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행자보호시스템

        정호기(Ho Gi J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This paper divides pedestrian protection methods into three categories ? infrastructure enhancement, passive safety system, and active safety system ? then summarizes recent research trend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two problems, which are not researched but required for our country, as future works. The first topic is acquiring compatibility between traffic calming and recognition systems of intelligent vehicle. As current recognition systems of intelligent vehicle are tuned to the appearance of existing road structures, they could be confused and degraded by roads modified by traffic calming. Therefore, development of recognition systems considering traffic calming and addition of traffic signs to assist automatic recognition systems seem to be required. The second topic i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based pedestrian detection. The most challenging situation to sensor fusion-based pedestrian detection is when a pedestrian runs into the road from a hidden area. Even in the situation, communication-based can detect the pedestrian. Furthermore, it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module holder. Therefore, core technologies should be developed before related standardization procedures start.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s against Radioactive Rays of Nursing Students

        정호기(Jung, Ho Gi),양야기(Yang, Ya 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s against radioactive rays of nursing students, and to describe those factors affecting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s against radioactive rays. The participants were 164 nursing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st and September 30th, 2019,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24.0 program.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s against radioactive ray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participant s gender, educational experiences of radiation protec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radiation protection. Defensive knowledge against radioactive ray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s against radioactive rays.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defensive knowledge against radioactive rays, defensive attitude against radioactive rays, gender, educational experiences of radiation protec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radiation prote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s against radioactive rays, which accounted for 26% of variance in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concluded that defensive knowledge against radioactive rays, attitudes among nursing students is important to promote to enhance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s against radioactive rays is highly recommended.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방사선 방어 지식, 방사선 방어 태도, 방사선 방어 행위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방사선 방어 행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이며, G 광역시와 J도 소재 3개 간호대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4.0 프로 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one 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방사선 방어 지식은 9.68점(15점 만점), 방사선 방어 태도는 4.29점(5점 만점), 방사선 방어 행위 자기효능감은 3.36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방어 지식은 방사선 방어 행위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r=.37, p<.001), 다중 회귀분석 결과, 방사선 방어 행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방사선 방어 지식(β=.34, p<.001), 성별(β=-.24, p=.001), 방사선 관련 교육 요구도(β=-.23, p=.001), 방사선 관련 교육 경험(β=.18, p=.010)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7% (F=13.18,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방사선 방어 행위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사선 방어 지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역사박물관의 구성과 전시 그리고 재현 논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3∼4전시실을 중심으로-

        정호기 ( Ho Gi Jung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3 시민사회와 NGO Vol.11 No.2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2012년 12월에 개관했다. 이 박물관 건립은 제17대 정부의 역사 인식과 정책을 잘 보여주는 국책 사업이었다. 2008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공표되었던 ``성공의 역사``, ``발전의 역사``, ``기적의 역사``를 구현하는 것이 이 박물관의 사명이었다. 이 글은 이 박물관의 역사관이 가장 잘 투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3∼4 전시실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했다. 이 글은 어떤 배경과 맥락에서 이 박물관이 건립 및 구성되었고, 공간 연출의 주안점이 어디에 있었으며, 공간의 재현 논리가 어떻게 관철되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가장 많은 면적이 할당되고, 사업비가 투입된 제3전시실은 제3∼5공화국을 대상으로 하지만, 사실상 박정희 시대관이라고 할 수 있다. 제6공화국을 대상으로 하는 제4전시실은 각 정부들의 차이를 드러내는 것 보다, 근래에 세계에서 선호를 받는 한국의 이미지를 보여주는데 초점이 있다. 전시공간은 조명과 주제를 연계지어 제3전시실은 어둠의 강약으로, 제4전시실은 밝음으로 시대상을 표현했다. 전시공간에는 소품과 전시기법의 사용과 배치가 중요한데, 제3전시실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제4전시실은 첨단전자제품들로 채워져 있다. 한편 대통령 집무실의 배치는 이 박물관의 장소성을 암시해준다. 전시공간의 재현 논리에서 보면, 제3전시실은 성장과 발전의 시대를, 제4전시실은 한국 경제가 선진국 반열에 들어섰음을 재현 한다.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하면, 제3∼4전시실은 생활관이나 사회관의 요소들도 갖고 있지만, 보다 지배적인 성격은 홍보관과 산업관인 것으로 평가된다.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as opened in December 2012. The construction of this museum was national project well be exposed historical view and policies of the 17th government of Korea. The mission of this museum was to implement ``history of success``, ``history of progress`` and ``history of miracles`` announced by the president on independence day in 2008.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exhibition 3-4 hall, which has shown to be well reflected historical perspective of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is study deals with some backgrounds and contexts of constructing and composi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hat is the point of the space direction and how did carry through the representation logic of space. Exhibition hall 3 which was assigned to the large area and committed the most cost included Republic of korea 3-5, in fact can be said Park Chung-hee government exhibition hall. Exhibition hall 4 targeting Republic of Korea 6 didn`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overnment, rather emphasized to show the preferred image of Korea in the world in recent years. Images of each period seemed to be expressed by linking illumination and theme in exhibition space, exhibition hall 3 adjusted by strength of the darkness, and exhibition hall 4 was represented by the brightness. In the exhibition space, props, use of display techniques and placement are important, the focus is aligned the exhibition hall 3, the exhibition hall 4 is filled with high-tech electronic products. Meanwhile, artful spatial arrangement of the president office provides a hint about location of this museum. In the representation logic of exhibition composition, exhibition hall 3 reveals the growth and development period, exhibition hall 4 shows Korea`s economic level is developed countries. Given these characteristics, exhibition hall 3-4 have elements of exhibit rooms about life and society, but also have more dominant elements of public information and industrialization.

      • KCI등재

        기념사업으로 본 ‘5·18’의 의미 변용

        정호기(Ho-Gi J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1 No.3

        한국전쟁 이후에 발생했던 수많은 사건들 가운데 ‘5·18’ 만큼 사회적 기억의 편차가 컸던 경우는 드물 것이다. 5·18은 다른 민주화운동 관련 사건들에 비해 의미의 변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도 특별하다. 그래서 이 글은 먼저 기념사업을 중심으로 5·18의 의미가 변용되었던 배경과 논리를 파악하고, 이것이 5·18기념사업의 관점과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한다. 5·18기념사업에 관한 인식과 형태는 2000년을 전후하여 크게 달라졌다. 이전 시기의 기념사업은 사회운동 논리가 제도화의 논리로 일정하게 수렴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시기에는 민주성지와 성역화의 담론이 중심을 이루었고, 기억투쟁의 성격을 띠었다. 반면 이후의 시기에는 5·18의 의미가 문화도시와 인권도시를 조성하는 역사적 자원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5·18의 의미는 때로는 지역 발전 담론으로 전유되었고, 때로는 도시차별화 전략의 소재로 채택되었다. 이에 맞추어 기념사업이 추진되었던 형태도 기억투쟁형에서 유산산업형으로 달라졌다.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has been considered to be specific case of the big deviation in social memory among the events that occurred after the Korea War. Compared with other events associated with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s special in that can be achieved various changed meaning. In this study, primary focus will be on the background and logics to show what changed the meaning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emorial project. And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change of meaning on perspectives and forms of memorial projects. Recognition and forms of memorial projects on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had been largely changed around 2000s. Memorial projects were the aspects that are the logics of the social movements absorbed into the logic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before 2000s. During this period, it was done primarily the discourse of a holy ground for democracy and sanctuarization, had characterized the nature of the struggle of memory. After 2000s,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has been interpreted historical resources to create a cultural city and a human rights city. Sometimes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as appropriated by local development discourse, and sometimes was adopted as the material of differentiation strategy in the city. Form of memorial projects has also been changed type of struggle of memory to type of heritage industry.

      • KCI등재

        사회적 기억매체에 담긴 한국광복군

        정호기(Jung, Ho-Gi)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4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존재하게 한 실질적인 기반은 독립운동이다. 독립운동은 다양한 단체와 사건 그리고 인물로 구성되는데, 지난 수십 년 사이에 위상과 의미가 크게 반전된 경우는 한국광복군이다. 한국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대로 창설되어 항일전선에서 독립전쟁을 벌였다. 한국광복군은 새로운 국가의 군대로 편제될 것이 확실했으나, 광복 이후 환영받지 못했고, 1946년 5월 16일 해산해야 했다. 그리고 오랫동안 사회적 기억에서 사라졌다. 이 글은 한국광복군에 대한 사회적 기억이 달라진 계기가 무엇이며, 기억매체들에서 어떻게 조명되었고 변화했는가를 살펴보았다. 한국광복군에 대한 사회적 기억은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기점으로 급변했다. 이를 볼 수 있는 첫 번째 기억매체는 정부포상이다. 한국광복군이 정부포상으로 조명을 받은 시점은 4·19혁명 직후였다. 이어 집권한 군사정부는 정부포상을 활용해 정통성을 확보하고, 위기 국면에 국민의 통합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했다. 그래서 1962년, 1963년, 1968년, 1970년, 1977년에 3·1절 혹은 광복절을 계기로 독립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실시했다. 한국광복군 대원들이 여기에 포함되었던 바, 제대로 조명될 수 없었다. 한국광복군에 대한 재조명의 계기가 마련된 것은 1987년 6·10민주항쟁이었다. 6·10민주항쟁의 성과로 헌법이 개정되었고, 새 헌법 서문에 ‘임시정부정통론’의 근거가 확립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위상과 의미가 격상함에 따라 한국광복군도 재평가되었다. 먼저 나타난 변화는 광복절과 3·1절의 경축사와 기념사에 한국광복군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것이었다. 한국광복군의 존재와 활동에 대한 의미 부여는 점점 확대되었다. 그리하여 국군의 날과 현충일에도 군의 정통성, 헌신과 희생을 상징하는 역사 자원으로 다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한국광복군과 직접 관련된 기념일도 위상이 높아졌고, 한국광복군의 활동과 관련한 기념일도 제정되었다. 추모의례를 통한 사회적 기억은 이승만 시대에는 2회, 박정희 시대에는 3회가 있었으나, 의미를 둘만큼 영향이 크지는 않았다. 한편 한국광복군동지회는 광복군 선열묘소를 성지로 인식하고 있다. 전시공간의 한국광복군은 6개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6·10민주항쟁 이전에 개관한 한 전시공간은 육군박물관 하나뿐이고, 나머지는 이후에 개관 혹은 재개관했다. 이들 전시공간은 건립 목적에 따라 전쟁사의 흐름과 독립운동의 흐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재현의 주제와 내용에서 차이가 있다. 전쟁사의 흐름에서는 의병과 독립군 그리고 광복군으로 이어지는 무장투쟁의 정통성을 드러내는 것이 주요 서사이다. 독립운동의 흐름은 초반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치되었으나, 근래에 올수록 전쟁사의 흐름이 강조되는 양상을 보인다. 전시공간의 한국광복군은 군맥의 정통성이 강조되면서 사회적 기억의 편향성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리고 동시대에 활동했던 군사단체들과 한국광복군의 다양한 삶의 모습과 주제들이 배제되고 있다.

      • KCI등재

        과거의 재조명에서 시민주체의 형성과 연대 그리고 와해 : ‘여순사건’의 의례를 중심으로

        정호기(Jung Ho-Gi)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7

        이 글은 과거에 대한 정치·사회적 재조명과 재평가 과정 및 성과를 이를 주도하는 주체의 전환과 연대 관계의 동학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는 것이다. 주체의 전환이라는 측면에서는 국가에 의해 독점적으로 전유되던 특정한 과거에 대한 담론과 의례가 시민주체의 형성과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연대 관계의 동학이라는 측면에서는 시민주체를 구성한 집단들의 관계 변화와 이에 관한 쟁점들을 고찰했다. 연구 대상은 1948년에 발생하여 반세기 이상을 ‘반란’으로 규정되었다가, 근래에 다시 규명되고 있는 ‘여순사건’이다. 이 글에서 고찰하는 주요한 집합행동은 넓게는 진상규명운동 일반이고, 좁게는 위령제로 구체화되는 의례이다. 여순사건은 발발 직후부터 이승만 정부의 정권 안정과 유지 그리고 반공체제의 구축을 위해 전유되었다. 이는 각종 통치 법률의 제정과 인적청산 그리고 감시와 규율체제의 정비로 나타났다. 또한 공인된 추모 의례를 통해 여순사건에 대한 사회적 기억을 고착시켰다. 이로 인해 사건이 발발한지 50여년 만에, 여순사건의 진상규명과 재구성을 위한 시민주체의 활동이 개시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추모 의례를 매개로 하여 유족이 발견되었고, 시민주체의 다양한 참여와 연대가 확산되었다. 그런데 시민주체의 연대는 균열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었다. 이 연대는 여러 요인들, 즉 지역의 구속력, 지역별 시민주체가 지닌 조건과 역량의 편차, 참여 주체들의 다양한 관계, 국가의 진실규명 결정 등의 복합적인 작용에 따라 2008년을 정점으로 급속히 와해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1) the transition of the subjects leading the process and performance of the reassessment and re-evaluation of past political and social incidents, and 2) the dynamics of solidarity among the new su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transition, the study examines the attributes of the discursive change arising from the formation and growth of civic subjects, away from the time when discourses on particular historical incidents were wholly appropriated by the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ynamics of solidarity among various civic groups, or civic subjects,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al changes taking place among them and the issues arising from those chang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Yeosu-Suncheon incident of 1948. For half a century, it was known as a “rebellion”, but recently the historical incident was re-assessed and went through a name change. In broad terms, the main collective action this study examines is the truth commission activity in general; more narrowly, it is the commemorative ritual in particular. From immediately after the eruption of the “Yeo-Sun” incident, the Rhee Syng-man government wholly appropriated the discussion of the incident and used it to secure and maintain its power and to build and solidify anti-communism in the country. The appropriation also manifested itself in the legislation of various laws, liquidation of opponents, and streamlining of order and surveillance systems. Also, through officially approved commemorative rituals, the government firmly established a particular social memory of the Yeo-Sun incident. Thus, it took fifty years for civic subjects to launch fact-finding activities and to reassess the incident. In the process, with the announcement of a commemorative ritual, families of the deceased came to surface; and civic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discourse in a variety of forms, and solidarity was formed among them. However, the civic solidarity had built-in elements of breakup. They include local binding power; variance in local human and other resources; various connections among the participating subjects; and the decisions of the national truth commission. Due to complex interplays of these elements, the civic solidarity reached its peak in 2008 and then fell apart rapidly.

      • KCI등재

        1930년대 전반기 ‘전북교원사건’의 구성과 재해석

        정호기 ( Jung Ho-g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9 No.-

        사회주의는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을 이해하고 구성하는데 생략할 수 없는 주제이다. 이 시기 사회주의 항일운동에 대한 인식은 양면적인데, 하나는 존재와 활동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문서와 자료에 남겨진 기록을 사실로 인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당국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조직사건이 구성되었을 수 있고, 그렇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 글의 연구 대상은 1930년대 전반기에 사회주의 항일운동으로 재판을 받은 ‘전북교원사건’이다. 이 사건의 공식 별칭은 ‘조선공산주의운동통일동맹사건’이다. 이 사건은 1933년 중반에 전북 임실에서 시작되었고, 1935년 10월 25일 재판부의 판결로 종결되었다. 1년여에 걸친 경찰의 수사와 검거는 전북을 넘어 전남의 동부 지역과 경상도 지역으로 확대되었고, 그 외 지역들에서도 수사가 전개되었다. 경찰은 수사 초기 단계에 사건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기록과 자료에 의하면, 평소 주시하던 사회주의자들과 조직운동 전력자를 ‘투망식’으로 조사ㆍ검거하면서 사건을 확대하고 구성했음이 확인된다. 경찰은 장기간 구금과 강압적인 조사를 벌여 단일 사건으로 구성했는데, 수사의 과정에서 새로운 수많은 조직사건들이 생겨났다. 수백 명을 연행하여 조사했으나, 예심에 회부된 사람들은 42명이었고, 재판부는 32명만 유죄를 인정했다. 예심과 재판결과는 ‘전북교원사건’이라는 명칭이 표상하는 성격을 점점 부인하는 것과 다름이 없었다. 재판부는 이 사건의 성격을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으로 판결했으나, 판결문은 이를 입증할 충분한 개연성을 담고 있지 않았다. Socialism is a subject that cannot be omitted in understanding and constitut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ti-Japanese movement. The perception of socialist anti-Japanese movements during this period is two-sided. One is denying existence and activity itself. The other is to acknowledge records left in documents and materials as tr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at the Japanese colonial era socialist organizational incidents may have been organized according to the needs and purposes of the authorities, and that there is room for interpret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Jeonbuk Teachers Incident,’ which was tried for the socialist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early 1930s. The official name of the incident is ‘Unification Alliance of Chosun Communism Movement.’ The incident began in Imsil, Jeonbuk province, in mid-1933 and ended with a court ruling on October 25, 1935. The investigation and arrest operations over a year have expanded beyond Jeonbuk to eastern Jeonnam and Gyeongsang province, while investigations had also been carried out in other areas. Police claimed to have grasp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se in the early stages of the investigation. However, records and data show that the case was expanded and cleared by investigating and arresting the socialists and those whom the authorities have been keeping an eye on. The police conducted long-term detention and coercive investigations and formed a single case, which resulted in numerous new organizational incidents. Hundreds of people were taken into custody for questioning, but 42 were referred to a preliminary hearing, while only 32 were found guilty. The outcome of the preliminary trial and trial were no different from the increasingly denying the character of the name ‘Jeonbuk Teachers Incident.’ The court ruled the nature of the case as a movement to rebuild the Communist Party of Korea, but the ruling did not contain enough probability to prove it.

      • KCI등재

        전쟁박물관에 재현된 사람들

        정호기(Jung, Ho Gi)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2

        ‘사람’은 전쟁박물관의 구성과 재현 그리고 재편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주제이다. 이 연구는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쟁박물관을 사람에 주목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전쟁박물관에서 사람에 관한 문제의식이 언제, 어떻게 등장했고 변화했으며, 재현에서 어떤 역할과 의미가 강조되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초기의 전쟁박물관은 전사자의 유품과 전쟁 물자를 전시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70년대 말부터는 주요 전투를 기억하고 기념하는 것으로 관심이 확대되었다. 이 무렵에도 전쟁박물관의 구성과 재현에서 사람이 고려되었으나, 주변적이고 보조적인 역할에 불과했다. 1990년대에 이르러 사람의 존재와 위상이 점차 제고되었고, 2000년대 이후에는 더 중요한 가치와 의미가 부여되었다. 재현 방법은 문자와 사진을 주로 활용하는 평면형에서 전시 인형과 디오라마(diorama)를 활용하는 입체형으로 변화했다. 현대의 전쟁에서는 참전자와 민간인을 그리고 이들 내부의 차이를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하지만, 전쟁박물관의 재현에서는 선호와 강조 그리고 배제와 부차화의 원리가 작용하고 있었다. ‘People’ is a top priority topic must be considered in composition, representation and reconstruction of war museum. Therefore, in this study, I had an interest in peopl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perception on the Korean W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n and how the interest occurs on people, whether the changes occurs, and what is the emphasized role and meaning in representing people. The early war museum was constructed to display relics of war dead and war materials. Then from the late 1970s, the interest has expanded to remember and celebrate the major battles. Around this time, people were considered in composition and representation of war museum, but only a supporting role. Entering the 1990s, the presence and phase of people has been reconsidered. Since 2000 has been given value and meaning more importantly. Methods of people representation were changed from planar type such as text and photograph to three-dimensional type utilizing dolls and diorama. In modern wars, to distinguish between soldiers and civilians, and differences inside of them does not make sense. But in representation of the war museum, the principals of preferences, highlight, exclusion and margin- alization were working.

      • 진실규명의 제도화와 다층적 재조명

        정호기(Jung Ho-gi)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 2009 제노사이드연구 Vol.6 No.-

        Contrary to expectations that the new administration in Korea would drastically transform the country’s policy on the clarification of the past,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existing mechanism and basic tone of related activities for many reasons. The thorniest issue regarding settlement of the past is mass deaths of civilians during the period from liberation of the country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o the Korean War. This study delves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laws and institutional schemes formulated to reveal the truth of such cases, and touches upon the controversies concerning their implementation, focusing on the purposes and goals of such laws, fact-finding decisions and authority, follow-up actions, and potential issues for the future. The four acts enacted to accommodate fact-finding efforts and changes in governance and to reflect political interests shed new light on mass deaths in an institutional respect. This simultaneously resulted in institutional imbalance and created multi-layered goals concerning the efforts to discover the truth of similar incidents, affecting the objectives and details of such efforts. Most fact-finding efforts, which entail investigations, reconstruction of incidents, and decision-making, were based on witness remarks and interviews due to lack and unavailability of necessary material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findings have lower-than-expected credibility. The credibility of findings depend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te, press, and victims, and the level of acceptance of them. The task to be tackled after discovery of the truth is to seek social acceptance and necessary changes. Progress in this task seems far below our expectations, which implies that substantive headway will be made only when critical thinking is applied to the truth surrounding mass deaths of civilians under a fundamental goal, thereby healing the wounds that were inflicted.

      • KCI등재

        Effects of Flipped Learning-base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Jung, Ho Gi(정호기),Yang, Ya Ki(양야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간호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플립드 러닝 학습 방법을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에 적용한 후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과 정보 활용 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며,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허락한 실험군 38명과 대조군 3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9월 15일부터 12월 23일까지이다. 플립드 러닝 기반 기본간호학 실습 수업의 효과는 정보 활용 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을 자가 보고로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학습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보다 정보 활용 능력(t = 4.65, p < .001) 및 비판적 사고 성향(t = 4.16, p < .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결과, 교수 중심의 강의 방법에서 탈피하여 학습자 스스로 주어진 과제를 학습하도록 설계된 플립드 러닝 학습법은 간호대학생의 학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 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와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후 다양한 교과목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하여 성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to examine the effects.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pre-and-post-test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methodological comparison study. The participants were 74 (Experimental group=38, Control group=36) nursing students in I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teach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The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5 and December 23, 2018,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4.0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t=4.65,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t=4.16, p<.00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flipped learning applied in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formation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scenarios of various cases and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and to their effectiveness t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