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습관 요인과 비만과의 상관성: 경기도 지역 1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진희 ( Jin Hee Jeong ),박혜자 ( Hye-ja Park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21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6 No.4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lifestyle factors and obes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671 students completed measures of lifestyle factors (dietary habit, exercis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health concern, academic stress, and anthropometric indices. Obesity was classified by body mass index (BMI) and abdominal circumference (AC). The data were analyzed with χ<sup>2</sup> test, Mann-Whitney U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frequencies of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were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17.6% vs. 3.4% by BMI, 18.9% vs. 5.9% by AC). Abdominal obesity in students with diabetic parent was higher (16.8%) than in students without diabetic family history (9.2%). Obesity of BMI≥25 kg/m<sup>2</sup> associated with breakfast absence of 5-7 times/week (odds ratio, OR: 1.9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5-3.71). Abdominal obesity associated with instant foods intake of 5-7 times/week (OR: 2.65, 95% CI: 1.14-6.17), fast foods intake of 3-4 times/week (OR: 2.87, 95% CI: 1.48-5.56), snacks of 3-4 times/wk (OR: 2.15, 95% CI: 1.15-4.00), and consumed alcohol of ≥1 glass a day (OR: 2.11, 95% CI: 1.19-3.73). Conclusions: Breakfast absence is associated with obesity. Instant foods, fast foods, snacks, and alcohol consumption are the associated factors with abdominal obes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농촌지역 대기 중 PM<sub>2.5</sub>의 화학적 특성과 오염원 정량 평가

        정진희 ( Jin-hee Jeong ),임종명 ( Jong-myoung Lim ),이진홍 ( Jin-hong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논산시 농촌지역의 대기 중 블랙카본, 이온, 금속원소 등을 포함한 PM<sub>2.5</sub>의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PM<sub>2.5</sub>의 오염원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의 정도관리를 평가한 결과, 금속원소를 포함한 대부분의 미량성분의 분석값은 상대오차와 상대표준편차가 10% 미만이었다. 농촌지역의 PM<sub>2.5</sub>의 평균 농도(20.1±10.1μg/㎥)는 2018년에 강화된 연평균 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PM<sub>2.5</sub>와 탄소 및 이온성분은 서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미량성분의 농도는 10<sup>-3</sup>~10<sup>4</sup>ng/㎥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의 인자 분석법(PM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을 이용하여 오염원을 평가한 결과, 농촌지역의 PM<sub>2.5</sub>의 오염원은 secondary aerosol(34.4%), soil/road dust(20.1%), biomass burning(16.9%), incineration/fuel combustion(13.2%), vehicle exhaust(12.2%), sea-salt(3.17%) 이었다. 도시지역과 달리 농촌지역은 연소와 관련된 오염원이 중요하였고 따라서, 농촌지역의 관리 대상 오염원으로서 불법소각은 세심한 대책을 필요로 한다. In this study,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sub>2.5</sub> samples collected in an agricultural area in Nonsan of Korea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of black carbon, 3 inorganic ions and 22 trace elements. It was found that the relative error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many trace elements fell below 10%, which indicates good analytical accuracy and precision. The mean values of PM<sub>2.5</sub> in an agricultural area were exceeded by new Korean air quality standard of March 2018. The concentration of PM<sub>2.5</sub> was well correlated with those of black carbon and ions. The concentrations of trace elements were in a wide range of seven orders of a magnitude. Based on these PM<sub>2.5</sub> data sets, a total of 6 sources were identified using PM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secondary aerosol (34.4%), soil/road dust (20.1%), biomass burning (16.9%), incineration/fuel combustion (13.2%), vehicle exhaust (12.2%), seasalt (3.17%).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illegal burning activities in agricultural area.

      • KCI등재

        현대 한국화에 나타난 오방색의 표현 연구

        정진희(Jeong, Jin-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3

        이 논문은 음양오행의 표상 점검을 통해 현대 한국화에서 오방색의 표현이 갖는 의미를 확인하고, 현대 한국화 작품에서 오방색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 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현대화에 대한 개념과 범주를 살피고, 현대 한국화를 설정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현대 한국화는 한국만의 정신을 담은 특유의 색 체계를 기준으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한국인의 생활태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음양오행 사상을 살펴본다. 또한, 음양오행과 연관지어 상징성을 동반한 오방색의 표상을 확인한다. 나아가 오방색이 현대 한국화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 지 점검한다. 이를 위해 박생광, 김기창, 김환기, 유영국의 작품을 분석한다. 이들은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선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오방색의 표상을 작품 속에 적용한다. 이를 통해 현대 한국화에서 오방색은 단순한 색채로써 작용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meaning of the five-color expression in modern Korean painting by checking the surface of yinyang five-haeng, and to examine how the five-color appears in modern Korean painting works. To this end, we look at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Korean modernization and present the criteria for setting up modern Koreanization. It is reasonable to set modern Koreanization in a Korean way. Therefore, we look at the idea of yin-yang and five-haeng,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style of Koreans. Also, it is associated with yin-yang and five-haeng to identify the five-colored markings accompanied by symbolism. Furthermore, it examines how the five colors are expressed in modern Korean painting. To that end, Park Saeng-gwang, Kim Ki-chang, Kim Hwan-ki and Yoo Young-guk will be analyzed. In order to convey what they want to say through their works, they apply a five-color representation to their works. This shows that in modern Korean painting, pentameter is not just a color.

      • KCI등재

        민화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정진희(Jeong, Jin-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민화의 올바른 평가를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 중 하나가 민화에 나타난 장소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보고 민화에 새롭게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이-푸 투안(Yi-Fu Tuan)의 이론을 도입해 민화에 나타난 내용적 측면의 장소성과 구조적 측면의 장소성을 모색하였다. 장소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이는 민화를 선별하여 살펴본 결과, 민화는 대립을 통해 고결한 장소성을 구현하기도 하고 서로 의미가 다른 장소성을 구분하기도 하였다. 이어 특정 지역을 상상으로 그렸음에도 공통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집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호와 안전, 편안함을 가진 장소성을 확인했다. 민화는 그 자체가 생활공간이며, 조선 시대 사람에게 고유하고 무색투명한 열려진 세계로서 평온함과 자유스러움을 제공하기 때문에 민화가 집안의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어떤 장소성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민화는 사람들이 지정해 놓은 장소에 녹아들어 계절의 변화를 느낄수 있는 장소성을 형성하기도 했으며, 집 전체를 신들이 사는 장소로 바꿔놓기도 했다. 나아가 공간의 안과 밖을 구분지어 집의 안녕이 깃든 장소성을 형성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민화에서는 내용적인 측면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장소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화의 범위가 매우 넓기에 이를 보편화 시킬 수는 없으나, 기존의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민화에 새롭게 접근한 방식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laceness shown in folk painting. To this end, this study introduced Yi-Fu-Tuan theory and explored the placeness shown in folk painting from both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The folk paintings in which placeness was thought to stand out were sele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olk paintings could implement lofty placeness through contrast and classified different types of placeness that had different meanings. Following this, the houses in a particular region that were expressed in common into pictures through imagin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placeness that was characterized by protection, safety, and comfortableness could be found. Folk painting is the living space itself. So this study looked at what type of placeness the folk painting has depending on its location within the house. Folk painting formed placeness to feel the change of seasons in places designated by people. It also changed the whole house into the place where gods lived. Furthermore, it also formed placeness in which the peace of house was indwelling by dividing the house from the outside. It could be found from this study that placeness appeared clearly in folk painting from both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As the scope of folk painting is very wide,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But if there is a new approach to folk painting, i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beyond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 KCI등재

        류큐 관찬 노래집 『오모로소시(おもろさうし)』와 수록 오모로에 대한 기초적 고찰

        정진희 ( Jeong Jinh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3 No.-

        이 글은 류큐 왕조의 관찬 의례가요집 『오모로소시』와 수록 오모로에 대한 기초적 사실을 개관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오모로소시』에 대해서는 18세기초 燒失에 따른 재편 양상을 정리하고, 현전하는 <상가본>과 <아니야본> 계열 이본의 차이를 살핀 다음, 全22권의 구성 체제와 각 권의 대략적 내용을 중심으로 『오모로소시』가 왕권 강화의 목적과 관련있는 텍스트임을 보였다. 다음으로 節名,`一`과 `又`, 詞書 등의 용어 정리와 함께 오모로의 기록 방식을 설명하고, 기록된 오모로를 읽는 방식을 보였다. 오모로는 다양한 형식과 여러 시적 표현 양식을 지닌 만큼, 신중한 갈래적 검토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오모로의 구연 실제와 관련해서는 神女와 별개로 전문 가창자가 일찍부터 존재한 정황을 제시했다. 구연 상황의 역사적 변천 양상을 여러 역사 자료를 함께 고려하여 밝혀야만 오모로 향유 및 전승의 실상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의미 미상의 오모로를 번역해 온 선행 연구 성과의 목록과 그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연구자들이 오모로에 접근하는 데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a basic study on the Omoro, ceremonial poem-song of the kingdom of Ryukyu, and the Omoro soshi, a collection of Omoroes which was documented in 1710. Firstly, the Omoro soshi that we have today is not the origianl text but the one documented in the 18th century by scholarly officials. After Shuri-palace(首里城) fire had burned out original texts in 1709, two versions of Omoro soshi had been reconstructed: the Syokehon(尙家本) for the royal family Syoke(尙家) and the Aniyahon(安仁屋本) for the omoro-official family Aniyake(安仁屋家). As a result, we can classify the extant Omoro soshi texts into two categories. The Omoro soshi consists of 22 volumes and each volume has one theme. The order of the volumes shows that the Omoro soshi had been reconstructed for the political power of the royal authority.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transcription method of Omoro as a poem-song, and notions of the terms such as the `husina(節名)`, the marks of `一` and `又` and the `kotobagaki(詞書)`. Accordingly, the forms of Omoro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patterns. Thirdly, performers of Omoro are not only female priests but also male official singers. In our further research, we can study the ritual system of Ryukyu kingdom and the making process of the royal authority, which will reveal how the Omoro had been performed as a ritual song and how the performances had changed.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several Japanese translated versions of Omoro soshi on the assumption that translating is the total entity of the previous studies about Omoro and Omoro soshi. In the end, this paper will help Korean researchers to study furthermore Omoro and Omoro soshi as a part of East-Asian poetry.

      • KCI우수등재

        〈솔만데 할망〉 : 1930년대 한 일본인 학자의 ‘여신 설문대’ 기록과 식민주의적 신화화 논리

        정진희(Jeong, Jin-hee)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0

        일본인 학자 이즈미 세이치(泉靖一)는 제주도의 구비 설화 설문대 할망 이야기를 기록한 〈솔만데 할망〉이라는 일본어 텍스트를 남겼다. 이 텍스트는 1930년대의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는 점에서 설문대 할망 설화의 당시 전승 양상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로 오해될 수 있으나, 본고는 이 텍스트가 구비 전승의 온전한 전사가 아니라 기록자의 의도가 개입될 수밖에 없는 문자화 자료임에 주목하여 이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먼저, 〈솔만데 할망〉은 제주 설화의 여성 거인인 설문대 할망을 외래의 창조 여신이자 산신으로 형상화하는데, 이는 당대의 또다른 문자 기록에 견주어 볼 때 〈솔만데 할망〉에 보이는 이례적 면모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솔만데 할망〉은 제주 신화의 일반적 문법과 논리를 따르지 않는 이질적인 신화 텍스트로서, 한반도에 대한 제주의 부속성을 강조하는 한편 설화 세계에서 신으로 전환되지 못한 설문대 할망을 산신으로 격상시켜 제주의 토착 신성 체계를 재조정하는 신화적 효용과 논리를 지니고 있음을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설문대 할망을 신격화하는 〈솔만데 할망〉은 기록자 이즈미 세이치의 식민주의적 시선과 무관하지 않은 텍스트임을 주장하고, 아울러 설문대 할망을 신격화하는 신화화 담론의 계보를 고찰할 것을 후속 과제로 제안하였다. Izumi Seichi(泉靖一), a Japanese anthropologist who had done his fieldwork in the villages of Jeju island in the 1930s, documented a folktale of Jeju island in Japanese language. The folktale was about Seolmundae Halmang(설문대할망, Grandmother Seolmundae), who is a famous character as an old and femele giant. The documented text, ‘Solmande Halman’, can be conceived as a record of the orally performed folktale at that time in that it was based on his own field work in 1930s. However, this paper examines the fact that the text was not recorded literally the way the tale was passed down in mouth, but intervened with the author’s intention. Firstly, ‘Solmande Halman’ imagerizes Sulmundae Halmang as the foreign goddess of creation and deity of mountain. The mythologizing can be referred to a unique feature of the text, compared with the other texts in that age. Further, ‘Solmande Halman’ clarifies that not only does the myth emphasize adjunction of Jeju island to Korean penisula, but it is a meaningful discoursal plan which reorganizes the deitic system by uplifting Sulmundae Halmang to a deity of mountain. Thus, this paper argues that ‘Solmande Halman’ is the text where the old female giant Seolmundae was divinized as the goddess Solmande based on colonialism of the writer’s own. Moreover, this paper proposes that further study on discourses of mythologizing Seolmundae Halmang needs to be ongoing afterwards.

      • KCI등재

        처녀, 살해, 작물: <하이누웰레>의 ‘외부’ 담론과 신화적 논리

        정진희(Jeong, Jin Hee)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8

        본고는 유명한 서 세람의 신화 <하이누웰레>에 대한 오래된 통설에 반론을 제기하는 스미스의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하이누웰레> 신화에 접근하였다. 첫째, 하이누웰레 신화는 수렵 시대에서 농경시대로의 전환기에 농경민의 세계상을 반영하여 형성된 원초적 신화인가, 아니면 상대적으로 후대에 형성된 신화인가를 고찰하였다. 󰡔하이누웰레 신화󰡕에 집록된 서 세람 신화 자료들과의 대비를 통해, <하이누웰레>는 서 세람 신화의 서사적 요소와 신화적 존재론을 바탕으로 형성된 신화일 가능성이 높음을 보였다. 둘째, <하이누웰레> 신화의 주제를 재론하였다. ‘이자(異者)적 외부’이자 내부라 할 수 있는 ‘초월적 외부’와 변별되는, 내부적 질서 ‘밖’에 있는 미지의 ‘외부’에 대한 관념이 <하이누웰레> 신화에 있음을 지적하고, <하이누웰레>는 양면적 속성을 지닌 ‘처녀 하이누웰레’의 살해와 재생을 통해 미지의 외부에 대한 인식을 드러낸 신화 담론이라고 보았다. 특정 지역의 신화 지형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축적될 때 여러 가지 의미있는 비교 고찰이 진행될 수 있다고 보고, 본고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구체적인 비교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Hainuwele, a myth of Ceram island, has been regarded as an old myth on the Dema-deity and farming, based in agricultural era. However, this essay argues that the Hainuwele had been composed from several mythical tales of western Ceram and made into a myth about the outside world. In this essay, several myths, collected from the western Ceram by Jensen and his co-worker, were analyzed, and the Hainuwele was compared with several myths of western Ceram. The remarks on Hainuwele in this essay were performed based on the mythical topography of western Ceram. This essay argues that the important symbols in Hainuwele myth are the maiden, murder and food plant. The maiden represents what has come from outside and is now inside. The mythology of western Ceram accepted and internalized the maiden by murdering her and transforming her into food plant. On the basis of the above argument, this essay suggested some comparative studies on myths based on local mythical topographies.

      • KCI등재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

        정진희(Jin-Hee Jeong),이혜경(Hye-Kyung Lee)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는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일개 척추전문병원 입원환자 중 미세현미경 요추간판제거술을 받은 환자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χ 2 -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가간호프로그램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조기 관리지식(p=.001)과 일상생활관리지식점수(p=.005)가 더 높아 지지되었다. 또한 자가간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는 대조군보다 보조기 관리이행도(p=.011), 일상생활 이행도 (p=.007), 유해생활 습관관리 이행도(p=.011)가 높아 지지되었다. 따라서 자가간호프로그램은 요추간판제 거술 환자의 수술 전후 적용을 통해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및 자가간호이행도를 향상시켜 보다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confirm the effect of self-care program on exercise performance self-efficacy, Knowledge of self-management and Performance of self-management in patients with lumbar disc removal. The subjects were 26 in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as inpatients at the D City Material Spine Hospital. The collected material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with mean,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t-test, x²-test,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Hypothesis that after self-care program mediati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s for orthosis management knowledge (p<.001) and daily life management knowledge (p=.005) as time passed compared to the unprovided control group. The hypothesis 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the self-care program has a performance of orthosis management(p=.011), higher degree of orthosis management performance (p=.011) and daily life management performance (p=.007) than the non-provided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n effective self-care program that can be easily applied at home to patients with lumbar disc removal from the day before surgery to after dischar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