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볶음 새송이버섯 기능성분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최적화

        이명희,윤성란,조덕조,김현구,이기동,Lee, Myung-Hee,Yoon, Sung-Ran,Jo, Deok-Jo,Kim, Hyun-Ku,Lee, Gee-D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8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employed to optimize extraction conditions for finding the maximiz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roasted Pleurotus eryngii. Based on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were ethanol concentration ($0{\sim}100%$), extraction time ($1{\sim}9$ min) and microwave power ($25{\sim}125$ W). Soluble solid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were mainly affected by ethanol concentration, but ACE inhibition activity was largely affected by extraction time. The optimum ranges of extraction conditions resulting from superimposing the response surface were predicted to be ethanol concentration ($25{\sim}50%$), extraction time ($3{\sim}9$ min) and microwave power ($80{\sim}125$ W). Total protein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optimal extracts were 45.80 mg/g and 7.42 mg/g, respectively. In phenolic compounds of roasted Pleurotus eryngii extracts, protocatechuic acid was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1226.32 ${\mu}g/g$, followed by salicylic acid, 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caffeic acid, coumaric acid and hesperidin. 볶음 새송이버섯의 기능성이 우수한 최적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에탄올 농도($0{\sim}100%$), 추출시간($1{\sim}9$ min) 및 마이크로웨이브 파워($25{\sim}125$ W)에 따른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반응표면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에탄올 농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CE 저해활성은 추출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 새송이버섯의 최적 추출조건은 에탄올 농도 $25{\sim}50%$, 추출시간 $3{\sim}9$ min, 마이크로웨이브 파워 $80{\sim}125$ W일 때로 나타났다. 최적 추출물의 총 단백질 함량은 45.80 mg/g,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7.42 mg/g으로 나타났으며, 페놀성 물질 중 protocatechuic acid가 1226.32 ${\mu}g/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alicylic acid, 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caffeic acid, coumaric acid 및 hesperidin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양파주의 최적 발효조건 모니터링

        최인학 ( In Hag Choi ),조덕조 ( Deok Jo Jo ),이기동 ( Gee Dong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저장성이 낮은 양파를 이용하여 양파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발효의 화학적 특성(잔류 당 함량, pH, 산도 및 알콜 함량)과 관능적 특성(색상,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은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모니터링 되었다. 알콜 함량에 대한 반응표면분석 결과, 회귀식의 R2가 0.9620으로 1%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예측된 정상점은 최대점으로 발효온도 29.27%, 발효시간 103.43 hr및 초기 당도 27.52 °Brix였으며, 최대점가지는 초기 당 함량과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0.9060으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예측된 정상점은 아낭점으로, 39.27℃, 57.28 hr 및 22.14 °Brix의 조건에서 최대값 6.64점으로 예측되었다. 알콜 함량과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를 만족시켜 주는 조건을 구하기 위해 반응표면 중 최적 반응표면만을 superimposing하여 양파 발효주의 최적 발효조건을 설정한 결과, 발효온도 28~32℃, 발효시간 80~90 hr 및 초기 당도 20~25 °Brix로 예측되었다. Central composite design along wit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applied to improve the fermentation process in onion (Allium cepa) wine production. The effects of different fermentation parameters (tine temperature, and initial sugar conten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with respect to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wine. The maximum score for the alcoholic content was obtained at 29.27℃ fermentation temperature, 103.43 h fermentation time, and 27.52 °Brix initial sugar content. The maximum scow for overall palatability was obtained at 39.27℃ fermentation temperature, 57.28 h fermentation time, and 22.14 °Brix initial sugar content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were 0.9620 and 0.9060 for alcoholic content and overall palatability, respectively. The ranges of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28~32℃, 80~90 hr, and 20-25 °Brix) were obtained by superimposing the response surfaces with regard to the alcoholic content and overall palatability of onion wine.

      •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강호진,정헌식,조덕조,변명우,최성진,최종욱,권중호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0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0 No.3

        감마선(0, 0.5, 1, 2, 3 kGy) 조사와 methyl bromide(MeBr, 26 g/㎏, 4hr) 훈증 및 이들의 처리시기가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특성에 영향을 비교하여, 검역처리를 위한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감마선 조사의 응용성을 검토하였다. 감마선과 MeBr 처리에 따른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평가에서 2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와 MeBr 훈증은 사과의 일부 생리화학적 품질특성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과 MeBr의 처리시기별로는 수확 직후보다는 저온(0℃)에서 40일 정도 보관 후 처리한 대체적으로 품질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와 지연조사는 사과 과실의 품질을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검역처리 기술로 활용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Fuji' apples were treated by gamma irradiation (0∼3 kGy) or methyl bromide fumigation at commercial conditions (MeBr, 25 g/㎏, 4 hr) for quarantine purpose at two different treatment timing after harvest and stored under air a 0℃ for 4 months.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timing of irradiation or fumigation, after 40 days of storage at 0℃ following harvest was more adequate than immediately after harvest in keeping qualities of stored apples. However, more than 2 kGy irradiation and MeBr fumigation were detrimental to physiological and chemical qualities of the fruits. These results show that less than 1 kGy irradiation at the delayed timing has a possibility to be applied as a quarantine procedure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quality of ap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