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 ‘인피니티 사가’ 서사 구조 분석: 캡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조희영(Cho, Heeyoung)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0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8

        본고의 목적은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 페이즈(phase) 1-3 시기인 ‘인피니티 사가(Infinity Saga)’의 개별 영화들 가운데 아이언맨에 이어 두 번째 중심 캐릭터라 할 수 있는 캡틴 아메리카 중심의 연속적 내러티브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북미 및 국내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 작법인 블레이크 스나이더(Blake Snyder)의 ‘세이브더캣(STC)’ 패러다임을 활용하고 그 실효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총 952분에 이르는 7편의 영화들을 하나의 텍스트로 간주하여, 110분의 표준 극영화를 기준으로 15단계의 서사 단위(beat)로 구성된 STC 비트 패러다임의 원형이 제시하는 기준 비율에 의거하여 해당 서사 연속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정된 STC 패러다임에서 제안하는 위치에서 15단계의 서사 단위가 적절하게 탐색되었으며, 이 탐색의 과정에서 각 서사 단위에 해당하는 극적 전환이 전체 내러티브에서 점유하는 의미를 재차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952분의 방대한 텍스트를 더욱 유기적으로 명료하게 분석해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MCU 페이즈 1-3 시기의 중심 캐릭터 중 하나인 캡틴 아메리카 연계 서사 분석에 있어 STC 패러다임의 실효성을 입증함으로써, 호흡이 긴 시리즈물의 텍스트의 서사 구조를 분석적으로 파악하고 기획적으로 설계하는 데 있어서도 해당 패러다임이 유효함을 입증했다는 데 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페이즈 4로 진입을 앞둔 MCU의 종결된 ‘인피니티 사가’의 방대한 내러티브를 보다 포괄적이고 입체적으로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으며, 향후 추가 검증과 논의를 거친 후에 여타의 다른 시리즈물을 분석하고 기획하는 데에도 STC 패러다임을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Infinity Saga’of Marvel Cinematic Universe (MCU) concluded in 2019, it is time to systematically analyze this storytelling of the phenomenal franchise.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continuous stories focusing on ‘Captain America’, the second leading character of MCU Phase 1-3, this study used Blake Snyder’s “Save the Cat (STC)” Beat Sheet as the tool for narrative analysis. The seven films with 952 minute-run time in total was analyzed based on the 15-beat paradigm by adjusting the distance ratio between each beat of its prototype originally based on conventional 110-minute films. The results reveal that all 15 beats of the combined texts were fairly properly discovered in the positions suggested by the adjusted STC Beat Sheet. Moreover,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vast text was able to be analyzed in a far more comprehensive, satisfying manner in the process of reconfirming the meaning of the dramatic transition corresponding to each beat against the entire narrativ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its attempt to prove the STC paradigm as a meaningful signpost for plot drives even for such a voluminous text, following the author’s previously successful analysis on combined texts focusing on another leading character of the same saga, ‘Iron Ma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application of this paradigm would be likely to help not only analyze but also design other serialized franchises as well. Prior to that,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xamining other franchises designed in similar forms and intention to MCU movies through the same paradigm to verify effectiveness of such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지하철 역사 내 경로탐색을 통한 성별 시지각-인지관계에 관한 연구

        조희영 ( Heeyoung Cho ),김석태 ( Suktae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4

        (연구배경 및 목적)지하철 역사 내에서 이루어지는 이동은 뚜렷한 목적을 지니므로 경로탐색의 용이성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도시의 공공환경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더욱더 경로탐색의 어려움을 호소하게 되었다. 또한 지하공간의 방향인지는 공간의 특성상 외부정보에 대한 정보습득이 제한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시각적 보조수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지식이라는 관점에서 방문자가 지하철 역사에서 경로를 탐색할 때 방문형태에 따라 공간인지에 미치는 시각적 환경요소와 성별인지특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첫 번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지하공간에 대한공간인지환경과 경로탐색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하철 공간에서 이동시 활용되는 시각적 단서를 설정하였다. 두 번째, 실험환경을 구축하여 성별로 균등히 배분된 피실험자군에 대한 시선추적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시각적정보를 관심영역(AOI)로 설정하고, 그에 대한 주시데이터 히트맵(heatmap), 응시횟수, 응시시간 데이터를 토대로 전체적인 주시특성을 분석하였다. 네 번째, 앞서 분석한 주시특성을 바탕으로 성별 인지특성을 분석하고, 성별 간차이점을 파악하여 종합적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직관적 분석에서는 히트맵을 이용한 빈도를 통하여 전체적인 주시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정량적 분석에서는 주시데이터 응시횟수 및 응시시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서로 비례관계가 성립된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주시데이터에 따른 성별 주시특성에 대한 차이점을 도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결론)첫 번째, 최초방문의 주시특성에서 나타나는 사인 의존도는 주로 천장에 부착된 사인이 높았으며, 재방문의 경우는 사인의 의존도가 높은 천장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시설물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두 번째, 최초방문의 응시횟수의 비율에서 특정 시설물을 주시하는 여자와 달리 최초방문에서 공간의 모든 요소를 주시하는 남자는 처음 방문하는 장소에서도 공간의 인지능력이 높게 나타남으로서 여자와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재방문의 응시횟수에서 남자는 크고 불가변적인 요소, 여자는 작고 가변적인 요소가 경로를 탐색할 때 시각적 단서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여자는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획득능력이 높아져 남자와 여자의 주시특성이 비슷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네 번째, 응시횟수에서는 시각적 단서가 부착된 공간의 위치와과 규모에 영향을 받았으나, 응시시간에서는 목적공간을 지시하는 사인 및 시설물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Since movements carried out within subway stations have a clear purpose, ease in terms of path-finding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public environment of cities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icated, and users are facing greater difficulties in finding their way. In addition, as the cognition of direction in underground spaces is restricted in terms of information that can be acquired externally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ere is greater necessity for supplementary visual cues. Thus, from a preliminary knowledge point of view,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visual environmental factors and gender cognition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spatial cognition among visitors searching for a path through the subway station. (Method) First, this study considered spatial cognition environments within underground spaces, and the composition required for path-finding, and identified the visual clues that are used to move through a subway station based on advanced research. Second, an eye-tracking test was carried out among sample groups that were equally divided by genders after establishing the test environment. Third, visual information based on advanced research was set as the “Area of Interest,” and observ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an observation data heatmap, number of observations, and time of observations. Fourth, gender cogni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previously considered observation characteristics, and a general conclusion was drawn after investigating the gender differences. (Results) This research identified a range of observation characteristics using a heatmap via a qualitative analysis, an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y draw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this, a conclusion could be drawn from the differences in gender observation characteristics within the observation data. (Conclusions) First, reliance on signs was high in the case of signs that were attached to the ceiling, and in terms of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visit; in revisits,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relying on signs located higher in the ceiling. Second, unlike females, who observed the specific facilities in the ratio of observation number in situation first visit, males observed all factors of the space and showed high cognitive ability with respect to the place they visited first.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large and invariable factors acted as visual clues in the case of males, and small and variable factors formed visual clues in the case of females, when they searched areas during situation revisits. It was thus interpreted that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of males and females are similar, as the information-acquisition ability of females increased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urth, regarding the number of observations, the visual clues were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location and size, but also by the signs that indicated the purpose of the space and facilities.

      • KCI등재

        문화예술 종사자의 인공지능 기술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박상욱,조희영,Sang-Wook Park,Heeyoung Cho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4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4 No.2

        This study intendss to prepare specific support measures for cultural industry practioners and artists to respond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on how they understand and accept AI. To this e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practioner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s toward AI technology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and theories.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ervice characteristics, which are influencing factors, have an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AI services. Secondly, when there ar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n AI services, innovative and effective personal characteristics reinforce the intention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policy measures to support cultural artists related to AI technology.

      • KCI등재

        청소년 영화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영화진흥위원회 청소년 영화교육 활성화 사업(2018~2022)의 성과 및 한계를 중심으로

        장슬기(Jang Seulki),조희영(Cho Heeyou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3 씨네포럼 Vol.- No.44

        본고는 제7기(2018~2021) 및 제8기(2021~2022) 영화진흥위원회의 ‘청소년영화교육 활성화 사업’의 배경과 성격 및 사업비 추이를 통한 그간의 성과와 한계 진단을 바탕으로 영화교육의 장기적 활성화를 위한 방향 제안을 목표로 한다. 영진위는 그동안 축적된 해외 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각계에서 논의된 영화교육 담론을 재검토했다. 나아가 교과서 개발, 시범학교 운영 사업을 중심으로 영화교육 교·강사 연구회를 지원하고, 강사 풀을 직접 운영했으며 영화교육의 필요성을 공론화하기 위한 활발한 행보를 이어갔다. 그러나 해당 사업은 2021년부터 예산이 동결된 데다 2022년부터 편성된 대부분의 예산이 시범학교 운영에 쓰이고 있어 영화교육의 활성화라는 거시적 비전을 위한 여타 과제들은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또한, 2019년부터 시행되었던 영화 시범학교의 운영 성과들이 지역의 영화교육기관이나 단체에 공유되지 않아 영진위의 영화교육 사업에 대한 민간 관련 기관들의 이해도와 참여도가 낮다. 예산 확보라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겠으나 그간의 정책적 목표와 성과가 휘발되지 않고, 거시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대안 과제들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접근성 높은 보편 교육모델 개발, 지역 영화단체 및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공공형 웹 플랫폼의 조성, 영화교육의 장기적 안착을 위한 브랜드 전략이 고안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계와 영화 산업계의 영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그 가치가 확산될 수 있도록 설득력 있는 사업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long-term activation of film educatio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 Film Council’s “Youth Film Education Activation Project” from the 7th (2018-2021) and 8th (2021-2022) terms, as well as the background and nature of the project and its budget trends. Since 2018, the Korea Film Council has reviewed the discourse on film education that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fields based on research into overseas film education cases. Furthermore, it has supported film education teacher research groups, operated a teacher pool directly, and taken active steps to publicize the importance of film education. However, due to the freezing of the budget from 2021 and most of the budget allocated from 2022 being used for the operation of pilot schools, macroscopic visions for the activation of film education and other related tasks have not been realized.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pilot film school,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9, has not been shared with local film education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resulting in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from private institutions related to the Korea Film Council’s film education project. While there may be realistic difficulties in securing a budget, it is necessary to pursue alternative tasks in order to achieve macroscopic objectives without the policy goals and achievements being volatile.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universally accessible education model,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with local film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create a public web platform, and devise a brand strategy for the long-term settlement of film education. Through these measures, persuasive projects that can raise awareness and disseminate the value of film education to the education and film industries need to be implemented.

      • KCI등재
      • 2륜 독립조향 steer-by-wire 시스템의 제어기 개발

        성우제(Wooje Sung),오승규(Seungkyu Oh),김창준(Changjun Kim),한창수(Changsoo Han),이언구(Unkoo Lee),이상호(Sangho Lee),조희영(Heeyoung Ch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4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study, the controller of a SBW (Steer-by-Wire) system was developed. As a SBW system is applied in order to improve steering feel and maneuverability, the controller should have two aims. One is controlling steering wheel for the driver's steering feel and the other is controlling the front wheel steering linkage for vehicle stability. In order to the tie-rod actuating SBW controller analysis, 6-bar linkage kinematics was investigated. The controller of the tie-rod actuating SBW was used the Ackerman Geometry for improving the vehicle stability. Verification simulation and performance simulation are showed that the SBW controller was available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