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성하,권수영 한국회계학회 1999 한국회계학회 기타자료집 Vol.1999 No.1
한국은 미국이나 일본과 비교해볼 때 외부강사의 기능이 성숙되지 않아 외부감사의 유용성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여기에다 고정급적 잡사보수체계,갑사품질에 관계없는 연고에 의한 잡사인의 선정,감리대상 선정가능성이 낯을 뿐만 아니라 감리지척에 대해 경미한 조치 등이 회계법인이 감사품질을 제고하려는 적절한 유언을 채공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12월말 결산법인의 집중으로 인하여 물리적으로 감사시감을 충분히 투입하기 어려우며,문화적 요인 등으로 감사인의 법적 책임을 묻는 소송이 흔하지 않은 것 등이 한국의 회계법인이 미국ㆍ일본의 회계법인에 비해 감사품질을 유지하려는 경제적 유언이 적은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한국 · 미국ㆍ일본의 대형 회계법안을 대상으로 회사, Partner, Manager, Senior, Staff``에 대해 각각 설문 조사하여 각국간의 갑사환경 몇 제도의 차이가 감사품질의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회계법인 차원에서 외부검토,업무명가 둥과 같은 감사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는 한국ㆍ미국ㆍ일본간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감사단위 차원에서 한국의 회계법인은 상대적으로 감사배정인 원과 갑사시간을 적게 투입하였으며,감사계획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또한 감사를 실제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감사인윤 분석적 검토절차,내부통제의 평가,감사조서의 활용 풍에 있어서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국가간 감사품질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는 회계법인 차원에서의 감사방침이나 지침으로만은 감사품질을 제고하기에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감사보수,감사인의 법적 책임,감리제도 동 감사환경의 제도적 개선만이 만족할만한 질적 수준의 감사결과활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조성하,유보선,김진호,이경수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5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debris flow impact force scale test on erosion control dam, ring net in order to estimate impact force characteristics, impact force absorption mechanism. The peak impact force acting on the dam occurred at the lower part in 50o and the amount of impact force was 85.97 kN. The result tends that the steeper the slope angle was and the lower impact force reaction point was located at, the bigger the impact force became due to that debris flow movement speed was also faster. The result of ring net also shows similar to that of ring net, but the peak impact force of ring net reduced 33.94% (56.79 kN), because 17.3% of all debris penetrated from ring net. Meanwhile, the impact force acting on ring net was not only absorbed in steel-wire,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aggregate penetration. the wire elongation at low part in ring net exceeded the steel wire permanent plastic deformation limit.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붕괴에 따른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토석류 방지시설인 중력식 불투과형 사방댐, 링네트에 대한 모형실험 결과를 토대로 구간별, 경사별 충격하중 발생특성, 충격흡수 메커니즘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사방댐에 작용한 충격하중은 고각일수록, 충격작용점이 하부구간에 위치할수록 크게 작용하였으며, 최대 충격하중은 토석류 이동속도가 가장 빠른 50o 하부구간에서 85.97 kN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링네트 또한 충격하중 발생 경향은 사방댐과 유사하나 토석류가 네트전면으로 약 17.3% 통과함에 따라 최대 충격하중은 사방댐 결과보다 33.9% 감소한 56.79 kN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링네트는 강재의 탄성거동 이외에도 토석류 유출에 의한 하중경감을 이용하여 충격하중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분석되나 50o 하부구간의 늘음량은 영구 변형률 이상의 결과가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