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일본 국학원대학 고고학자료관 소장 고려묘지명

        趙明濟 한국중세사학회 2004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16

        The Inscriptions on a Tombstone in Goryeo Dynasty(高麗時代) in KOKUGAKUIN UNIVERSITY(國學院大學) collected by Tokutomi Soho(德富蘇峰). The new Inscriptions are as follows 1) Ryu, Chang-Woon(柳昶雲) 2) Jeangunbuin Hwangbossi(齊安郡夫人 皇甫氏) 3) Okgugundaebuin Limssi(沃溝郡大夫人 林氏) 4) Ryeom, Su-Jang(廉守臧) This Inscriptions are of use to study Social history and history of thoughts in Goryeo Dynasty.

      • 강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3차원 위상배열 레이다용 새로운 부엽제거기

        조명제,한동석,정진원,김수중,Cho, Myeong-Je,Han, Dogn-Seog,Jung, Jin-Won,Kim, Soo-Joong 대한전자공학회 1998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5 No.10

        임의의 잡음 환경에서 신호 대 잡음비 (SNR; signal-to-noise ratio) 를 최대화하는 어레이 안테나 소자의 최적 가중치들은 안테나의 설계 구조와 안테나로 유입되는 표적 및 간섭 신호의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신호 대 잡음비를 최대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한 기존의 부엽제거기법들은 고-전력 간섭 신호시 주 안테나의 부엽으로 수신된 간섭 신호가 매우 커서 주 안테나 수신 시스템을 포화시키므로 수신 신호 성분이 손실된다. 본 논문에서는 강한 간섭 신호에 의해 주 안테나 수신 시스템이 포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수신기 전단에서 강한 간섭 신호를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적응 영 조정 기법(adaptive nulling)을 주 안테나에 적용한다. 또한, 제거할 간섭 신호를 충분히 획득하기 위해 간섭 신호 방향 적응 어레이 기법(adaptive array)을 보조 안테나에 적용한다. 제안한 부엽제거기법은 이 주/보조 안테나의 출력을 부엽제거기(SLC; sidelobe canceller)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적응 영 조정기와 적응 어레이의 결합으로 구성된 제안한 부엽제거기는 강한 간섭 신호에 의해 주 안테나 수신 시스템이 포화되는 것을 막음으로서 주어진 모의 실험 신호에 대해 기존의 부엽제거기들보다 부엽에서 평균 7 dB, 주빔 근처에서 약 20 dB 이상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하였다. The array weights that will maximize the SNR for any type of noise environment are determined by the function of the antenna design configuration and the directions of receiving target and interference signals. The conventional SLCs(sidelobe cancellers) using the SNR maximization perform worst from the saturation of the receiving system of main channel when the main antenna has pattern with high gain at the arrival angle of strong interference. In this paper, the new SLC is accomplished by using two independent antenna architecture. Main antenna is implemented with adaptive nulling, which is used for rejecting high-power interference primarily. Auxiliary antenna is realized with adaptive array for receiving interference signal to be suppressed completely, which has a characteristics of sufficient gain for every direction. The new SLC is implemented with above both antennas. We show that the new SLC, which consists of the adaptive nulling main antenna and the adaptive array auxiliary antenna, is useful in reducing the effect of strong interference like jammer, because the adaptive nulling at main antenna prevents its receiver and signal processor for saturation by strong interference. The proposed SLC has improved SNR over the conventional SLCs. The improved SNR at sidelobe region is typically more than 7 dB for a given test signal. Moreover, it improves the SNR of about 20 dB under strong interference at mainlobe.

      • 변형된 CFAR 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주파수영역 GSC

        조명제,문성훈,한동석,정진원,김수중,Cho, Myeong-Je,Moon, Sung-Hoon,Han, Dong-Seog,Jung, Jin-Won,Kim, Soo-Joong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6 No.2

        The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s(GSC's) ar used for suppressing an interference in array radar. The frequency-domain GSC's have a faster convergence rate than the time-domain GSC's because they rem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ferences using a frequency-domain least mean square(LMS) algorithm. However, we have not fully used the advantage of the frequency-domain GSC's since we have always updated the weights of all frequency bins, even the interferer free frequency bi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requency-domain GSC based on constant false-alarm rate(CFAR) detector, of which GSC adaptively determine the bin whose weight is updated according to the power of each frequency bin. This canceller updates the weight of only updated according to the power of each frequency bin. This canceller updates the weight of only the bin of which the power is high because of the interference signal. The computer simulation shows that the new GSC reduces the iteration number for convergence over the conventional GSC's by more than 100 iterations. The signal-to-noise ration(SNR) improvement is more than 5 dB. Moreover, the number of renewal weights required for the adaptation is much fe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GSC(generalized sidelobe conceller)들은 어레이 레이다에서 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GSC들 중에서 주파수영역 GSC들은 주파수영역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으로 간섭신호간 상관성을 제거함으로써 시간영역 GSC들보다 빠른 수렴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기존의 주파수영역 GSC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했다. 본 논문은 일정오경보율(constant false-alarm rate: CFAR) 검출기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갱신할 빈을 결정하는 새로운 주파수영역 GSC를 제안한다. 본 방법은 간섭신호가 존재해서 전력이 큰 주파수 빈에 대해서만 가중치를 갱신한다. 새로운 GSC는 컴퓨터 모의실험에서 기존의 GSC를 보다 100 반복주기 이상 수렴속도와 5 dB 이상의 출력 신호대 잡음비(singnal-to-noise ratio; SNR)를 개선하였고, 갱신 가중치의 수도 현저히 줄어듬을 확인하였다.

      • 고유치 확산된 간섭 신호 제거를 위한 AGC를 이용한 Applebaum 어레이

        이규만,한동석,조명제,Lee, Kyu-Man,Han, Dong-Seog,Cho, Myeong-Je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7 No.2

        기존의 적응 어레이 시스템은 입력 신호에 고유치의 최대 값과 최소 값의 차이가 큰 다중 간섭 신호가 입사될 경우에 모든 간섭 신호를 제거하지 못하는 결정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Applebaum 어레이의 출력부에 자동이득조절장치를 부착한 어레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고유치가 확산된 신호가 입사될 경우, 신호 전력이 큰 간섭 신호는 수 회 반복 수렴 후에 쉽게 제거되고 어레이 출력에는 고유치 확산의 원인이 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의 간섭 신호만 존재하게 된다 이 때 자동이득조절장치가 출력에 잔존해 있는 낮은 전력의 간섭 선호를 순간적으로 증폭시켜 입력의 저전력의 간섭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의 상관값을 높여서 가중치 벡터가 적응하도록 한다 컴퓨터 모의 실험 결과 제안한 모델에서는 이러한 고유치 확산 문제를 해결하여 다중 간섭 신호 환경에서 어레이 출력의 높은 신호 대 잡음비와 빠른 수렴 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When the eigenvalues of the input covariance matrix of an array system spread by orders of magnitude, conventional adaptive arrays can't remove all the interference signals effectively In this paper, an Applebaum array adopting an adaptive gain controller (AGC) in the feedback loop of the array is proposed When eigenvalue spreaded interferences are incident to an array, a high power interference is removed easily in several iterations while a relative low power interference which is a cause of eigenvalue spread is still remained In the array output After some initial iterations, the proposed array increa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w power interference and the array output by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rray As a result, the weights vector adapts to the direction of the low power interference as well as that of the high power interferenc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rray gives high output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and a fast convergence speed.

      • KCI등재후보

        거주형태에 따른 노인 우울증과 자살경향성 비교 연구

        왕희령,최용성,조명제,최윤미,신희숙,제수경,최재원,홍진표,Wang, Hee-Ryung,Choi, Yong-Sung,Cho, Myeong-Je,Choi, Yun-Mi,Shin, Hee-Sook,Je, Su-Kyung,Choi, Jae-Won,Hong, Jin-Pyo 대한불안의학회 2010 대한불안의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이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과 자살경향성, 우울증과 자살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살펴본 연구이다. 전체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은 28% 정도로 파악되어 실제로 65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상당수의 노인들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자살경향성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약 20%에서 자살생각, 자살의도, 자살계획, 자해의도, 자살시도 중 한 가지 이상을 지난 한 달 동안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형태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혼자 생활하거나 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에서 동거가족이 있는 노인들보다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고, 증상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에게서 자살경향성 역시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이들 고위험군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우울증의 조기 발견 및 자살예방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험요인 분석에서는 고령, 시설거주, 낮은 사회적 지지 수준은 우울증의 위험요인으로, 독거생활, 시설거주, 낮은 사회적 지지 수준, 두통의 기왕력은 자살경향성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ity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ity according to their residence type. Methods : Participants were 311 elderly people (109 male and 202 female) in Icheon City, whom trained researchers interviewed and examined Geriatric Depression Scale, Social Support Scal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Scale, and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module C. Using these data, we analyzed participant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ality. Results :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28.0%. The prevalenc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ose admitted to residential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mong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Suicidality frequency was 19.6%. The suicidality frequenc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ose admitted to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mong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The risk factors for depression were age, admission to a facility, and low economic status. The suicidality risk factors were living alone, admission to a facility, poor social support, and a history of headache.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frequency of suicidality among the elderly in such a city was quite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mind psychiatrists of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a high risk of depression and suicidality.

      • 표적 입사각 추적을 위한 모노펄스 빔형성 네트워크

        문성훈,한동석,조명제,Moon Sung-Hoon,Han Dong-Seog,Cho Myeong-Je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1 No.1

        본 논문에서는 재밍 신호가 존재할 경우에 모노펄스 기법을 이용하여 표적신호의 입사각을 추정하기 위한 모노펄스 빔형성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모노펄스 빔형성기는 평면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방위각과 고도각으로 별도의 빔형성을 수행한다. 즉, 방위각 방향으로의 빔형성을 통하여 표적 고도각을 추정하고, 고도각 방향으로의 빔형성을 통하여 표적 방위각을 추정한다. 기존의 모노펄스 빔형성기에 비하여 적응된 가중치의 값에 상관없이 모노펄스 비를 얻으므로 구현이 간단하고 빔형성에 의한 편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주엽 제한조건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다수의 주엽재밍이 존재할 경우에도 표적의 입사각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This paper proposes a monopulse beamforming network to estimate a target angle in interference conditions. The proposed system estimates the target direction of arrival (DOA) with two separate beamformings for azimuth and elevation with a planar may. The elevation is extracted from adaptive beamforming in the azimuth direction and the azimuth from adaptive beamforming in the elevation direction. Unlike conventional monopulse beamforming techniques using complex correction formulas or a cascaded architecture of an adaptive array and a mainlobe canceller, the proposed system is very efficient from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advantage is from fact that the monopulse ratio of the proposed system does not depend on the adapted weights. Moreover, the proposed system can estimate the DOA of the target even for multiple mainlobe interferences since it does not need my kinds of mainlobe maintenance techn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