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공도서관 운영의 기본지표와 이용실적과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거주지별 학력별 소득별 이용을 중심으로 -

        조금주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4

        This research is based on open data from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nd Seoul Survey 2020 from Seoul to analyze the Seoul citizens’ usage of public libraries. For such purposes, this research compared and diagnosed the condition of public libraries services at 25 districts of Seoul, focusing on objective indicators of library management and general usage record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budgets, human labor, the number of books, and total ground area were compared with usage records of different classes of Seoul citizens, organized by the citizens’ place of living,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bjective indicators and public usage records of different classes was confirmed. Seoul citizens’ usage of public libraries and reading tendency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o, a balanced development of the public libraries in Seoul was proposed to overcome regional disparities and leveling the service level by investigating usage behavior and reading tendency of the public libraries in Seoul.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개방형데이터와 서울특별시 2020 서울서베이의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서울시민의 공공도서관 이용 현황 분석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예산, 도서관 운영인력, 소장 장서수, 연면적 등 도서관 운영의 중심 지표들을 중심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제공 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이러한 공공도서관 운영의 기본지표들과 서울시민의 거주지별 학력별 가구월평균소득별 공공도서관의 이용 실적을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산, 인력, 장서수와 같은 도서관 운영의 중심 투입지표와 서울시민의 거주지별 학력별 소득별 공공도서관의 대출자수와 대출권수, 상호대차서비스 건수라는 산출지표와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서울시민의 공공도서관 이용행태와 독서경향을 파악하여 지역간의 격차를 극복하고 서비스 수준을 공평하게 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균형적인 발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대만과 한국 대학생들의 한류 의식 비교 연구

        조금주,장원호,김익기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Hallyu consciousnes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 Taiwan and Korea. Firstly, political and economical situation and tourist and trade industries of Taiwan have been researched. Secondly, Taiwanese and Korean Students', way of taking up and criticizing the foreign popular culture, including Hallyu was analyzed. Thirdly, a spot survey has been conducted in Taiwan. This is to identify the forming background, spreading process, and durability of Hallyu. For this survey, four female and four 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each country were chosen. In total, 16 students were chosen based on their sex, college attendance, grades and fields of study to carry out FGD. Last the way of recognizing the problems in Hallyu and continuing its dissemination in Asia was considered. The results show that following reform measures are inevitable. First of all, development of Hallyu contain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needed to continuously attract people’s interest. In order to achieve this, both supplementation and amelioration of contents are required. Secondly, Hallyu should be spread through the Internet which is the favorite medium of communication among young generations. It can be done by generating various Internet embodiment systems and proper contents for youth. Thirdly, as Taiwa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already indicated, various materials for Hallyu should be developed in different ways. This is because Korean traditional culture-related items tend to be highly uniform in format and content. Fourthly, Korean students are generally very accepting of Western culture. This suggests that Taiwanese students may switch to other foreign cultures in the future. It is pivotal to pay particular close attention to the sustainability of Hallyu. 이 논문의 목적은 대만과 한국 대학생들의 한류 의식의 비교 연구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대만의 정치경제적 상황, 관광 및 무역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대만과 한국 대학생들이 한류를 포함한 외국 대중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비판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셋째, 대만에서의 한류의 형성배경, 확산과정, 지속성 등을 알아보기 위해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성별, 재학 대학, 학년, 전공 등을 고려하여 대만과 한국 여자 대학생 각 4명, 남자 대학생 각 4명 총 16명을 대상으로 FGD를 실시하였다. 넷째, 한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아시아에서 한류를 지속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첫째, 앞으로 한류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한국의 전통 문화를 담은 한류로의 발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콘텐츠의 보완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젊은 세대들이 가장 선호하고 있는 문화접촉 수단인 인터넷을 통해 한류가 전파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구현 방식을 개발하고 이들이 호응할 수 있는 내용들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만과 한국 대학생들이 지적한 바처럼 한국의 문화 관련 상품들은 내용과 형식에 있어 강한 획일성을 지니고 있어, 한류에 관한 다양한 소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한국 대학생들은 서구적 문화 수용도가 높은 편이며, 대만 대학생들은 지금까지의 한류 대신 또 다른 나라의 문화를 선호할 수 있음을 생각할 때, 한류의 지속성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뉴노멀 시대에 따른 우리나라 청소년 교육복지 정책 방향 개선 연구

        조금주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3

        이 논문은 뉴노멀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 청소년 교육복지 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으로 첫째, 뉴노멀 시대의 교육복지 정책 방향의 모색은 이제까지 이루어져 온 교육복지의 문제점 해결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교육복지 정책 추진상 나타났던 문제점들을 정책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둘째, 뉴노멀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복지적 측면에서 필요한 정책 과제들을 탐색하였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으로 학생들의 실제적인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셋째, 기존의 교육복지 정책 추진상 나타난 문제들을 해결하고, 뉴노멀 시대 필요한 과제들을 추진하기 위한 한국형 교육복지 정책 및 사업 방향을 탐색하였다. 뉴노멀 시대의 특징인 온라인 강의 확대와 일자리 감소로 인한 가정 경제의 어려움에 따른 저소득층의 확대는 교육적 사각지대를 형성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교육복지안전망의 강화가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포스트 코로나를 향해 나아가는데 필요한 교육복지 정책 방향과 과제들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a new direction for Korea's educational welfare policy in the era of the new normal. First, in that the search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welfare policy in the new normal era must be premised on solving the problems of educational welfare that have been made so far, the problems that have appear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xisting education welfare policy are divided into policy and operational aspects, and these problems to be solved were sought. Second, in the face of the new normal era, necessary policy tasks in terms of educational welfare were explored. In particular, we explored the tasks necessary to support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student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Third, the Korean-style educational welfare policy and business direction were explored to solve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xisting educational welfare policy and to promote the necessary tasks in the new normal era. This is why enforcing the educational welfare safety net is needed. In this regard, the educational welfare policy direction and tasks necessar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e period and move toward the Post Corona are presented as a conclusion.

      • KCI등재

        한국 중등장애청소년 직업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조금주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6

        This paper analyzed the problems revealed through the policy process related to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about the vocational education of secondary disabled youth. Since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on December 31, 1977, the importanc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steadily emphasized. Nonetheless, as of 2018, enrollment rates and employment rates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re far behind those of ordinary high school graduates. For the disabled adolescents, an employment is an absolutely necessary requirement for self-reliance, and vocation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vocational education conditions for disabled adolescents are still insuffici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blem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eachers' problems related to secondary education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e curriculum problems with them, a lack of community linkage, and administrative and management support needed to strengthen their education. Therefore, we sought the improve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improve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o raise the employment rate of th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이 논문은 중등장애청소년 직업교육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과 관련 정책 추진 과정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1977년 12월 31일 「특수교육진흥법」 제정 이후, 장애청소년들의 진로 및 직업교육의 중요성은 꾸준히 강조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8년 현재 장애청소년들의 진학률 및 취업률은 일반 고등학교 졸업생들에 비해 훨씬 뒤지고 있다. 장애청소년들에게 취업은 자립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건으로 직업교육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이루어져 온 관련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장애청소년들의 직업교육 여건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장애청소년들의 직업교육 실태를 파악한 결과, 중등장애청소년들의 직업교육의 문제, 중등장애청소년을 담당하는 교사 관련 문제, 이들에게 시행되고 있는 교육과정 문제, 지역사회 연계 부족 문제, 중등장애청소년들의 직업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행정 및 관리 지원 문제 등의 측면으로 집약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중등장애청소년들의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직업교육과 관련한 개선책들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진학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 및 부당 노동 실태에 관한 표적집단면접의 시사점

        조금주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2

        This thesis studied the academic term students’part-time job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unjust labor through FGI. As a result of FGI, it shows that the inferior part-time job environment and the actual of the unjust labor didn't be improved still. First, in connection with the actual part-time job, the students respond to choose their part-time job to satisfy their desire to spend, this shows that the health of their participation opportunity was debased. Also, they said that they stopped because they endured of the unjust treatment from their owner and their co-workers and they didn't make money than they expected. Second, as a result of the actual condition of the unjust labor, they spoke their mind that it is very rare to make their employment contract and they heard the abusive language from their owner and their co-workers, in the case of a girl student, they felt the sense of outrage because of the sexually harass. Third, as a result of the measure of the unjust labor, they almost didn't know about the Adolescents Labor Relations Act and the campaign of 1318 ALJA, ALJA. In these situation, the next plans must be realized to improve the part-time job's environment and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unjust labor. First, we try to make the adolescents' healthy sense about their part-time job and to extend their part-time job opportunity such as the school, the library and the public institution. Second, it is needed to change the ordinary person's recognition of the treatment about the part-time job student an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Third, the next plans must be carried out : the education about the making and the content understanding of the employment contract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unjust labor, the rigid enforcement of regulations of the unjust labor,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about the Adolescents Labor Relations Act, the information enhance of the campaign of 1318 ALJA, ALJA. 이 논문의 의의는 진학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 및 부당 노동 실태를 표적집단면접(FGI ; 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살펴본 것에서 찾을 수 있다. 표적집단면접의 결과, 열악한 아르바이트 환경 및 부당 노동 실태는 여전히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아르바이트 실태와 관련하여, 학생들은 소비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선택하고 있다고 반응해 아르바이트 참여 계기의 건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용주나 동료들로부터 부당한 태도를 견디기 어렵고, 실제 생각보다 돈을 많이 버는 것도 아니어서 그만 두었다고 응답했다. 둘째, 부당 노동 실태와 관련하여,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드물고, 고용주나 동료들로부터 폭언을 듣고, 여학생들의 경우에는 성적 희롱으로 모욕감을 느낀 적이 있음을 토로하였다. 셋째, 부당 노동 대처와 관련해, 청소년 노동관계법 및 1318 알자알자 캠페인에 대한 인지도도 거의 없었다. 이러한 상황속에 아르바이트 환경을 개선하고, 부당 노동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학생들로 하여금 아르바이트에 대한 건전한 의식 형성 및 학교나 도서관, 공공기관 등으로의 아르바이트 기회 확대, 둘째, 아르바이트생들을 대하는 일반인들의 인식 전환과 아르바이트 근무조건 개선, 셋째, 부당 노동 피해를 막기 위해 근로계약서 작성 및 내용 파악에 대한 교육, 성희롱 대처에 대한 교육, 부당 노동 단속 강화, 청소년 노동관계법에 대한 교육의 실시, 1318 알자알자 캠페인의 홍보 강화 등이 실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어린이도서관의 가치에 관한 연구 - S어린이도서관을 중심으로 -

        조금주,Cho, Keum-Ju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S 어린이도서관여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지역사회 및 지역주민에게 미치는 사회, 문화, 경제적 영향력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이용 통계 분석을 하였고, 타도서관 대비 효율성 비교 분석, 그리고 설문지를 통한 이용자 평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조사의 결과로 얻어낸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S 어린이도서관의 서비스 수준을 확인하였고, 지역사회에서의 어린이도서관의 역할과 존재적 의미를 파악하였으며, 이용자들의 인식을 통한 S어린이도서관의 지역사회에서의 경제적 기여도에 대한 측정을 함으로써 S어린이도서관의 가치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This work investigated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impacts of the services that S Children's Library provides to local community and its resident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user statistics by using Korean Library Automation System III, practice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libraries over circulation efficiency, and reviewed the user's evaluation through user survey. The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value of S Children's Library by verifying the service status of S Children's Library based on the analyzed data, assessing the role and meaning of the children's library within the community, and measuring the economical contribution through user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