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습관 요인과 비만과의 상관성: 경기도 지역 1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진희 ( Jin Hee Jeong ),박혜자 ( Hye-ja Park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21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6 No.4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lifestyle factors and obes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671 students completed measures of lifestyle factors (dietary habit, exercis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health concern, academic stress, and anthropometric indices. Obesity was classified by body mass index (BMI) and abdominal circumference (AC). The data were analyzed with χ<sup>2</sup> test, Mann-Whitney U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frequencies of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were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17.6% vs. 3.4% by BMI, 18.9% vs. 5.9% by AC). Abdominal obesity in students with diabetic parent was higher (16.8%) than in students without diabetic family history (9.2%). Obesity of BMI≥25 kg/m<sup>2</sup> associated with breakfast absence of 5-7 times/week (odds ratio, OR: 1.9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5-3.71). Abdominal obesity associated with instant foods intake of 5-7 times/week (OR: 2.65, 95% CI: 1.14-6.17), fast foods intake of 3-4 times/week (OR: 2.87, 95% CI: 1.48-5.56), snacks of 3-4 times/wk (OR: 2.15, 95% CI: 1.15-4.00), and consumed alcohol of ≥1 glass a day (OR: 2.11, 95% CI: 1.19-3.73). Conclusions: Breakfast absence is associated with obesity. Instant foods, fast foods, snacks, and alcohol consumption are the associated factors with abdominal obes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류큐 국왕 신화의 문헌 기록과 구비 전승

        정진희(Jeong, Jin-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2

        구비 신화에서 문헌 신화로의 일방향적 발전은 신화사에 대한 통설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류큐 관찬 사서의 문헌 기록과 현대 오키나와의 구비 전승이라는 두 가지 양태로 전해지는 류큐 국왕 설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헌 신화와 구비 신화의 입체적 상관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신화사에 대한 관습적 통설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본고에서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각각의 국왕에 대한 문헌 기록은 서사의 내용은 다르나 유사한 주제의 단위담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위담이 가장 강조되며, 통념과 달리 혈통적 신이성의 정도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기에 출생담과 가계담이 병존하고, 입신담과 혼인담은 신성성을 보완하기 위한 단위담으로 기능한다. 2. 국왕에 대한 구비 전승은 문헌 기록에 대한 반(反) 역사로 기능하며, 문헌 기록과 달리 국왕의 혈통적 신성성을 강조하고, 증거물과 합리화를 통해 전승의 진실성을 역설한다. 3. 문헌 기록의 소재적 원천은 오키나와의 구비 전승에 한정되지 않고 동아시아 문자 문화권의 공통 유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 슌텐왕 이야기의 실재 양상은 문헌 기록이 구비 전승을 제어하는 구심력으로 작용하기도 했음을 보여 준다. 신화사가 구비 신화에서 문헌 신화로 일방향적으로 전개되지 않았음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4. 국왕을 주인공으로 하는 이야기가 왕조의 신화로, 또 특정 지역 공동체의 신화로 기능할 때, 그 신화화의 논리는 전승 집단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류큐의 경우, 왕조 신화와 구비 신화의 사이에 또다른 신화 전승 집단, 즉 지역을 대표하는 사족 집단의 전승인 ‘유래기(由來記)’의 신화가 있다. 류큐의 국왕 신화는 각기 다른 향유 집단이 상호 영향을 주고 받으며 각각의 신화적 논리를 구축해 가는 가운데 전승되어 온 것임이 확인된다. 요컨대, 문헌 신화와 구비 신화의 상관 관계는 동일한 소재의 이야기가 여러 층위의 집단에서 다양한 갈래로 향유된 복합적 양상을 살필 때 명확히 드러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라야 심층적 신화 일반론이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From oral to documented’. It is one of the commonly accepted theories about mythology. By revealing the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documented myths and oral myths, this study revisits the customary theory of myth.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myths and documented myths, this article examines tales concerning the Kings of Ryukyu kingdom which have been handed down two kinds of mode; official documents of Ryukyu kingdom and oral texts in the present Okinaw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cumented myths are configurations of some unit-story(單位談) whose subjects are coronation, birth or pedigree, gaining fame, marriage and so on. The most emphasized unit is a coronation story. As the bloody sanctity of kings is diverse, the units of mythical birth and non-mythical pedigree coexist. The unit stories about gaining fame and marriage fuction to compensate for a missing sanctity. 2. Oral tales about kings are discourses against documented myths. Specifically, they emphasize the bloody sanctity of kings and the authenticity of mythical accidents by the presentation of material evidences and the rationalization of miracles. 3. The sources of documented myths are not confined to oral texts in Okinawa. Besides, the oral texts and documented myths of King Syunten(舜天王), show that documented myths sometimes controlled the variations of oral texts. In this case, the unilateral development from oral myths to documented myths is not true. 4. When the stories about kings function as myths in different groups, the logic of mythicization changes as well. In the case of Ryukyu, between the two groups-kingdom having documented myths and local communities having oral myths-, we can find another group which has their own myths, called ‘Yuraiki(由來記, record of familly origin)’. Thu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cumented myths and oral myths by looking at complex aspects of the mythological tradition. The theory of mythology will have to consider further studies on these complex relationships.

      • KCI우수등재

        〈솔만데 할망〉 : 1930년대 한 일본인 학자의 ‘여신 설문대’ 기록과 식민주의적 신화화 논리

        정진희(Jeong, Jin-hee)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0

        일본인 학자 이즈미 세이치(泉靖一)는 제주도의 구비 설화 설문대 할망 이야기를 기록한 〈솔만데 할망〉이라는 일본어 텍스트를 남겼다. 이 텍스트는 1930년대의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는 점에서 설문대 할망 설화의 당시 전승 양상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로 오해될 수 있으나, 본고는 이 텍스트가 구비 전승의 온전한 전사가 아니라 기록자의 의도가 개입될 수밖에 없는 문자화 자료임에 주목하여 이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먼저, 〈솔만데 할망〉은 제주 설화의 여성 거인인 설문대 할망을 외래의 창조 여신이자 산신으로 형상화하는데, 이는 당대의 또다른 문자 기록에 견주어 볼 때 〈솔만데 할망〉에 보이는 이례적 면모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솔만데 할망〉은 제주 신화의 일반적 문법과 논리를 따르지 않는 이질적인 신화 텍스트로서, 한반도에 대한 제주의 부속성을 강조하는 한편 설화 세계에서 신으로 전환되지 못한 설문대 할망을 산신으로 격상시켜 제주의 토착 신성 체계를 재조정하는 신화적 효용과 논리를 지니고 있음을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설문대 할망을 신격화하는 〈솔만데 할망〉은 기록자 이즈미 세이치의 식민주의적 시선과 무관하지 않은 텍스트임을 주장하고, 아울러 설문대 할망을 신격화하는 신화화 담론의 계보를 고찰할 것을 후속 과제로 제안하였다. Izumi Seichi(泉靖一), a Japanese anthropologist who had done his fieldwork in the villages of Jeju island in the 1930s, documented a folktale of Jeju island in Japanese language. The folktale was about Seolmundae Halmang(설문대할망, Grandmother Seolmundae), who is a famous character as an old and femele giant. The documented text, ‘Solmande Halman’, can be conceived as a record of the orally performed folktale at that time in that it was based on his own field work in 1930s. However, this paper examines the fact that the text was not recorded literally the way the tale was passed down in mouth, but intervened with the author’s intention. Firstly, ‘Solmande Halman’ imagerizes Sulmundae Halmang as the foreign goddess of creation and deity of mountain. The mythologizing can be referred to a unique feature of the text, compared with the other texts in that age. Further, ‘Solmande Halman’ clarifies that not only does the myth emphasize adjunction of Jeju island to Korean penisula, but it is a meaningful discoursal plan which reorganizes the deitic system by uplifting Sulmundae Halmang to a deity of mountain. Thus, this paper argues that ‘Solmande Halman’ is the text where the old female giant Seolmundae was divinized as the goddess Solmande based on colonialism of the writer’s own. Moreover, this paper proposes that further study on discourses of mythologizing Seolmundae Halmang needs to be ongoing afterwards.

      • KCI등재

        민화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정진희(Jeong, Jin-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민화의 올바른 평가를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 중 하나가 민화에 나타난 장소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보고 민화에 새롭게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이-푸 투안(Yi-Fu Tuan)의 이론을 도입해 민화에 나타난 내용적 측면의 장소성과 구조적 측면의 장소성을 모색하였다. 장소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이는 민화를 선별하여 살펴본 결과, 민화는 대립을 통해 고결한 장소성을 구현하기도 하고 서로 의미가 다른 장소성을 구분하기도 하였다. 이어 특정 지역을 상상으로 그렸음에도 공통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집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호와 안전, 편안함을 가진 장소성을 확인했다. 민화는 그 자체가 생활공간이며, 조선 시대 사람에게 고유하고 무색투명한 열려진 세계로서 평온함과 자유스러움을 제공하기 때문에 민화가 집안의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어떤 장소성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민화는 사람들이 지정해 놓은 장소에 녹아들어 계절의 변화를 느낄수 있는 장소성을 형성하기도 했으며, 집 전체를 신들이 사는 장소로 바꿔놓기도 했다. 나아가 공간의 안과 밖을 구분지어 집의 안녕이 깃든 장소성을 형성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민화에서는 내용적인 측면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장소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화의 범위가 매우 넓기에 이를 보편화 시킬 수는 없으나, 기존의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민화에 새롭게 접근한 방식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laceness shown in folk painting. To this end, this study introduced Yi-Fu-Tuan theory and explored the placeness shown in folk painting from both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The folk paintings in which placeness was thought to stand out were sele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olk paintings could implement lofty placeness through contrast and classified different types of placeness that had different meanings. Following this, the houses in a particular region that were expressed in common into pictures through imagin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placeness that was characterized by protection, safety, and comfortableness could be found. Folk painting is the living space itself. So this study looked at what type of placeness the folk painting has depending on its location within the house. Folk painting formed placeness to feel the change of seasons in places designated by people. It also changed the whole house into the place where gods lived. Furthermore, it also formed placeness in which the peace of house was indwelling by dividing the house from the outside. It could be found from this study that placeness appeared clearly in folk painting from both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As the scope of folk painting is very wide,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But if there is a new approach to folk painting, i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beyond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 KCI등재

        류큐 왕조의 아마미코 신화와 현대 구비전승

        정진희(Jeong Jin-hee) 국어문학회 2007 국어문학 Vol.42 No.-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myths of Amamiko in okinawa. Today, Okinawa is a prefecture of Japan. But it was a kingdom Ryukyu in the past. So, this research is what about the myths of not only Okinawa but also Ryukyu dynasty, that is, the oral traditions of today and the records of the past. First, I made a survey of the myths of Ryukyu dynasty. In that mythology, Amamiko figured out the sacred of creation. The islands of Ryukyu was made by Amamiko. Amamiko was the riser of rice-fanning, too. The rituals of each village organized into the control of Ryukyu dynasty, chanted the Amamiko who had braught the first seed rice and started the rice-farming. Some times, Amamiko was related to origin of man, particularly the royalty or ruling class. Ryukyu dynasty stressed that their ancestor came from the Heaven to emphasis their sacred origin and power. But I have to add that this figure of Amamiko is not usual one. We know the myth of origin of man, that is what was introduced Iha-fuyu, the famous savant of Okinawan studies. We can see many versions in oral traditions of okinawa like as that a young pair became the common ancestor of human beings. On rare occasions, Amamiko is to be the name of that pair. I think that it was caused by the dominated character of Amamiko, the sacred of creation. Creation means the creating of universal, culture, and human beings. In oral traditions of today okinawa, we can see the origin of rice-farming myth related to not Amamiko but bird. In spite of ritual performances chanting the rice-farming riser Amamiko, the other different has been told in oral traditons. I dare say that the rice-fanning riser Amamiko was figured and announced by official routes of Ryukyu dynasty.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literal records and the oral traditions, and the official and the popular, we have to think these aspects and interaction to understand the myths of okinawa.

      • KCI등재

        농촌지역 대기 중 PM<sub>2.5</sub>의 화학적 특성과 오염원 정량 평가

        정진희 ( Jin-hee Jeong ),임종명 ( Jong-myoung Lim ),이진홍 ( Jin-hong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논산시 농촌지역의 대기 중 블랙카본, 이온, 금속원소 등을 포함한 PM<sub>2.5</sub>의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PM<sub>2.5</sub>의 오염원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의 정도관리를 평가한 결과, 금속원소를 포함한 대부분의 미량성분의 분석값은 상대오차와 상대표준편차가 10% 미만이었다. 농촌지역의 PM<sub>2.5</sub>의 평균 농도(20.1±10.1μg/㎥)는 2018년에 강화된 연평균 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PM<sub>2.5</sub>와 탄소 및 이온성분은 서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미량성분의 농도는 10<sup>-3</sup>~10<sup>4</sup>ng/㎥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의 인자 분석법(PM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을 이용하여 오염원을 평가한 결과, 농촌지역의 PM<sub>2.5</sub>의 오염원은 secondary aerosol(34.4%), soil/road dust(20.1%), biomass burning(16.9%), incineration/fuel combustion(13.2%), vehicle exhaust(12.2%), sea-salt(3.17%) 이었다. 도시지역과 달리 농촌지역은 연소와 관련된 오염원이 중요하였고 따라서, 농촌지역의 관리 대상 오염원으로서 불법소각은 세심한 대책을 필요로 한다. In this study,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sub>2.5</sub> samples collected in an agricultural area in Nonsan of Korea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of black carbon, 3 inorganic ions and 22 trace elements. It was found that the relative error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many trace elements fell below 10%, which indicates good analytical accuracy and precision. The mean values of PM<sub>2.5</sub> in an agricultural area were exceeded by new Korean air quality standard of March 2018. The concentration of PM<sub>2.5</sub> was well correlated with those of black carbon and ions. The concentrations of trace elements were in a wide range of seven orders of a magnitude. Based on these PM<sub>2.5</sub> data sets, a total of 6 sources were identified using PM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secondary aerosol (34.4%), soil/road dust (20.1%), biomass burning (16.9%), incineration/fuel combustion (13.2%), vehicle exhaust (12.2%), seasalt (3.17%).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illegal burning activities in agricultur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