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프니스 계산 알고리즘의 구현 및 이를 이용한 러프니스 기여성분 탐색방법의 제안

        정혁,김현빈,이정권,Jeong, Hyuk,Kim, Hyun-Bin,Ih, Jeong-Guon 한국음향학회 2001 韓國音響學會誌 Vol.20 No.7

        It is known that the rough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rics in assessing the sound quality. In this study, a new roughness model is suggested by combing the previous auditory filter model and several signal processing methods for the enhancement of calculation efficiency and accuracy. For testing the usefulness of the present model, the predicted response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d it is observed that they are in good agreements. Also, it is found that the previous models have limitations to search frequency components mainly contributed to overall roughness. By modifying the correlation criteria of the present model, the revised model for the proper estimation of roughness-contributed components is embedded. 본 연구에서는 소리에 대한 주관적 평가 인자 중 하나인 러프니스 계산 모델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러프니스 모델은 기존 모델의 고찰을 통해 계산 모델을 구체화하였으며,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호 상관 인자를 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계산 효율 및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기존의 주관적인 러프니스 평가치와의 비교를 통해 구현된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기존 모델 및 구현된 러프니스 계산 모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러프니스 스펙트럼이 주파수 영역에서의 슬롭 가진(slope excitation)의 영향으로 인해 실제 변조되는 주파수 대역을 탐색하기 어려운 점을 발견하고, 구현된 모델의 상관 인자 계산 부분을 실제 변조가 발생하는 임계 대역에서만 러프니스 스펙트럼 값이 존재하도록 수정하여, 러프니스 기여성분의 탐색이 보다 용이해진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임계 대역 필터를 이용한 과도음의 라우드니스 계산 모델

        정혁,이정권,Jeong, Hyuk,Ih, Jeong-Guon 한국음향학회 2000 韓國音響學會誌 Vol.19 No.5

        라우드니스(loudness)는 음질 평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음질 인자로 간주되고 있고, 그 계산을 위해 정상음에 대한 국제규격도 마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일반화를 위해 라우드니스 계산 모델에 과도음 해석 과정을 포함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과도 신호의 대역 분할 및 대역별 음압 레벨 변화 예측을 위한 신호 처리 기법과 과도 음에 대한 청각 반응을 모델링한 포스트 마스킹(post-masking) 및 라우드니스 시간 적분 모델이 도입되었다. 또한 순음의 라우드니스 해석에서 기존 라우드니스 모델이 갖고 있는 신호 해석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임계 대역폭의 1/2 간격으로 배치된 총 47개의 임계 대역 필터를 이용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의 임상 실험 결과 비교하였고, 예측치와 임상치는 아주 좋은 일치 경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It is blown that the loud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rics in assessing the sound quality and a calculation method for loudness has been standardized for steady sounds. In this study, a new loudness model is suggested for dealing with the transient sound for a unified analysis of various practical sounds. A signal processing technique is introduced for this purpose, which is required for the band subdivision and the prediction of band-level change of transient sounds. In addition, models for the post-masking and the temporal integration are adopted in the analysis of the loudness of transient sound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loudness model in the pure-tone signal processing, a critical band filter is employed in the analysis, which consists of 47 critical filters having a filter spacing of a half of the critical bandwidth.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model, the predicted response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d it is observed that they are in good agreements.

      • KCI등재

        MECC법과 Ion-Pairing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염료성분의 분석

        정혁,Jeong, Hyuk 한국분석과학회 2006 분석과학 Vol.19 No.1

        Micellar electrokinetic capillary chromatography(MECC) and HPLC with ion-pairing mechanism were applied for the separation of the well known environmental wastes from dye industry. These compounds include H-acid, J-acid, ${\gamma}$-acid, orthanilic acid, sulfanilic acid and 2-naphthylamine-1,5-disulfonic acid, and are known to be the diazo components of the azo dye. MECC method was also applied to separate few acid dyes including Acid Orange 7, Acid Orange 5 and Acid Blue 92 and direct dye such as Direct Red 80. Informations about the diazo components of any azo dye could be obtained by comparison of electropherogram of the reduction solution of a given dye with those obtained from standard materials such as H-acid, J-acid, ${\gamma}$-acid, orthanilic acid, sulfanilic acid and 2-naphthylamine-1,5-disulfonic acid. It has been concluded that MECC and HPLC with ion-pairing mechanism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for the analysis of unknown dyes and their diazo components.

      • SCOPUSKCI등재

        TLC상에서의 형광증폭을 이용한 $Tb^{+3}$과 $Eu^{+3}$ 이온의 미량분석에 관한 연구

        정혁,이지연,안성희,김해동,이원,신대호,Jeong, Hyuk,Lee, Gee-Yeoun,An, Seong-Hee,Kim, Hai-Dong,Lee, Won,Shin, Dae-Ho 대한화학회 1995 대한화학회지 Vol.39 No.1

        $Tb^{+3}$과 $Eu^{+3}$ 이온의 특성 형광선의 세기가 TLC상에서 증폭되는 현상을 이용한 고감도의 미량분석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수용액과 에탄올 용액상의 $Tb^{+3}$과 $Eu^{+3}$ 두 이온의 특성 형광선의 세기에 비하여 주어진 용액을 TLC로 점적하면 이온의 형광선의 세기가 더욱 증가하는 형광 증폭 현상을 이용하여 $Tb^{+3}$과 $Eu^{+3}$ 이온의 검출한계를 $10^6$배 이상 개선하였으며 이러한 형광 증폭 현상의 이론적인 배경으로 란탄이온 착물내의 리간드와 중심금속이온 사이의 energy-transfer mechanism을 설명하였다. A new analytical luminescence method for the Tb+3 and Eu+3 ions was studied using the fluorescence enhancement of the ions on the TLC plate. Compared to the specific emission intensities of the ions in aqueous or ethanol solution, if spotted on the TLC plate, the line intensities were extremely enhanced. There was additional enhancement effect of the lines from the ions on the TLC plate, if treated with ο-phenanthroline. Based on the luminescence enhancement, the detection limit of the ions was lowered more than 6 order of magnitude compared to the luminescence method using solution samples. The energy-transfer mechanism was also explained for the theoretical back ground of the luminescence enhancement.

      • KCI등재

        전기 이동에서 Mg<sup>2+</sup> 이온이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정혁,Jeong, Hyuk 한국분석과학회 2005 분석과학 Vol.18 No.1

        This study reports the effect of $Mg^{2+}$ ions on the behavior of the anionic surfactant in electrophoresis. Intractions of $Mg^{2+}$ ions with carboxylates and sulfonates resulted large changes in their apparent mobiliti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lectroosmotic and electrophoretic mobilities reveals that major cause for the variation of the apparent mobilities of anions arises from the electroosmotic mobilities. 절삭폐수의 여과수 등에 많이 포함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한 기초연구로 $Mg^{2+}$ 이온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에서의 음이온 계면할성제들의 거동을 알아보고 최적의 분석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Mg^{2+}$ 이온과의 상호작용 결과, 탄소수에 무관하게 카르복실레이트 혹은 술포네이트계 음이온계면활성제는 $Mg^{2+}$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겉보기 이동도가 크게 변하였다. 겉보기 이동도, 전기삼투 이동도 그리고 전기영동 이동도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이러한 겉보기 이동도의 변화는 전기 영동 이동도의 영향보다는 주로 전기삼투 이동도의 변화의 영향임을 알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TLC Plate에서의 발광증폭 및 o-Phenanthroline에 의한 Energy Transfer를 이용한 $Dy^{3+}$ 이온의 미량 분석법

        정혁,Jeong, Hyuk 한국분석과학회 1998 분석과학 Vol.11 No.5

        란탄이온의 특성 발광선 세기가 TLC plate상에서 증폭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Dy^{3+}$ 이온에 대한 고감도의 미량분석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수용액 상태에서의 $Dy^{3+}$ 이온의 발광선의 세기에 비하여 주어진 용액 시료를 TLC plate에 점적하면 이온의 방출선의 세기가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점적된 이온에 o-Phenanthroline을 추가로 점적하면 방출선의 세기가 더욱 증가하는 증폭현상을 이용하여 $Dy^{3+}$ 이온의 검출한계를 용액 시료에 비하여 농도비로 약 10배 그리고 그 절대량으로는 $10^4$배 정도 개선하였으며 이때의 검정곡선은 검출한계 근처에서 $10^2$ order의 선형범위(dynamic range)와 상관계수가 0.99 이상인 직선성을 나타냈다. 한편 이러한 발광증폭의 이론적인 배경으로 착물내의 리간드와 란탄이온 사이의 energy-transfer mechanism을 설명하였다. A new analytical luminescence method for the $Dy^{3+}$ ion was studied using the luminescence enhancement by the treatment of the o-phenanthroline on the TLC plate. Compared to the specific emission intensities of the ion in water solution, if the ion solution is spotted on the TLC plate, the luminescence intensities were extremely enhanced. There was additional enhancement effect of the luminescence intensities of the ions on the TLC plate, if the ion on the TLC plate is treated with o-phenanthroline. Based on the luminescence enhancement, the detection limit was improved by more than 4 order of magnitude compared to that of solution sample. The dynamic range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calibration curves near the detection limit were 102 order and ~0.99, respectively. The energy-transfer mechanism was explained for the theoretical back ground of the luminescence enhancement.

      • KCI등재

        유럽연합의 북극 지역 메탄 감축을 위한 정책 방향과 정책상의 발전 제고 요인

        정혁 ( Hyuk Jeong ) 한국EU학회 2021 EU학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유럽연합의 북극 지역에서의 메탄 감축을 위한 현재 정책상의 노력과 제고 요인을 분석, 논의한 후에 향후 유럽연합의 북극 지역에서의 메탄 감축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북극 지역에서의 인위적 및 자연적 메탄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유럽연합은 기후변화측면에서의 북극 정책 발전, 그리고 최근 유럽 메탄 전략에서 국제협약, 북극이사회, 그리고 유럽연합의 메탄전략의 시행상의 중요성을 강조해오고 있다. 북극 지역에서의 장거리 초국경성 대기오염협약의 예테보리 의정서와 이를 반영한 유럽연합의 국가 배출량 상한 지침에는 현재까지 메탄을 다뤄오고 있지 않아, 최소한 유럽연합 역내 인위적인 메탄 배출원의 배출량 감축 목표 설정과 모니터링 및 보고에 대한 강제성 내용은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럽연합은 북극이사회의 ‘메탄과 블랙카본 감축 조치 마련에 대한 기본 틀’ 을 법적 기반으로 북극 지역 유럽연합 회원국들 간 메탄 감축 협약 체결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서 인벤토리 구축 후의 감축 모니터링을 위한 회계규정 마련도 의무화 할 수 있는 방안 역시 제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유럽연합은 북극 지역의 인위적인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들이 결국 자연적인 배출량들의 가중화를 가져온다는 점을 주지하면서 유럽연합 메탄 전략을 보완하는 속성을 지닌 대기환경지침에 메탄 배출 감축 관련 내용을 명기하는 것을 가장 우선 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aper is purpos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EU’s policy to reduce methane in the Arctic after it analyzes and discusses the EU’s policy efforts and the policy considerations. As emissions of methane from anthropogenic and natural sources in the Arctic are expected to increase due to rise in temperatures incurred from climate change. The EU has been accentuating the importanc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to reduce methane through international agreements, Arctic Council, and Methane Strategy of the EU. As for the side of the international agreements, Gothenburg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ion and National Emissions Ceiling Directive that reflects the protocol do not deal with the reduction of methane, thus, it seems that setting the reduction target for emissions of methane from anthropogenic sources and mandating the report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both policies. And the EU Commission should use ‘The Arctic Council Framework for Action on Enhanced Black Carbon and Methane Emissions Reductions’ as legal basis on which it can induces the Arctic European states to an agreement to reduce emissions of methane in the Arctic. Mandating setting the regulation regarding accounting for inventory and reduction monitoring can b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Above all, noting that methane emissions from anthropogenic sources will wind up increasing the whole emissions (including emissions from the natural sources), the EU should prioritize stipulating reduction of methane emissions relevant contents in the ‘Ambient Air Quality Directive’ that has trait of complementing the EU Methane Strategy.

      • 자모 변환 운지 거리를 최소화한 한글 자모 입력 방법의 제안

        정혁(Jeong Hyuk)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논문에서는 문자 변환 운지거리를 최소화한 3행 3열 형태의 숫자판 기반 한글 입력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한글 자모 입력용 자판의 자릿수가 11~12개이지만, 본 제안 방법은 9개의 자리만을 한글 자모 입력에 활용한다. 따라서 문서 작성에 필수적인 기호 및 언어전환, 공백, 지움 등을 위한 잉여 자판을 제공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자판의 중심에 변환키를 배치하고 주변에 자음 자리 5개와 모음 자리 3개를 배치하였고, 각 자판에는 자모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자모를 배열하였다. 따라서 본 제안 방법은 휴대정보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한글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3×3 type of number-key-based Hangul input methods for mobile phones wa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uses only 9 keys for Hangul input, where the conventional methods use more keys than the proposed. Therefore it can supply a change key for languages and symbol, a key for backspace, and a key for space in number-key-based keyboard that are necessary for text input. In the proposed method, a modifier key is located at center of the keyboard and 5 consonant-keys and 3 vowel-keys are around it. That presents short distance in moving fingers for change of consonants or vowels.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reduce errors and enhance speed in Hangul text input.

      • KCI등재

        유럽연합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 부문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정혁(Hyuk Jeong)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3

        세계적으로 증가일로인 플라스틱 폐기물의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럽연합은 플라스틱 폐기물 부문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포장재 폐기물 부문 재활용률 향상을 위해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시행의 확대와 장려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이를 배경으로 유럽연합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 부문에서 시행되고 있는 EPR의 현황과 주요유형인 PFS체계의 회원국 주요 사례, 주요 공통 특징, 그리고 한계점들을 분석, 논의해보고 그 개선방안들과 한국정부로의 시사점을 도출해 본다. 유럽연합 회원국의 중앙정부로부터 독립적이며 규제적인 성격의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EPR의 PFS유형 사례들은 재활용률보다는 포장재 폐기물 무게만의 기준 적용, 공동책임제도하의 책임 부담 비용 결정 및 산정과 EPR 자체 영향평가에 대한 어려움, 친환경 플라스틱 포장재 개발 부진 가능성, 그리고 폐기물 누출이라는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는 걸로 보인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들로는 포장재 재질의 위해성 및 유해성 기준 지표 시스템 정립을 위한 EU차원의 가이던스 마련, 각 행위자 별 폐기물 최종 처리 비용 산정방식의 공식화 후 지침으로의 조항 마련, 회원국 내 별도의 EPR 영향평가 주무 기관 설립 후의 지속적인 영향평가, 지방정부의 분류 또는 수거업체, 재활용업체들의 수익 보장 성격의 지원 강화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 EPR제도의 한계점으로도 논의된 폐기물 누출 문제 개선을 위해서 기업들 및 건물들의 그룹 군 단위 화 후의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의 수거 목표 설정 후 그 달성률 기준에 근거한 법인세 인하 범위 조정은 그 주요 개선방안으로 제고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the concern of environmental pollution triggered by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lastic wastes is growing in the world, the European Union is emphasizing the encouragement and the expansion of EPR to improve recycling rates in packaging waste sector, the biggest share of the plastic waste. The paper is aimed at analyzing and discussing the current state of play of EPR, and the notable examples of the main type of the EPR called PFS, the primary common features, the limitations followed by the possible ways to improve them, and ultimately seeking for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Government The PFS cases in which the regulatory organizations independent of the central governments are centered in terms of functioning show the schematic limitations such as the application of the waste weight based criteria, the difficulties in estimating and deciding the accountable cost for each actor in the shared responsible scheme, and in separately assessing the impacts of the EPR, and the possibility of falling behind in developing plastic packaging with eco-design, and waste leakage beyond the coverage. As for the ways to improve them, laying out the EU guidance for putting in place the index system of the environmental hazardousness and harmfulness based criteria of the packaging material, setting up the provision concerning the official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final treatment costs of packaging waste for each actor in the scheme and putting it into the Directive, establishing the separate EPR impact assessment body and its continuous impact assessment on EPR, and increasing support for waste sorting or waste collecting companies and recyclists by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profit security in the system. In particular, regarding the waste leakage that the EPR of South Korea have in common as a limitation, adjusting the range of reduction in local taxes based on how well the grouped businesses and buildings achieve the collection targets of plastic packaging waste after setting them could be a way to improve the lim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