는 연구군에서 14명 중 7명(50.0%), 비교군에서는 13명 모두 (100%)에서 양성이었으며, 급성 악화 경과후에는 연구군에서는 변함없었고 비교군에서는 13명중 3명(23.1%)에만 양성이었다. 연구군 중 anti-HBe 양성화는 한 사람도 생기지 않았고 6명이 사망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8명의 환자에서 anti-HBe 양성화가 생겼고 아무도 간기능 부전으로 사망하지 않았다. 만성 B형 간질환에서 심한 황달을 동반한 급성 악화와 관련있는 요인은 진행된 만성 활동성 간염, 간경변 등 근본적으로 진행된 간기능 저하와 동반된 부적절한 약제나 알콜 복용이 확실히 관계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간기능 부전도 그리 드물지 않다. 반면에 간경변으로 진행되기 전 상대적으로 진행이 덜 된 비교군의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는 황달의 저명한 증가없이 간기능이 갑자기 악화될 때는 자연적인 혈청 anti-HBe 양성전환의 동반이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종점 OD행렬의 추정력 향상을 위한 교통량 관측구간 선정

        이헌주,이승재,박용길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지 Vol.22 No.6

        관측교통량으로부터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할 때 적정한 관측구간을 선정한 후 선정된 구간의 교통량을 이용하여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는 것이 기종점 OD행렬의 추정력을 향상시키고 경제적인 효율성(관측비용 감소)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구간을 선정하기 위해 정수계획법을 이용하여 관측구간을 선정하는 모형식을 제시하였으며 이 기법을 이용하여 교통량 관측구간을 선정한 후, 선정된 관측구간의 교통량으로부터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였다. 또한 적정한 관측구간으로 선정된 교통량으로부터 추정된 기종점 OD행렬의 추정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임의적으로 관측구간을 선정하여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비교분석한 결과, 적정한 관측구간을 선정하여 추정한 구간교통량 및 추정 기종점 OD행렬의 추정력이 임의적으로 관측구간의 교통량을 이용한 결과의 오차보다 더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관측교통량으로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관측구간을 선정하여 선정된 구간의 교통량으로부터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는 것이 오차를 줄일수 있으며 추정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법이라고 하겠다.본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특정기초연구(R01-2002-000-00328-0)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 간기능 검사상 혈청 AST·ALT 활성도치 상승의 진단적 유용성

        이헌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5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2 No.1

        각종 간질환에 감별진단에 있어서는 간기능 검사외에 간생검이나 각종 영상 검사가 있지만 검사방침을 세우거나 치료의 관리나 판정을 한다던지 예후 추정을 할 때에 간기능검사는 일상에서 임상적으로 빈번히 사용되는 중요한 검사이다. 고로 간기능검사중에서도 가장 먼저 그리고 많이 사용하는 AST,ALT 검사의 결과를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임상의의 의무로 여겨진다. 특히 최근 사용되는 PMC 제제 복용은 간질환의 종류나 상태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ALT치를 급속히 저하시키므로 정통적인 평가기준을 적용시키기 곤란할 것으로 서료되며 다시 한번 간질환 환자에서 약물복용 병력조사와 AST,ALT 결과의 정확한 이해와 판정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싶다.

      • HCV의 가족내 감염양상 : HBV의 가족내 감염양상과 비교

        이헌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2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9 No.2

        Anti-HCV 양성인 만성간질환 환자 80명의 가족중 3가족에 걸쳐 3명이 anti-HCV 양성이었고 양성율 3.5%로서 HBsAg양성 만성간질환 환자 60명의 가족 중 40가족에서 HBsAg 양성자가 나타난 결과가 양성율 66.7%보다 월등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 결과를 볼때 HCV는 HBV와는 다른 정도의 감염력을 가지거나 또는 다른 형태의 개체면역반응을 유도하여 항체 형성이 낮은 것이 아닌지 고려해 보아야겠다. 가족 중 배우자나 자녀에 있어서의 감염율은 HBV와 비교될 정도는 아니었으나 anti-HCV 양성인 사람이 배우자나 자녀였으므로 향후 성적접촉이나 수직감염에 의한 감염 가능성에 관해 더욱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아직 HCV RNA를 직접 검사하는 PCR검사가 보편화되어 있지 못하며 HCV 감염의 진단을 위한 검사법이 여러가지 난무하는 이유로 이후 정밀도가 높으며 쉽게 이용될 수 있는 HCV 감염진단을 위한 검사법이 확립되어 정확한 HCV 환자의 파악이 먼저 되어야 HCV 감염의 역학적 조사가 정확히 이루어지며 HCV 감염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mong 85 patients with anti-HCV positive chronic liver disease, only 21.2% have past history of blood transfusion and over half the cases, they do not have any suspicious risk factors for HCV infection. 3 of 85 families show anti-HCV positive family members. On the other hand, 40 of 60 patients with HBsAg positive chronic liver disease show HBsAg positive family members. In Korea, HBV is transmitted mainly through vertical and intrafamilial infection but HCV disease might be rather horizontal and sporadic than vertical. To define the evident source of infection in sporadic hepatitis C, first of all, simple test with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diagnosis of HCV infection would be needed.

      • KCI등재

        Effect of ${\alpha}$-Interferon 2b o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High Serum ALT

        이헌주,송영두,Lee, Heon-Ju,Song, Young-Doo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998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5 No.2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Interferon (IFN) 치료 후 혈청 HBeAg 소실 및 anti-HBe의 양전율을 높이고 효율적인 치료의 근거를 알기 위하여 치료 전 간기능검사상 갑자기 상승한 혈청 ALT치를 나타낸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IFN을 투여한 군과 IFN 치료없이 정상 HBeAg의 자연 소실을 보인 환자군을 임상적으로 장기간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4배 이상 높이 증가되어 3개월 이상 왕복을 보인 40명의 환자(A군)와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3배 이하로 증가된 10명(B군)에게 ${\alpha}$-IFN 2b를 매일 300만 단위 피하주사로 3~12개월 주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LT치가 A군처럼 장승한 45명 (C군)이었으며, IFN 치료없이 평균 2.9년을 관찰하였다. HBeAg/anti-HBe 혈청 양전율은 A군 68%, B군 20%, C군 13%이었으며 IFN 치료 중단 후 1년까지의 HBeAg 재양성율은 A군에서 29%였고 HBeAg이 소실된 A와 B군의 38명중에서 6명에서 HBV DNA가 양성이었다. 6명중 4명은 HBeAg/anti-HBe 양전을 보였으나 HBV DNA 양성이었고 나머지 2명은 HBeAg, anti-HBe 및 HBV DNA (hybridization) 모두 음성이었으나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상 HBV DNA 양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비록 IFN 치료 후에 HBeAg이 소실되었다가 다시 양성화되더라도 IFN은 단기간내에 혈중 HBeAg이나 DNA가 자연적으로 감소가 될 환자나 그렇지 않은 환자에게도 HBV의 비증식화를 유발하여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IFN 투여 후에도 혈중 HBeAg과 DNA 소실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환자 및 HBV 증식 억제효과가 기대되는 HBV 간질환 환자의 조건, IFN 투여량, 기간 등에 대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더 나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Conjugate Gradient 기법을 이용한 관측교통량 기반 기종점 OD행렬 추정 모형 개발

        이헌주,이승재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지 Vol.22 No.1

        전통적으로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는 방법은 가구통행조사나 노측면접조사를 실시하여 표본조사한 자료의 전수화 과정을 거쳐 기종점 OD행렬표를 작성한다. 조사 과정에서 조사표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간과 비용 및 조사오차가 수반되는 문제로 인하여 많은 제약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관측교통량을 이용하여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는 기법을 연구해 오고 있다. 관측교통량으로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는 기법중 gradient 모형은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기법중의 하나다. 그러나 gradient모형을 이용하여 관측교통량으로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한 결과 관측교통량과 추정교통량의 오차는 최소화시키면서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지만 사전(prior) 기종점 OD행렬의 OD행렬 구조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가 많다. 즉 사전 기종점 OD행렬의 통행특성을 변경시키는 단점이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정된 기종점 OD행렬은 사전 기종점 OD행렬의 OD행렬 구조를 반영하면서 관측교통량과 추정교통량의 오차를 최소화시켜주도록 하는 기종점 OD행렬 추정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Conjugate Gradient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개발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예제 분석가로망에서 모형의 일관성(일치성)을 분석하였다. 일관성 분석결과, 모형의 상위수준(upper level)과 하위수준(lower level)이 내부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측링크교통량에 관측오차를 반영하여 기종점 OD행렬의 추정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관측교통량과 추정(배정)교통량의 오차는 허용오차 범위내에서 추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추정된 기종점 OD행렬의 OD행렬 구조는 사전 기종점 OD행렬의 OD행렬 구조를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정신분석과 분석심리학의 변증법: Bion의 O와 Jung의 집단 무의식의 궁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헌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목회) 상담에서 제기되는 삶의 실존적 문제에 대한 선험적 심리학의 갈래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그 함의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출애굽기 33:18-23의 모세의 실존적 문제 제기와 이에 대한 궁극자와의 응답이 어떻게 임상에서 적용될 수 있는지를 다음의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정신분석학과 분석심리학의 철학적 기반과 지향점을 모색함으로써 이 두 가지 이론의 상호연관성과 기독(목회) 상담적 의의를 탐색하였다. 둘째, 분석심리학자인 Jung의 집단 무의식과 정신분석가인 Bion의 ‘O’ 개념의 궁극적 관점에서 어떠한 상호연관성을 취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셋째, 실존적 제기와 궁극적 측면의 상관관계적 대화가 임상에서 어떻게 재현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 고찰로 살펴보았다. 이는 상담적 장면에서 제기되는 실존적 제기에 대한 해석과 접근의 토대를 구축함으로써 기독(목회)상담의 영성, 초월론적 시각 및 임상적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reas of a priori psychology on the existential problems of life raised in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and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ts i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how Moses' existential problem raised in Exodus 33:18-23 and his response to the absolute can be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theories by seeking the philosophical basis and direction of psychoanalysis and analytical psycholog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Jung's collective unconscious and psychoanalyst Bion's 'O' concept is considered from the ultimate point of view. Third, the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existential thesis and ultimate aspect of the correlational dialogue can be reenacted in the clinical practice. This can contribute clinical field by establishing the basis of the hermeneutic approach to the existential question raised in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 KCI등재

        관측교통량 기반 기종점 OD행렬 추정모형의 대규모 가로망에 적용 (CG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이헌주,이승재 대한교통학회 2005 대한교통학회지 Vol.23 No.3

        We evaluated the availability of Origin-Destination Matrix from traffic counts Using conjugate gradient method to large scale networks by applying it to the networks in 246 zones.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sistency of the model on Nationwide Networks, the upper and lower levels in model had the systematic relationship internally. From the analysis of the estimable power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ffic counting links, the error in traffic volume had the estimable power in the range of permissible error. In addition, the estimable power of estimation of an Origin-Destination Matrix was more satisfactory than that of existing methods.We conclude that conjugate gradient method cab be applied to nationwide networks if we can make sure that the algorithm of the developed model is reliable by doing various kinds of experiment. 본 연구는 Conjugate Gradient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관측교통량기반 기종점 OD행렬 추정모형이 대규모 가로망에서도 적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246개죤 기준 전국 가로망에 적용하여 적용성 및 활용가능성을 판단해 보았다.대규모 가로망에서 모형의 일치성을 분석한 결과, 모형의 상위수준과 하위수준이 내부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측링크 개수에 따라 모형의 추정력을 분석한 결과, 교통량 오차는 허용오차 범위내에서 추정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 기종점 OD행렬의 추정력 역시 기존의 모형을 이용한 결과치보다는 양호한 추정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더 많은 다양한 실험을 하여 개발된 모형의 알고리즘의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대규모 가로망에서도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한국 바다뱀의 탐색과 확보된 사진자료를 이용한 동정

        이헌주,김일훈,박재진,박대식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5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7

        코브라과(Family Elaphidae)에 속하는 바다뱀은 진정바다뱀아과(True sea snake; Hydrophinae Subfamily)와 큰바다뱀아과(Sea krait; Laticaudinae Subfamily)로 나뉘며, 전 세계 적으로 6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진정바다뱀 아과의 바다뱀(Hydrophis platurus), 얼룩바다뱀(H. cyanocinctus), 먹대가리바다뱀(H. melanocephalus) 3종이 보고된 바 있다. 국내외 적으로 급격한 해양환경의 변화와 자국의 새로운 생물종 발굴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바다뱀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바다뱀의 최초 서식이 기 록된 자료 이외에 오늘날까지 국내에서 바다뱀의 서식 여부를 확인한 사례는 Lee et al.(2003) 이 보고한 먹대가리바다뱀이 유일하다. 본 연구는 한국 바다뱀의 분류 및 기초생태 연구의 일 환으로서, 현재까지 확보된 바다뱀 관련 자료 및 연구 진행 상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바다뱀의 서식·발견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국내 연안의 바다뱀은 기장군, 통영시, 여수시, 제주시, 서귀포시에서 모두 6회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여수시와 서귀 포시에서 각각 1마리의 바다뱀이 촬영된 사진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제주시에서 촬영된 1개의 동영상을 확보하였다. 촬영된 바다뱀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모두 국내에서 보고된 사례가 없 는 큰바다뱀아과의 바다뱀으로 확인되었으며, 2003년에 보고된 바다뱀 사진 자료를 재분석한 결과, 먹대가리바다뱀이 아닌 큰바다뱀아과의 국내 미기록 바다뱀으로 확인되었다. 2014년 8월 부터 10월까지 바다뱀의 발견 가능성이 높은 제주도 서귀포시 일대에서 연구원과 현지 조력자 들이 주야간으로 바다뱀 포획을 시도한 결과, 모두 2회의 바다뱀을 관찰하였지만, 포획에는 실 패하였다. 현재까지 확보된 바다뱀 출현 지점을 중심으로 조도군, 완도군, 여수시, 기장군, 서귀 포시, 제주시의 총 6개 중점 협력 및 조사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현지인들과 함께 바다뱀 포획 을 위한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추후 확보될 한국 바다뱀과의 유전적 비교 연구 및 기원 추적 연구를 위하여,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을 대상으로 바다뱀 근육 및 혈액 조직을 확보하였거나, 확보할 계획에 있다. 현재까지의 수집된 한국 바다뱀에 관한 자료에 따르면, 국 내에서는 비록 적은 수이지만 바다뱀이 지속적으로 관찰되고 있으며, 기존에 보고된 3종 이외 에 특별히 큰바다뱀 아과에 속하는 2종 이상의 바다뱀이 분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다. 본 연구는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C1011221-01-01)의 지원을 받아서 수행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