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구구조 변화가 성장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주상영,현준석,Joo, Sangyeong,Hyun, Jun Seog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2020 Analyses & alternatives Vol.4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nges on economic growth. We use the supply-side output identity to forecast the growth potential of the Korean economy. According to the results, even based on optimistic assumptions and prospects, the economic growth rate is likely to fall drastically starting in 2020. Of course, to maintain growth potential, efforts to increase productivity are necessary. However, given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developed countrie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huge trend of demographic change can be offset by efforts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 so-called '30-50 club' countries, both labor productivity and growth rate tend to fall after reaching the per capita income of $30,000. The degree of decline in the growth rate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the working age population and the prime-age workforce. The results are similar when tracking the path of changes in total factor productivities of the economy. When a certain level of income is reached, the increase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also tends to slow down. The ripple effects of rapid changes in demographics will indeed be extensive. The negative impact is likely to be concentrated at a time when the working age population, the prime-age workforce, and the total population shrink simultaneously.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use the government's fiscal space to block the possibility of a rapid fall in the growth rat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implement various reform tasks that should be promoted, such as 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 KCI등재

        노동소득분배율 변동이 내수에 미치는 영향

        주상영(Sangyong Joo) 한국경제발전학회 2013 經濟發展硏究 Vol.19 No.2

        한국경제의 특성상 비중이 높은 자영업자 소득의 일부를 노동소득으로 처리하여 노동소득분배율을 수정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은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등락을 반복하다가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뚜렷하게 하락추세로 돌아선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발견되는 주요 경제현상인 내수경기의 침체에 주목하여, 노동소득분배율과 내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과관계 분석에 의할 때, 외환위기 이후에는 ‘내수 →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가 아니라 ‘노동소득분배율 → 내수’의 인과관계가 뚜렷하게 관찰된다. 나아가 내수의 구성 요소인 소비와 투자에 대해 각각 노동소득분배율이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외환위기 이후에는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소비와 투자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차변수뿐만 아니라 소비와 투자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주가, 환율 등)을 포함시킬 경우에도 다르지 않았다. 외환위기 이후 소득분배 악화가 내수침체에 기여하고 있다.(JEL: D3, E2, N1). The labor share of national income is adjusted to reflect high self-employment rates of Korean economy. The corrected labor income share shows relatively stable trend before the currency crisis, but since then it has been in apparent decline. Meanwhile, remarkable parallels are observed between this downward trend and depression in domestic demand. So we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labor income share and domestic demand. Causality tests suggest the labor share causes the domestic demand, not vice versa. We also investigated the individual effect of labor share on consumption and investment. Estimation results show the falling labor share has negative consequences for both consumption and investment. This effect of distribution is robust to various model specifications and the inclusion of other factors such as stock prices or exchange rates which are considered as major determinants of aggregate demand. The decline in labor share has contributed to the declining domestic demand after the currency crisis in Korea.

      • KCI등재

        유럽의 거시 경제적 성과와 과제

        주상영 ( Sang Yong Joo ),김흥종 ( Heung Chong Kim ) 한국EU학회 2006 EU학연구 Vol.11 No.1

        We investigate the macroeconomic performances of Europe and its future prospects. Major interest is given to economic growth and unemployment. The two indicators through economic structures and institutions, including the regulation of labor, financial system, and product market competition are examined. We find that European countries regulate labor and product markets more than the U.S. or English-origin countries. Also they have a bank-based financial system. Through empirical study, we have found that heavier regulation of labor and product markets and less market oriented financial system are associated with lower economic growth. In particular, the heavier regulation of labor is linked to higher unemployment. Unemployment also depends on the degree of trust or partnership between labor and capital. Especially, since the mid 1990s, IT industries have not contributed to the economy as they have in the U.S. However, past performances of European economy would not be that bad since overall productivity per worker has steadily increased. Furthermore, recent trends show that product markets have become more competitive, the financial system has become more market oriented, and the trust between labor and capital has become higher. Other institutions such as corruption, rule of law, and political stability are very solid in Europe.

      • KCI등재

        소득주도성장 패러다임은 여전히 유효한가?

        주상영(Joo, Sangyong) 한국사회경제학회 2018 사회경제평론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1년 간 실시된 소득주도 성장정책을 평가하고 소득주도성장의 외연확장 과제를 모색해 보았다. 분수효과를 확대하고 낙수효과를 복원하며, 증세 규모를 뛰어넘는 재정의 확대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국경제가 여전히 풀기 어려운 두 가지 난제는, 인구감소에 따른 저성장의 기본 추세를 되돌리기 어렵다는 점과 한국 특유의 독과 점 구조가 고착되어 자원배분의 경화현상이 치유하기 힘들 정도로 악화되었다는 점이다. 소득주도성장론에 입각한 정책이 분배를 조금 개선하는 정도의 노력에 머무른다면 그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다. 진정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원한다면 소득주도성장의 취지를 살리는 동시에 광범위한 개혁 과제에 도전해야 한다. We evaluate the income-led growth policies introduced in the first year of the Moon Government , and try to find ways to extend policy packages. We emphasize the expansion of fountain effects, reinforcing trickle-down effects, and fiscal expansion. Nevertheless, we still face two deep problems. It is hard to reverse the long-run downward growth trend due to population decline. It is also hard to overcome the chronic inefficiency in resource allocations originated from the Korea-specific monopolistic structure. We still can take advantage of income-led policy, but the growth effect will be limited if our efforts just remain in mild improvement of income distribution. We have to challenge the broader reform agenda if we really aim at great paradigm shift.

      • KCI등재

        성장 잠재력의 둔화와 창조경제 논란

        주상영 ( Sang Yong Joo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4 한국사회 Vol.15 No.2

        한국경제는 성장 잠재력이 크게 둔화되었고, 특히 물적자본의 축적에 의한 성장은 소진되었으며 인적자본에 의한 성장 동력도 고갈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혁신을 통해 추가적인 성장 동력을 찾아보려는 문제의식은 정당하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전략이 실제 담고 있는 내용은 일반적인 혁신 제고 정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실제로 추진되는 일부 정책은 본래의 취지와 어긋나 있다. 특히 오프라인의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특정 대기업이 하나씩 배정된 기형적 구조를 띠고 있는데, 여기에는 단기적 성과에 집착하는 권위주의 정부의 성격을 여실히 드러나 있으며 창업 숫자의 확보에 급급하다는 인상을 준다. 성장전략으로서의 창조경제라는 아이디어는 아직 한국에 성공적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사실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는 성장전략의 상위 개념으로 쓰기에 처음부터 적절하지 않았다. 공약이든 정책이든 의미가 분명하게 전달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현재 한국경제의 발전단계와 구조에서 절실하게 요구되는 장기 성장전략은 ‘경제민주화에 기초한 창조적 혁신’이다. ‘창조적 혁신’은 ‘점진적 혁신’과 대비되거나 점진적 혁신을 넘어서는 혁신이 필요하다는 점이 분명히 전달된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사실상의 (수정된) 성장전략이 된 창조경제와 규제완화는 경제민주화와 충돌을 일으키는 것으로 해석되기 쉽지만, 경제민주화와 창조적 혁신은 상호보완적이다. 또한 성장전략을 넘어 질적 전환이 요구되는 한국사회경제의 지향점을 잘 제시한다. The growth potential of Korean economy has substantially declined. The accumulation of physical capital as well as human capital is already slowing. In this respect, the ‘Creative Economy’ strategy by the president Park is by itself legitimate since the remaining engine of further growth should be found in innovations. However, it turns out that its contents belong to typical innovations program, and some policies are diverting from its original motivations. Especially, the 17 off-line centers for creative economy are planned to be linked one-for-one to specific large conglomerates. The shorter term vision of government officials is forced to focus merely on the number of business startups. From the beginning, in fact, the creative economy strategy was not seriously designed enough to meet the profound, required shift of growth paradigm. The creative economy project in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are likely to end as mere rhetorics. At the current stage of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he imperative longer-term growth strategy is ‘the creative innovation based on economic democratization.’ The creative innovation is by definition not just incremental innovation. The creative innovation together with economic democratization are mutually supplementary, and directed well towards qualitative developments that Korea’s economy are confronting and pursuing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의 통화정책과 장기이자율: 분해분석

        주상영 ( Sangyong Joo ),김대환 ( Daehwan Kim ),( Jeffrey Nilsen ) 한국경제학회 2021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7 No.2

        본 논문에서는 1999년부터 2020년까지 기간 한국의 명목 국채수익률 자료를 활용하여 선형기간구조모형을 추정하고 장기이자율을 네 가지의 구성요소(실질단기이자율 기대, 실질기간 프리미엄, 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위험 프리미엄)로 분해하였다. 분해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이자율과 구성요소가 통화정책의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장기이자율은 통화정책의 변화에 반응하지만 반응 정도는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약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응 정도의 약화는 상당부분 실질기간프리미엄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패턴을 미국 데이터에서 발견되는 패턴과 비교하였고 패턴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 논하였다. We fit an affine term structure model to Korean nominal treasury yields between 1999 and 2020 to identify four components of long-term interest rates: real short-term interest rate expectations, real term premia, inflation expectations, and inflation risk premia. We then examine how long-term interest rates and their components respond to changes in monetary policy. We find that long-term interest rates do react to monetary policy changes, but this responsiveness has weaken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The decline of the responsiveness is largely attributable to real term premia. We compare these patterns to those in the U.S. and discuss possible explanations of our findings.

      • 경제발전과 금융발전: 경제발전단계에 따라 금융발전의 요인이 달라지는가?

        주상영 ( Sang Yong Joo ) 한국금융연구원 2006 금융연구 Vol.20 No.1

        금융은 소득 증가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전하는가? 이 논문은 금융발전의 결정요인이 경제발전단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한다. 국가별 횡단면 자료에 대하여 threshold 회귀분석과 rolling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소득, 개방도, 인플레이션과 금융발전지표 간에 비선형 관계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금융발전의 지표로는 GDP 대비 주식시가총액과 GDP 대비 민간신용이 사용되었다. 경제발전의 초기단계에는 소득이 두 가지 지표 모두에 대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개방도와 인플레이션은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경제발전이 성숙해지는 단계에 이르면, 소득이 금융발전에 미치는 효과는 없어지거나 크게 약화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두 가지 금융발전 지표가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데, 주식시장의 발전은 높은 경제개방도, 민간신용의 발전은 낮은 인플레이션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its determinants varies with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Applying threshold regression and rolling regression methods to cross-country data, we find nonlinear relationships among income, openness, inflation, and financial development. We consider two standard measures of financial development as dependent variables; the ratio of equity market capitalization to GDP and the ratio of private credit to GDP. At an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income is an important determinant for both indicators, while openness and inflation are not. As economies develop, however, financial development is not just a side-show to economic development. Furthermore, as income levels rise, two financial indicators begin to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le equity market activity is highly dependent on openness, higher private credit creation is linked to lower inflation.

      • KCI등재

        소비성향으로 본 한국경제의 문제

        주상영(Joo Sang yong) 한국사회경제학회 2017 사회경제평론 Vol.30 No.2

        가계조사로 본 소비성향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고소득층과 고령층에서 하락 현상이 가장 뚜렷하다. 중간층의 소비성향에는 별 변함이 없고 연령별로는 40대의 소비성향이 가장 높다. 시장소득의 원천으로 사업 및 재산소득보다 근로소득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 소비와 직결되는 처분가능소득은 경기변동에 매우 민감하고 저소득층으로 갈수록 민감도가 더 커진다. 전반적인 분석 결과는 소득 집중의 완화, 노동소득분배율의 제고 및 자동안정화 기능의 강화가 소비 성장에 기여할 것임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가계조사 소비성향과 그에 상응하는 국민계정 소비성향을 비교해 보았다. 두 소비성향은 등락의 방향과 폭에서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여 왔는데, 이는 퍼즐(puzzle)이라고 부를 만한 현상이다. 자료의 선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소비 행태의 분석에서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The propensity to consume in household survey has shown overall decline. The downward trend is most prominent in high income and old age consumers. The consumption propensity of middle class shows little changes, and is relatively high in the age group of 40 s. As an income source, labor income is more important than business and property income. Disposable income which presumably has direct impact on consumption is very sensitive to business cycles, and the sensitivity increases from high to low income households. The overall results suggest measures for alleviating income concentration, raising labor income share, and reinforcing automatic stabilizers are needed for consumption growth.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s the household consumption propensity to its equivalent in national account. It is rather puzzling that two propensities reveal different aspects both in directions and variations.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on drawing implications from the consumption analysis because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choice of data sources.

      • 통화량은 여전히 중요한가?

        주상영(Sangyong Joo)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0 商經硏究 Vol.35 No.2

        오늘날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정책수단으로 이자율을 사용한다. 과거와 달리 통화량은 무시되고 있으나 통화량이 통화정책 수행 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거듭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자료를 바탕으로 통화량의 역할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이자율은 산출갭(output gap)의 움직임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반면, 통화량 시차변수는 산출갭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관계는 이자율을 통제변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성립하며, 특히 외환위기 이후의 기간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는 통화정책의 수행에 통화량이 여전히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Most central banks today use interest rate as policy instrument. There is a consensus that money can be ignored in making monetary policy decisions. What continues to be debated, however, is whether monetary aggregates have any role to play in modern monetary policy. We reconsider the role of money and find that money is not redundant. First of all, we could not find any role of real rate of interest in determining movements in the Korean output gap. Ra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agged values of money and output gap, even when lagged values of real interest rates and lagged values of the output gap are accounted for. This finding is more prominent for the period after the currency crisis. The evidence suggests that monetary aggregates still could be useful indicator of monetary polic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