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연한 수사경과제 운영을 위한 순환근무 모델 개발 연구 - 해양경찰청 사례 -

        조준택,오민지 경찰대학 범죄수사연구원 2024 범죄수사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2019년부터 수사경과제를 도입한 해양경찰청에서 유연하지 못한 인력운영으로 발생한 문제점을 개선할수 있도록 수사경찰 순환근무제 모델 개발을 시도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수사경찰 중 상당수가 전출을 희망하였는데, 전출을 희망하는 이유 중 가장 많은 응답은 미흡한 금전 보상이었다. 수사경력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수사경력이 긴경찰관들은 장기근무로 인한 피로감, 수사경력이 짧은 경찰관들은 과도한 업무량, 부족한 승진과 포상, 수사업무가적성에 안 맞음이 주요 전출희망 이유로 분석되었다. 또한 계급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경위와 경사 계급 경찰관들은장기근무로 인한 피로감, 경장 이하 경찰관들은 과도한 업무량과 열악한 근무환경이 주요 전출희망 이유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사관들 중 상당수는 수사경찰 대상 순환근무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결과와 수사경찰 통계자료를 종합하여 수사경찰 중 전출희망인력을 추산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적정 순환비율을설정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순환근무 모델이 적절히 활용된다면 장기근무자들의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한편 수사부서에진입하지 못한 수사경과자들도 수사경험과 전문성을 쌓을 수 있게 되어 해양경찰청 조직 전반의 수사역량 강화에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developed a rotational work model for investigative police to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inflexible personnel management at the Korea Coast Guard, which has implemented the professional detective system since 2019. The survey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investigative police officers wanted to transfer, and the most common reason for wishing to transfer was insufficient financial compensation. Police officers with long investigative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report burnout due to long-term work, while police officers with less investigative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report excessive workload, insufficient promotions and rewards, and a lack of aptitude for investigative work. In addition, police officers in the ranks of inspectors and sergeant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 levels of fatigue due to long-term work, while police officers below sergeant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 levels of excessive workload and poor working conditions. Many of the investigators responded that a rotational work system is necessary because the professional detective system is not flexible, so we estimated the number of investigative police officers who would like to be transferred by synthesizing the survey results and investigative police statistics, and proposed a rotation work model for flexible professional detective system operation by setting the appropriate rotation ratio through simulation. If applied properly, the rotational work model is expected to reduce fatigue of long-term investigators and allow those who have not entered the investigation department to gain investigative experience and expertise, which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strengthening the investigative capabilities of the entire Korea Coast Guard.

      • KCI등재

        자치경찰제 시행을 대비한 경찰인력의 효율적 활용과 배분에 대한 분석: 최근 10년간 경찰인력 증원을 중심으로

        조준택 한국인사행정학회 2021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0 No.1

        본 연구는 2021년 7월 시행이 예정되어 있는 자치경찰제를 대비하여 지난 10년간 경찰인력이 증원되는 동안 경찰인력 운용의 효율성과 합리적인 배분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기경찰청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고, 전반적으로 특별시와 광역시 소재 경찰청의 효율성이 도 소재 경찰청의 효율성보다 더 높았다. 또한 시도 경찰청별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정보도 확인되었다. 한편, 경찰인력 배분의 형평성을 분석한 결과 치안수요 대비 지역 간 인력의 편차가 상당하였는데 특히 경기, 인천, 제주 지역은 다른 지역대비 경찰인력이 충분하게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도 경찰청 내부 조직별 인력배분의 추세를 분석한 결과 시도 경찰청 본부의 인력비율이 증가한 반면, 경찰서와 지구대 및 파출소 인력비율은 감소하였다. 내부 조직별 인력의 증가율과 효율성 점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구대와 파출소 인력의 증가율이 효율성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시도 경찰청 본부와 경찰서의 인력 증가율은 효율성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최근 10년간 증원된 경찰인력은 생활안전, 지구대 및 파출소, 수사, 경비 기능에 대부분 배분되었으며, 국가경찰은 11%, 자치경찰은 77%, 수사경찰은 12%를 차지하였다. 경찰인력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역경찰관서에 현장인력을 더 많이 배분하는 한편, 지역별 경찰인력 배치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증원인력의 합리적 배분과 기존 인력의 재배치가 요구된다.

      • KCI등재

        112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직무만족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지역경찰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준택 한국치안행정학회 2019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6 No.1

        Though 112 police officers and patrol officers both handle 112 reports received by residents,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conducted regarding 112 police officers compared with patrol officers. To fill the gap of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upon job satisfaction and health of 112 police officer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patrol officers. The results showed that 112 police officers showed higher occupational stress and lower job satisfaction than patrol officers. Also 112 police officers had more health symptom including indigestion and insomnia than patrol officer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regarding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tress between 112 police officers and patrol offic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stressors related to po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lack of social support, and emergency calls respons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comparison with the patrol officers, occupational stress due to po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had a greater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112 police officers. Regarding factors affecting health, stressors related to po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s well as lack of social support affected health symptom of police officers. On the contrary to the patrol officers, occupational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had a effect on health in 112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results,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hould make administrative efforts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in police trauma center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health of 112 police officers. 112경찰과 지역경찰은 주민이 접수하는 112신고를 함께 처리하는데 그간 지역경찰에 대해서는 다수의 연구가 수행된 반면, 112경찰의 경우에는 연구가 매우 적어 연구의 공백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112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112경찰의 직무만족과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한편, 이러한 분석결과를 지역경찰과 비교하여 112경찰의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건강수준이 지역경찰에 비해 어떠한 정도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112경찰은 지역경찰에 비해 전반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직무만족이 낮고 건강 이상증상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12경찰과 지역경찰 집단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무만족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열악한 조직관리 및 근무환경, 부족한 사회적지지, 신고대응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감소하였는데 지역경찰에 비해 112경찰에서는 열악한 조직관리와 근무환경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더 큰 영향을 준 차이가 있었다. 건강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열악한 조직관리 및 근무환경과 부족한 사회적 지지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이상 증상이 증가하였는데 지역경찰에 비해 112경찰관의 경우 역할모호성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이상 증상이 증가하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112경찰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열악한 조직관리 및 근무환경, 사회적지지, 신고대응 측면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관리적 노력이 필요하며, 112경찰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역할모호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적극적인 검토와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심리상담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주차장 범죄예방을 위한 인증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조준택,박현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7 치안정책연구 Vol.31 No.1

        주차장에서 최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살인이나 성범죄 등 강력범죄가 발생하면서 범죄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져 안전수준 제고의 필요성이 높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차장의 안전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주차장에 CPTED기법을 적용한 영국의 Park Mark 인증사례 등 국내외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평가항목을 추출하고 우리나라 주차장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주차장 범죄예방을 위한 인증평가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최종 평가분야는 관리운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활동성 지원, 안내표지, 방범 및 안전시설과 가점항목으로 각각 여러 개의 세부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항목별 배점은 주차장 안전에 핵심적인 항목은 높게 배점하고 정성평가에 의한 차등배점을 적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평가와 우수 주차장에 대한 인증을 위한 기본원칙을 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는데, 최우수-우수 주차장을 인증할 수 있도록 등급제를 운영하여 시설개선 노력을 유도하고, 주차장법을 위반할 경우 우수 주차장 인증마크를 부여하지 않으며, 지역의 실정에 맞게 평가항목이나 배점을 유연하게 적용하고, 가점항목은 엄격하게 적용하는 원칙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기준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수정되어 활용될 수 있으며 주차장 안전개선을 위한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다. Crime is frequently occurred in parking facilities in South Korea. Especially, violent crimes such as murder or sexual assaults against women in parking facilities have become a serious problem. Thus, it is necessary to raise safety of parking facilities. We have developed a checklist for certification of parking facilities in the context of crime prevention by considering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such as the case of Park Mark certification in the UK applying the CPTED technique in the parking facilities and reflecting the field survey results in South Korea. The field of evaluation consists of management and operation, surveillance, access control, territoriality, activity support, legibility, safety facilities, and various add point items. In the case of point by item, the key points for parking safety were graded highly and the differential score by qualitative evaluation was applied. In addition, basic principles for certification of excellent parking facilities were suggested, including operating a rating system to certify the best-excellent to facilitate efforts for facilities improvement, not giving the certification mark to facilities if the parking lot law is violated, applying the evaluation items or points according to the local situation flexibly. Also, applying add point items strictly as possible was recommended. The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modified and utilized in various way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an serve as a basis for the safety of parking facilities.

      • KCI등재

        합리적인 경찰인력 배분을 위한 경찰조직의 효율성 분석

        조준택,성시경 한국인사행정학회 201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2 No.2

        본 연구는 향후 경찰인력의 증원에 대비하여, 합리적인 인력 배분을 위한 사전 분석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지방경찰청 조직의 상대적 효율성을 DE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경기·광주·경남지방경찰청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제주, 강원지방경찰청의 경우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낮은 기술적 효율성 때문인 것으로 본다. 비효율성이 나타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5년간 지방경찰청-경찰서-지구대·파출소의 조직구조에 따른 인력배분 현황과 효율성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일선 치안 현장부서인 경찰서와 지구대·파출소의 인력 감소가 효율성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울지방경찰청은 시위동원경찰관수를 산출변수에서 제외할 경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비업무에 적정수준 이상의 경찰관이 투입되어 규모의 비효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경찰관 증원시 현장부서에 대한 인력의 증원, 경비업무 동원 경찰관 규모에 대한 재검토, 인사 교류 등을 활용한 인력재배치 등의 효율성 향상방안과 아울러 조직 효율성을 측정하여 성과지표에 반영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경찰활동과 체감안전도 관련 주민들의 인식에 대한 예비적 분석과 자치경찰제에 대한 시사점

        조준택 한국경찰연구학회 2019 한국경찰연구 Vol.18 No.1

        Despite a number of studies on the perceived safety of local resident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policing affects residents' perceptions of safety. In particula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how residents perceive police activities. Thus, this study surveyed the local residents and analyzed how the policing affected their perceived safety.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n the reason why policing did not affect the perceived safety of some residents and their awareness of police activities. As a result, the residents who felt safe through the police activities responded that patrol cars and police substa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perceived safety. While, residents who felt insecure through policing reported that patrol activities and first responses by police force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residents' expectation and they felt fear when they witnessed police activities because it seemed that there was a problem in their neighborhood. Meanwhile, residents who responded that policing had no effect on their perceived safety due to the lack of visibility and persistence of police activities as well as their scepticism about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of police force.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ived safety, residents suggested the reinforcement of patrol activities in vulnerable areas, the expansions of new police boxes to reduce the blind spot of policing as well as intensification of first response against crime and the provision of protective services for vulnerable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ce should conduct basic patrol activities and first response measures more thoroughly so residents can recognize police performances. To this end, rational allocation of police force through scientific analysis on the local environment and collaboration of protective services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should be needed. 지역주민의 체감안전도에 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지만 경찰활동이 주민의 체감안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특히 경찰활동에 대하여 주민들이 실제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둔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못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찰활동이 체감안전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한편, 경찰활동이 일부 지역주민의 체감안전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이유와 주민들이 경찰활동에 대하여 어떠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둔 예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경찰활동을 통해 안전감을 느낀 주민들은 순찰차량과 지구대와 파출소가 체감안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경찰활동을 보고 불안감을 느낀 주민들은 순찰활동과 초동조치가 주민의 기대에 비해 미흡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경찰활동을 목격할 경우 지역에 문제가 발생한 것 같아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경찰활동이 체감안전도에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주민들은 경찰활동의 가시성과 지속성이 부족하고 경찰의 범죄예방 및 대응역량에 의문이 많아 안전감에 영향이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주민들은 체감안전도 제고를 위해 범죄취약지역에 대한 순찰활동의 강화와 환경개선, 파출소 신설 등을 통한 치안사각지대 감소, 경찰의 범죄에 대한 초동조치 강화, 범죄취약계층에 대한 치안서비스 제공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치안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경찰이 기본적인 순찰활동과 초동조치를 보다 충실히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치안환경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경찰력의 합리적인 배분, 사회적 약자 보호서비스 확대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와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경찰의 민간경비 관리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 경찰 실무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조준택,정제용 한국경호경비학회 2023 시큐리티연구 Vol.- No.74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olice-centered public security, the importance of private security is considerable. To improve private security management, this study explored alternatives by examining the problems recognized by police practitioners and their opinions on improvement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practitioners who entered the training course of the Poli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in 2020.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priv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were derived as a main category, and those related to the security guard disposition abolition reporting system, security guard service experience certificate issuance, security guard disqualification inquiry, private security training and personnel management in charge were classified as sub-topics. Specifically, unification of reporting channels for abolition of security guard deployment,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output system for work experience certificates, advancement of a search system for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of security guards, financial support for security guards' online training, and systematic evaluation for quality control of online training, etc., were derived as improvements. In addition, improving the job training system for security instructors, securing professional personnel for private security positions in the police organization, and establishing a private security division and public-private cooperation committee in the National Police Agency were also suggested. 경찰 중심 공경비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민간경비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민간경비 관리에 대한 개선을 위해 경찰 실무자들이 인식하고 있는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대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경찰인재개발원의 민간경비관리자 교육과정에 입교한 100명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민간경비관리체계의문제점과 개선방안이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고, 경비원 배치폐지 신고시스템, 경비원 근무경력 증명서 발급, 경비원 결격사유 조회, 민간경비 교육 및 담당 인력 운용관련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구체적으로, 경비원 배치폐지 신고경로의 일원화, 근무경력 증명서의 실시간 출력시스템 구현, 경비원 결격사유 조회시스템의 고도화, 경비원들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비용지원체계 마련, 온라인 교육의 품질관리를 위해 체계적인 평가 수행의 필요성 등이 개선안으로 도출되었다. 추가적으로, 경비지도사의 경우 직무교육체계 개선, 경찰청의 경우 경찰조직의 민간경비 담당보직의 전문인력 확보, 민간경비과 및 민관협력위원회 설치 등 대안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범죄피해, 범죄두려움, 범죄율과 지역주민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다수준 분석: 경찰활동의 영향에 대한 탐색

        조준택 한국형사정책학회 2019 刑事政策 Vol.31 No.2

        Despite the necessity of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a multi-level analysis through a hierarchical linear model including various community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crime rate, considering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in Korea. As a result, only specific fear of crim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whereas crime victimization, general fear of crime and crime rate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This negative effect of specific fear of crime on life satisfaction decreased in the area where the arrest rate was high. In addition, the perceived disorder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le the community attachment as well as collective efficacy and trust in the police positive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At the regional level only the police substation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is positive effect was greater in the low-income group. Regarding cross-level interaction effects, the positive effects of community attachment and collective efficacy on life satisfaction were greater in the area where more police substations were placed. Also, the number of police substations and disposition of notification against the Minor Offenses Ac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the group with low satisfaction, whereas specific fear of crime and perceived social disorder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the group with high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the enhancement of arrest rate, the application of various crime prevention strategies to reduce fear of crime, the restoration of trust to police, the reinforcement of police response to disorder and the expansion of police substations were suggest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범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실증연구가 부족한 연구의 공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범죄율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사회 환경변수들을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통해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범죄요인 중에서는 구체적 범죄두려움만이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외에 범죄피해와 일반적 두려움, 범죄발생 요인은 생활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부적효과는 범죄검거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수준에서 인지된 무질서 요인은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지역사회 유대와 집합적 효능감, 경찰에 대한 신뢰는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지역수준에서는 지역경찰관서 요인만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는데 지역경찰관서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저소득층에서 더 컸다. 수준간 상호작용 분석결과, 지역사회 유대와 집합적 효능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긍정적 효과는 지역경찰관서가 많은 곳에서 더 커졌다. 또한 생활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지역경찰관서가 많을수록, 통고처분 단속건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생활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구체적 범죄두려움과 인지된 사회적 무질서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범죄검거율의 제고와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범죄예방 전략의 적용, 경찰에 대한 신뢰의 회복, 무질서에 대한 경찰대응의 강화, 지역의 치안거점인 지역경찰관서의 확대 등 정책적시사점을 도출하는 한편,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범죄예방을 위한 112신고 자료의 활용방안 연구

        조준택,김강일,박현호 한국치안행정학회 2018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5 No.1

        112신고는 24시간 운영되는 지역주민과 경찰 간의 대표적인 통로이며, 수많은 신 고를 통해 지역의 치안문제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왜곡되지 않고 112신고 자료에 입 력된다. 이러한 112신고 자료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역의 범죄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 에 소재한 경찰서 1곳에 접수된 112신고 자료에 대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의 치안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제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신고건수 및 신고유형별로 지역경찰관서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관서별로 중점적 으로 대응해야 할 신고유형이 도출되었다. 또한, 46가지의 112신고 종별코드를 5가지 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각 부문별 치안불안 표준화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지역경찰관 서별로 범죄, 여성청소년, 질서유지, 교통, 서비스요청 부문별로 취약한 분야를 구체 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112신고통계에 포함된 신고주소를 활용하여 성폭력, 경범, 청소년비행 신고에 대한 지리적 분석을 실시하여 신고다발지역이 발견되었으 며, 취약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무질서와 열악한 시설 등 취약요인이 상당수 발견되어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업을 통한 환경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분 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제언으로 112통계 분석의 활성화를 위해 분석담당 요원의 채 용 또는 육성, 중장기적으로 치안 R&D사업과 연계한 112통계 분석시스템의 구축, 112신고 자료의 중요성 인식과 이에 기반한 경찰활동의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112신 고 자료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실정에 맞는 맞춤형 경찰활동과 향후 범죄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예측적 경찰활동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112 data, there has not been systematic analysis and research for crime prevention.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112 report data received at one police station in Gyeong-gi province, and identifie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safety of the area. As a result, many 112 reports were received in the evening hours, and the percentage of urgent reports was low overall, so it was necessary to concentrate the police force at the time of reporting. In addition,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local police substations in terms of the number of reported cases and types of declarations. As a result of cross-tabulation according to type of report and time, it was confirmed that police activities should be strengthened at the time of many crimes. Moreover, 46 codes of 112 were systematically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and the safety anxiety standardization index for each category was calculated. Local police could identify areas of vulnerability by crime, female youth, order maintenance, traffic, and service requests. Meanwhile, using the address included in the 112 data, geograph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sexual violence, misdemeanor and juvenile delinquency and hotspots were found. Many of the vulnerable factors such as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and poor facilities were found on the field survey, and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local government was necessary.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recruitment or training of analysts in order to activate 112 statistical analysis, the establishment of 112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public safety R&D project in the country,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112 report data and the improvement of police activities based o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