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본조사에 의한 기업 연구개발활동 통계 작성방안

        조성표 ( Seong Pyo Cho ),박선영 ( Sun Young Park ),한기인 ( Ki In Han ),노민선 ( Min Sun Noh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연구개발활동조사에서 기업연구개발활동 통계에 대한 효과적인 산출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ㆍ외 연구개발 통계 방법을 조사한 후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기업연구개발활동에 대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대기업은 전수조사, 소규모 기업은 표본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연구소 등록법인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행하고 있다. 전수조사는 비용이 많이 들고 비표본오차로 인하여 모집단에 대한 체계적인 추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산업기술진흥협회에 등록된 연구기관의 수가 20,000개를 넘어서고 있어 전수조사는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생각되어 표본조사 도입에 대한 타당성과 방법론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표본조사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재 전수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조사를 수행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산업별(24개), 그룹별(8개)로 구분하여 216개 셀별로 모집단수/표본수를 곱하여 산정(셀별추정법)한 결과, 전수 통계치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산업별, 그룹별로 세분하여 모집단수/표본수를 곱하여 추정하는 셀별추정법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조사설계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직전연도 조사기업은 직전연도 연구개발비 수준과 기업종류(대기업, 벤처기업, 중소기업), 그리고 산업에 따라 셀을 분할한다. 대기업, 연구개발비 수준이 높은 기업 등 주요한 셀에 대하여는 전수조사를 실시한다. 나머지 셀에 대하여는 각 셀별 연구개발지출의 분포가 동질적이기 때문에 표본 추출방법은 단순임의추출법(SRS)을 사용한다. 다만 전년도 미계상된(또는 미포함된) 기업에 대하여는 신규 대형 연구소 진입 등을 고려하여 규모비례확률추출법(PPS)을 고려하는 것이 바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기업들이 특정 항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지 않는 항목무응답의 경우, 누락된 자료에 대하여는 대체기법(Imputation Algorithm)에 따라 이를 추정한다. 이러한 표본조사방법은 전수조사에서 발생하는 비표본오차를 해소하고, 자료 수집비용 및 소규모기업의 행정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조사방법론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연구개발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새로운 설문지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The Survey on the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R&D) is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on R&D performed by Korea industrial sector.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used to assess trends in R&D expenditures. Government agencies, corporations, and research organizations use the data to investigate productivity determinants, formulate tax policy, and compare individual company performance with industry averages. Recently, Korea Industrial Technology Association(KOITA) has collected the data by complete enumeration. Koita has, currently, considered sample survey because the number of R&D institutions in industry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his study develops survey design for the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R&D) statistics by introducing a sample survey. Companies are divided into 8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R&D expenditures and firm size or type. We collect the sample from 24 or 8 sampling strata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he estimates from 24 sampling strata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results of complete enumeration survey. We propose the survey design as follows: Companies are divided into 11 groups including the companies of which R&D expenditures are unknown. All large companies are included in the survey and medium and small companies are sampled from 70% and 3%. Simple random sampling (SRS) is applied to the small company partition since they show uniform distribution in R&D expenditures. The independent probability proportionate to size (PPS) sampling procedure may be applied to those companies identified as `not R&D performers`. When respondents do not provide the requested information, estimates for the missing data are made using imputation algorithms. In the future study, new key variables should be developed in survey questionnaires.

      • SCOPUSKCI등재

        간우엽 형성부전

        조성락(Sung Rag Cho),나산균(San Gyun Rha),문성수(Seong Soo Moon),한규호(Kyu Ho Han),박인철(In Cheol Park),김순관(Soon Kwan Kim),양만석(Man Seok Yang),허갑도(Gap Do Hur),최태룡(Tae Lyong Choi) 대한소화기학회 199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3 No.1

        Unilobular atrophy or hypoplasia involving the hepatic lobes is not uncommon on the left side. It is distinctly uncommon on the right, where it probably represents an developmental anomaly if no other etiological factor is demonstrable. So we report a case of hypoplasia of right hepatic lobe.

      • KCI등재

        정부부처의 소셜미디어 소통방식

        조성은(Seong Eun Cho),박한우(Han Woo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8

        이 연구는 트위터 계정을 가지고 있는 7개 국가 175개 정부부처의 트위터 이용 및 연결망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트위터 이용 특징 대부분에서 국가 별 뚜렷한 차이를 찾기 힘들었으나 맞팔율에서는 국가 간 극명한 차이가 있었다. 미국이 다른 국가로부터 팔로잉을 가장 많이 받는 국가인 반면, 다른 국가를 팔로잉하는 데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가 간 연결관계에서 같은 언어나 문화적, 역사적 유사성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밖에 비슷한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부처 간 연결의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트위터 연결망을 가시화함으로 해서 미국이 비공식채널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언어 및 업무 유사성에 의한 연결관계도 확인함으로 해서 향후 소셜 미디어에서의 연성 권력 형성을 통한 새로운 지식 패권 구도가 출현할 수 있는 잠재성을 제시한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a Twitter network of some 175 government organizations belonging to seven countries. They are South Korea, U.S., U.K., Australia, Canada, Singapore, and Japa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 occupied the most central position in terms of the incoming followings. Next, some clusters among countries were also noticeable according to their cultural proximities including national languages.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some 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likely to make international ties with others whose main duties are similar to each other. Finally, the structural connectivity pattern of some inter-governmental Twitter networks was visualized using a social network software. On the other hand, it suggests that there is a potential for a soft power through social media and as a result, it could be assumed that a new knowledge hegemony appears in the future.

      • KCI등재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BISLD를 이용한 회복모델 개선

        조성제(Cho, Sung-Je),한성수(Han, Seong-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0

        최근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에 대한 트랜잭션 모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회복모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이러한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는 핸드오프가 발생하였 을 경우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므로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성을 위한 모바일 회복기법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는 입출력을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회복기법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SLL기법은 순차파일 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출력시간이 증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효율적인 모바일 회복 기법 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한한 회복기법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In a recent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the research for a transaction model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deal with real-time transaction. However, the research for recovery model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it would be very important for mobile recovery methods for database stability, just in case of data loss due to hand-off in mobile computing system. So, further efficient research should be keenly done to reduce I/O hand-off in mobile computing systems. SLL method increases I/O time due to sequential file. This paper have been suggested to efficient mobile recovery method in mobile computing system. Finally, it has been clearly demonstrated for system efficiency, conduct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at currently proposed recovery system.

      • 한국 제조기업 60년, 재무적 특성에 대한 종단적 분석

        조성표(Cho, Seong-Py),배한수(Bae, Han So),김경화(Kim, Kyung Hw)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5 No.2

        우리나라는 1960년 이후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으며, 이러한 경제성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서 제조업이 견인해 왔다. 그러나 최근 제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닥쳐온 위기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업 전략과 정부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며, 제조업의 현실에 가장 적합한 미래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의 제조기업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특성을 가장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재무비율을 이용하여 1960년부터 2013년까지 53년간 제조기업의 재무적 특성 변화에 대한 종단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재무비율 변화의 원인을 초래한 당시의 국내·외 경제 상황 및 경제적·경영적 정책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채비율을 통해 자본조달의 안정성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본격적인 수출 주도형 경공업 육성정책이 시행된 1960년대 중반에 제조기업은 경공업육성에 필요한 자본이 부족하였다. 이에 정부는 1·2차 경제개발계획을 시행하여 타인자본 조달을 위한 각종 혜택을 부여하였다. 이로 인해 제조기업의 부채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타인자본 의존도가 급격히 높아졌다. 이후 정부의 대제조업 정책 변화, 경기 변동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 부채비율은 200%를 상회하였으며,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는 400%에 임박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구조조정과 기업의 자체적인 노력으로 부채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그 결과, 2013년 현재는 제조기업 부채비율이 100% 이하로 자금 조달이 매우 안정적이다. 둘째, 유동비율을 이용하여 유동성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유동비율은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며, 최근 상승하였다. 유동비율의 변화추세가 부채비율과 상호 대칭적인 형태로 나타나 부채비율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경제 상황이나 정부정책 등이 유동비율에도 대체로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매출액성장률을 이용하여 성장성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매출액은 지난 53년간 모두 직전연도 대비 증가하였다. 반면, 매출액성장률은 1980년 이전에 비해 이후에 낮게 나타났다. 1960년대 중반에서 1980년대 이전까지 정부는 경공업 위주의 수출 장려정책과 중화학공업 육성을 위해 각종 정책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매출액성장률은 급성장하였다. 반면, 1980년대 이후 정부의 경제 정책이 경제안정화와 민간주도로 전환되었으며, 성숙단계에 이르러 매출액성장률이 둔화되었다. 넷째,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세전이익률을 이용하여 수익성의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세전이익률은 외환위기 이전까지 대체로 감소세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매출액영업이익률이 비교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매출액세전이익률은 외환위기 이전에는 적자를 기록하기도 하다가 최근에는 매출액영업이익률을 상회하기도 하였다. 이는 타인자본 의존도가 높고, 수출 주도인 제조기업의 특성상 이자비용과 외환차손익 등 영업외손익의 변화가 제조기업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재무구조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부채비율 변화와 유동부채 변화는 상호 대칭적인 형태가 나타나 제조기업은 주로 단기 부채에 의존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200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는 유동비율과 부채비율 모두 개선되어 재무구조는 지속적으로 안정화되는 추세가 나타났다. 여섯째, 매출액영업 이익률, 매출액세전이익률, 부채비율, 차입금평균이자율을 이용하여 수익구조의 변화추세를 분석한 결과, 제조기업의 수익구조에 부채 조달에 따른 이자비용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부채비율의 급격한 감소가 차입금평균이자율을 하락시켜 매출액세전이익률이 매출액영업이익률을 상회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반면, 매출액영업이익률은 대부분 구간에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여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수익구조가 영업성과 보다는 이자비용 등의 영업외손익에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추가분석에서는 10년을 주기로 전체 분석기간을 6개 주기로 구분한 후, 각 주기의 5개 재무비율들을 검토하여 당시 제조기업들의 포괄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업들이 급변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의 수립에 참고가 될 수 있으며, 제조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수립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 has experienc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since 1960. The economic growth has been led by manufacturing sector with strong support of government. Many manufacturing companies, however, are now facing challenge for their sustainable growth. Manufacturing companies should make strategies and government prepares new polici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sect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manufacturing companies is essential to make future strategies and policies. This paper analyzes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companies for last 53 years in Korea, based on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financial ratios from 1960 to 2013. Especially, we investigate domestic or global economic situations and managerial or economic policies which affect financial ratios in each peri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 the trend of financing stability with debt ratio.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export promotion policy to light industrial sector in the middle of 1960s. Manufacturing companies light industrial sector had limited financial resources, so government promoted companies to finance debt under the first and second economic development plan. It led to the increase of debt ratio to more than 200% and debt ratio reached 400% at financial crisis in 1997. After financial Crisis, the debt ratio had been dramatically decreasing to under 100% in 2013, due to the restructuring by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efforts of companies. Second, we analyze the trend of liquidity with current ratio. Current ratio has been stable and increasing recently. The pattern of current ratio was symmetric in general to the debt ratio in each period, which means economic or political influence factor of debt ratio are similar with current ratio. Third, we analyze the trend of growth with sales growth ratio. Sales growth rates are all positive during 53 years. Average of sales growth were about 38% in 1960s and 1970s, 12~19% in 1980s and 1990s and lower than 10% after 2000. The higher growth rates have been caused by the government economic plan promoting light industrial sector in 1960s and heavy and chemical industrial sector in 1970s. The decreased growth rates suggest the stabilization of the industries in 1980s and 1990s. The lower growth rates in recent years raised challenge to our manufacturing companies. Forth, we analyze the trend of profitability with the ratio of operating income to sales (operating margin) and the ratio of earnings before income tax to sales (EBIT). Operating margin has been stable in whole period, while EBIT show more fluctuations than operating margin. Both had been decreased until financial crisis in 1997. Losses were reported in two years around financial crisis, but it was often higher than operating margin in 2000s. It means that non-operating gains and losses have a big effect to the profitability of manufacturing companies. Fifth, we analyze the relation among ratios. he trend of debt ratio was symmetric to the current ratio, which means heavy burden of current debt. The decrease of debt ratio and borrowing rate has brought EBIT higher than operating margin, which means that the profitability of manufacturing companies depends on non-operating gains and losses. In additional test, we analyze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firms in each period. We subdivided 53 years into 6 periods: 1960s, 1970s, 1980s, 1990s, 2000s, 2010s, and investigated the trend of financial ratios in each period. Our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managers and policy makers to make strategies and policie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companies.

      • KCI등재
      • KCI등재

        효율적인 터널 내공 단면 추출을 위한 지상 레이저 스캔 자료 처리기법 개발

        한수희,조성,김상민,허준,손홍규,유광호,Han, Soo-Hee,Cho, Seong-Ha,Kim, Sang-Min,Heo, Joon,Sohn, Hong-Gyoo,You, Kwang-H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0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2 No.3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크기의 지상 레이저 스캔 자료로부터 터널의 내공 단면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헤시(hash) 기반 구조체를 이용한 터널 중심선 자동 추정 및 터널 내공 단면 구성 포인트 클라우드 추출 방식을 제안하였다. 즉, 헤시 기반 구조체에 입력한 레이저 스캔 자료로부터 일정한 방향의 단면들을 추출한 후 각 단면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터널의 중심선을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중심선을 따라 일정 간격 및 두께로 터널 내공 단면 구성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약 750만개의 포인트로 구성된 레이저 스캔 자료로부터 1 m 간격으로 0.1 m 두께의 단면 구성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하는데 3초미만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메모리는 124 MB가 소요되었다. 그러나 터널 중심선 추정 후 오류 포인트 제거, 시점 및 종점 추가 작업을 수동으로 수행해야 히는 한계도 드러내었다. The present study is about an efficient extraction of tunnel cross sections from huge point cloud achieved by a terrestrial laser scanner. A method, using a hash-based data structure, is introduced, by which point clouds, potentially composing cross sections, are extracted along a tunnel center line. The center line is estimated by linking points which are drawn in the middle of pseudo cross sections based on the hash-based data structure. Point clouds of a same thickness are extracted at a same interval along the center line. In result, it took less than 3 seconds and 124 MB of memory to extract, out of the 7.5 million points, the point clouds of 1 m interval and 0.1 m thickness. A manual operation, however, was needed to fix the outliers on the center line and to select both start and end points on it.

      • KCI등재

        한국 제조기업 60년, 재무적 특성에 대한 종단적 분석

        배한수(Han Soo Bae),조성표(Seong Pyo Cho),김경화(Kyung Hwa Kim)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1

        우리나라는 1960년 이후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으며, 이러한 경제성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서 제조업이 견인해 왔다. 그러나 최근 제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닥쳐온 위기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업 전략과 정부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며, 제조업의 현실에 가장 적합한 미래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의 제조기업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특성을 가장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재무비율을 이용하여 1960년부터 2013년까지 53년간 제조기업의 재무적 특성변화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재무비율 변화의 원인을 초래한 당시의 국내․외 경제 상황 및 경제적․경영적 정책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채비율을 통해 자본조달의 안정성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본격적인 수출주도형 경공업 육성정책이 시행된 1960년대 중반에 제조기업은 경공업 육성에 필요한 자본이 부족하였다. 이에 정부는 1․2차 경제개발계획을 시행하여 타인자본 조달을 위한 각종 혜택을 부여하였다. 이로 인해 제조기업의 부채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타인자본의존도가 급격히 높아졌다. 이후 정부의 대제조업 정책 변화, 경기 변동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 부채비율은 200%를 상회하였으며,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는 400%에 임박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구조조정과 기업의 자체적인 노력으로 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결과, 2013년 현재는 100% 이하로 자금 조달이 매우 안정적이다. 둘째, 유동비율을 이용하여 유동성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유동비율은 부채비율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며, 최근 상승하였다. 또한, 유동비율의 변화추세가 부채비율과 상호 대칭적인 형태로 나타나 부채비율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경제 상황이나 정부 정책 등이 유동비율에도 대체로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매출액성장률을 이용하여 성장성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매출액성장률은 지난 53년간 모두 양(+)의 값이 나타나 모든 연도에서 직전연도 대비 증가하였다. 다만, 매출액성장률은 1960~70년대에는 37%의 높은 성장을 보인 반면, 1980년 대 이후에는 10% 전후로 낮아졌다. 이는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까지 정부는 경공업 위주의 수출 장려정책과 중화학공업 육성을 위해 각종 정책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매출액성장률은 급성장한 반면, 1980년대 이후 정부의 경제 정책이 경제안정화와 민간주도로 전환되었으며, 제조기업이 성숙단계에 이르러 매출액성장률이 둔화되었기 때문이다. 넷째,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세전이익률을 이용하여 수익성의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매출액영업이익률은 1970년대 중반까지는 10%를 상회하다가, 2005년까지는 7~8%대를, 그리고 2005년 이후에는 5~6%대를 유지하여 하락세를 보였지만,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매출액세전이익률은 매출액영업이익률보다 4~5% 하회하며, 변동폭이 큰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런데 2000년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여 매출액영업이익률을 상회하기도 하였다. 이는 타인자본의존도가 높고, 수출 주도인 제조기업의 특성상 이자비용과 외환차손익 등 영업외 손익의 변화가 제조기업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최근의 매출액세전이익률 상승은 영업성과보다는 영업외적 원인에 기인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재무구조의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부채비율 변화와 유동부채 변화는 상호 대칭적인 형태가 나타나 제조기업은 주로 단기부채에 의존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200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는 유동비율과 부채비율 모두 개선되어 재무구조는 지속적으로 안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여섯째,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세전이익률, 부채비율, 차입금평균이자율을 이용하여 수익구조의 변화추세를 분석한 결과, 제조기업의 수익구조에 부채 조달에 따른 이자비용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부채비율의 급격한 감소와 차입금평균이자율의 하락에 따라 매출액세전이익률이 매출액영업이익률을 상회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반면, 매출액영업이익률은 대부분 구간에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여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수익구조가 영업성과 보다는 이자비용 등의 영업외손익에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추가분석에서는 10년을 주기로 전체 분석기간을 6개 주기로 구분한 후, 각 주기의 5개 재무비율들을 검토하여 각 기간별 제조기업들의 포괄적인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조기업들의 과거 53년간 재무특성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향후 기업들이 급변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의 수립에 참고가 될 수 있으며, 제조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수립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