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가와 도시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 − 한국과 부산 이미지를 중심으로 −

        조진옥,이진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0 동방문화와 사상 Vol.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applying Korean national brand image and city brand image of Busan. In order to achieve aim of this study, the processes of this study is divided two section as theoretical discussion and practical process of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In the theoretical discussion, we consider conception and case of the national brand image and city brand image of Busan and also discuss theory of cultural products. In the practical process of developing cultural, on the other hand, we first consider design research process of Korean national brand image that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and city brand image of Busan and then develop almost 200 cultural products based on 7-representative city brand images of Busan which contain past and present of Busan applying story-telling technique. We hope that the cultural products that is developed in this study have positive impact to strengthen Korea and city brand of Busan. 본 연구는 국가와 도시의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국가와 도시 브랜드 이미지의 개념과 사례, 그리고 문화상품 대한 이론적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문화상품 제작과정을 한국과 부산의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디자인 연구와 한국과 부산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브랜드를 다른 상품과의 차별화를 위한 가치부여라고 정의한다면, 국가와 도시브랜드 역시 차별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가 브랜드와 도시 브랜드는 특정 국가와 도시가 가지는 다양한 환경, 기능, 시설, 서비스 등에 의해 다른 국가와 도시로부터 구별되는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문화상품은 상품화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문화를 원천으로 하여 만들어진 상품으로 일반상품에 비해 상대적 고부가치성을 가진 상품이다. 국가와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입힌 디자인을 기초로 하는 고부가치성의 문화상품은 국가와 도시를 새롭게 각인시키는 데 긍정적인 기제로 사용이 가능한 상품이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상징과 과거와 현재를 담고 있는 부산의 브랜드 이미지를 스토리텔링 방법을 적용하여 패턴화 하여 총 200여종의 문화상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한국과 부산의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상품들은 기존 한국과 부산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며,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방문지로서 한국과 부산’이라는 이미지를 각인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라 자평할 수 있다.

      • KCI등재

        다시 맞이하는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학교밖지원사업에 참여한 취약가정 학교밖 청소년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연구

        조진옥,명소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aving school and then process of life of vulnerable families out-of-school youths through encounter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We applied Rennie'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for this study to integrally analyze in and out school, psychiatric characteristics, and recovery processes of life. This study analysis was constructed based on 137 meaning units, 30 subordinate categories, 9 hermeneutic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and process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we found that out-of-school youths had life cycle of undergoing repeated difficulty in the critical period which played a vital role in their development and growth at school, at home and in a world.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their healing and growing occurred through the second prenatal period in which they modified the orbit of life cycle supported by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center and counselors' effective interventions and support. And finally, vulnerable families out-of-school youths were sustained learning and grew continually to raise their living foundation in a world out of school. This research could serve as a continual, specific exploration for the life circumstances and its recovery process of out-of-school youths in vulnerable families and understand their growing process through the interventions of social capital,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basis data for practical and political support and prevention of school dropout to youths of vulnerable families with difficulties in and out school. 본 연구는 취약가정 청소년들의 학교이탈과 이후 삶의 과정을 학교밖 지원사업 조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있어 학교안과 밖에서 나타나는 취약가정 학교밖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과 삶의 과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에서 137개의 의미단위, 30개의 하위범주, 9개의 해석학적 범주가 형성되었으며, 핵심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첫째, 학교밖 청소년들이 가정, 학교 그리고 세상 속에서 발달과 성장이 이루어지는 결정적 시기에 어려움이 반복되는 인생의 굴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밖 지원사업의 물적 인적 자원 조우를 통해 인고의 시간을 함께 버티고 제2의 태내기를 거치며 치유와 성장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밖 세상에서 배움을 지속하고 삶의 터전을 일궈가는 계속되는 성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취약가정의 학교밖 청소년들이 처한 환경과 심리적 상황을 학교 안에서부터 밖 그리고 사회적 자본인 학교밖 지원센터의 조우까지 구체적이고 연속적으로 살펴 본 것에 있다. 이를 통해 학교 안과 밖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과 학교중단 예방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위험사회속 자살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페어클로(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조진옥 한국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5 No.2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affairs about the suicide to be developed and to be carried out to the public induced by the major news media, occurring in present-day society called risk society. Research purpose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y discourse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uicide prevention policy.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Suicide related articles through the five major daily newspapers were chosen. Text analysis, discourse analysis, and social analysis by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Fairclough were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discourse on medicine including mental health and treatment for depression was the main issue of the production of discourse by using the text and discourse analysis. As time goes on, policies for social security and suicide occurred with the Social Implication simultaneously. Second, the social analysis showed that monopolistic discourse on medicine without any introspection about the medical problem made the suicide discourses to be fragment. Third, although the changes of government policy and frequent mention of social safety is noted, practical measures for suicide are lacking. And finally, discourse on medicin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ublic and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citizenship investigation for the suicide 본 연구는 위험사회라 불리는 현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자살이 주요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담론으로 형성되고 실천되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자살예방과 실질적인 자살 대책 수립을 위한 담론 검토와, 학제 간 건강한 담론 모색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을 위해 5개의 주요일간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검색된 ‘자살’ 관련 기사를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방법과 과정에 의하여 텍스트 분석, 담론분석, 사회적 분석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텍스트와 담론분석을 통해 정신건강과 우울증 치료를 필두로 하는 의료담론이 주요 담론생산과 주체자로 분석되었으며, 시간흐름에 따른 안전사회정책이 자살관련 정책과 함께 사회적 함의가 일어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분석에서는 독점적인 의료담론이 의료적 문제점을 성찰하지 않은 체 자살담론을 단편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정부의 정책변화와 함께 안전사회가 거론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대책이 부족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살에 대한 시민의식조사 결과를 통해 의료담론이 대중과 사회통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영리더』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조진옥(Jo JinOk),김정희(Kim, J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영리더』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동작구에 소재한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16명을 실험집단으로,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K유치원의 만 5세 유아 16명을 통제집단으로 각각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영리더십센터(2011)에서 개발된 유아용『영리더』리더십 프로그램인『매일 멋진 영리더』를 만 5세 누리과정에 맞게 편성하였으며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 는 이병래(1997)가 개발한 유아 정서지능 척도와 김숙경(1988)이 개발한 유아의 사회성발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 문항 간 신뢰도 검사,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영리더』리더십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성이 통제집단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영리더』리더십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지능이 통제집단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 과를 통해『영리더』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Young Leader」leadership program for children on their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argeting 5-year old children. In addition,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ether the「Young Leader」leadership program for children is applicable on the ground by analyzing its impact on enhancing the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group of 16 children aged 5 at a kindergarten called ‘S’, which is located in the Dongjak District in Seoul. This is the experiment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16 children aged 5 at a kindergarten called ‘K’, which is located in the city of Paju in Kyunggi Province. This is a ’Young Leader’ program that was developed by the Korea Young Leadership Center in 2011. The results that were gathered from preliminary and post-experiment tests were put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COVA using SPSS 22.0. First, children with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overall improvement in the subfactors of sociality such as the capacity to cooperate and interact with others, tolerate others and exercise autonomy. Second, children with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overall improvement in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uch as self-awareness, self-control, awareness and control of others.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Young Leader’ leadership program is an effective tool for enhancing the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 KCI등재

        지역이미지를 활용한 섬유 문화상품 개발 - 부산 감천문화마을 이미지를 중심으로 -

        조진옥 ( Jo Jin-ok ),김성연 ( Kim Sung-y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현대사회는 감성, 창조, 문화의 시대로 정치, 교육, 경영, 마케팅, 문화,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감성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소비자들은 상품선택에 있어서 대량생산 공산품 성격의 제품에서, 감성적 이미지가 부여된 제품을 더 선호하고 있다. 문화상품개발도 이런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감성적, 지역적 이미지를 적용시켜 제품의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다. 부산 감천문화마을은 구도심 신도심간의 양극화 소외현상을 해소하고, 도시 내부 낙후지역의 주거환경개선으로 시작된 도시재생사업의 대표적인 사례로, 지역 예술인과 마을주민들이 모여 `마을미술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본 연구자는 이런 역사적 배경으로 생긴 지역 이미지를 문화상품에 담았다. 독특한 계단, 골목, 집으로 연결되는 모습들, 공존과 안식처 개념인 집들의 이미지를 끝없이 연결된 집과 미로 같은 골목 두개의 이미지로 전개하였다. 디자인 전개는 아픔을 같이 나누고 위로할 수 있는 `마음의 안식처 집`와 집과 집이 연결되고, 나와 이웃,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이끌어 내는 `공존이 머무는 골목`, 이라는 테마로 전개하였다. 제품 품목으로는 여행 할 때 부피, 무게가 적게 나가고 오래도록 사용함으로써 여행의 추억과 기억을 지속적으로 상기 시킬 수 있는 섬유소재 중심(가방, 클러치, 파우치, 손수건 등)으로 개발하였다. 섬유제품은 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라 컴퓨터프로그램, 디지털 프린팅, 승화전사기법을 활용해 컬러, 크기, 형태, 변형이 빠른 시간 내 개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패턴 이미지들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감천문화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이미지의 감성적 접근, 스토리텔링을 통해 이미지화된 문화상품은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보다 차별화된 지역의 이미지를 고취시켜줄 것이다. Under modern society, as era of emotion, creation and culture, many studies that based on emotional storytelling have been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ducation, management, marketing, culture, and industry. Many Consumers are more preferred products that contain emotional image than industrial products that come from mass production system.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if we recognize the contemporary trends, need to focused on regional images in order to increased products value. Busan Gemcheon Culture Village, one representative exampl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at aims to residential enviroment improvement of the underdevelopment areas and reduction of polarization between old town and new town, is carried out `Creating Art-Village Project` through out cooperation between regional artists and residents. This study focused on applying regional images that come from this historical background to cultural products. Two main images of this study are home and alleyway. The home implies a place for relief and the alleyway implies a coexistence that connects home and home, and makes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Development product items in this study are mainly textile materials such as bag, clutch, pouch, and handkerchief that give memories of tour and convenience to tourists. Textile products have following two merits: an immediate reforming of color, size, shape, and variation and expressing various pattern images in accordance with consumers` preference. It is possible to application of computer program, digital printing and sublimation transfer technique. Cultural products that contain emotional approach of regional images and storytelling images inspire differentiated regional images to tourists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