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 함양의 필요성과 군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정지언 한국국방연구원 2013 국방정책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다국적 군대에의 참여가 확대되고 동시에 다문화 가정과 장기 해외체류 장병의 유입과 함께 급격히 다문화 군대로 전환되고 있는 우리 군이 군장병의 문화적 역량 함양을 위한 평생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해야 함을 강조하고,이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을 바탕으로 군 교육훈련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교육의개념과 내용을 개괄하고,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 군의 다문화 군대로의전환 현상을 통해 문화적 역량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군 장병의 교육훈련 방향을 운영방법 측면과 내용선정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운영방법의 방향: ① 군 다문화 교육은 지금 바로 시작되어야 한다. ② 다문화병사뿐 아니라 일반 장병 모두가 교육 대상이다. ③ 지휘관 및 지휘자의 교육이우선 실시되어야 한다. ④ 일회적 프로그램의 형태가 아니라 일상 속의 지속적교육이어야 한다. ⑤ 민간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내용선정의 방향: ①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② 자기 자신의 문화적 편견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③ 민족・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한다. ④ 반편견, 반차별, 반불평등의 민주시민의식을 형성해야 한다. ⑤ 다문화적 협력의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어야 한다. ⑥ 갈등의 긍정적 가치를 이해하고갈등 조정 능력을 함양하도록 해야 한다. In recently years, Korean military is expanding participations in the multinational armed forces like Korean Peacekeeping Operations(PKO) and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armed forces with entering of multicultural soldiers like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long-term stayers abroad. At this point in tim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need of cultivating the cultural competence and the directions of education in Korean army as a socio-political mechanism for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highlighted in school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5 directions for the operational methods design and 6 directions for the contents design are suggested. These results can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military education.

      • 대학생들의 혼혈안에 대한 편견을 중심으로 본 反偏見 교육의 필요성

        정지언 APEC국제교육협력원 2008 국제교육협력연구지 Vol.1 No.1

        본 연구는 다 OJ한 편견의 대상 중 혼혈인에 대한 대학생 집단의 편견의 양상을 알아봄으로서, 편견의 감소를 위한 反偏見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생 58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생들은 우리나라에 혼혈인에 대한 편견이 존재한다고 인정하며 차별의 주요 원인을 외모에서 오는 차이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미래사회에 혼혈인의 증가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준비가펼요하다고보고있다.둘째, 대학생들은 백인계와 일본계 혼혈인에 대해서는 호감도, 인상, 성품, 능력면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흑인계, 중국계, 동남아시아계 혼혈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상을 많이 가지고있었다. 특히 각 인종을 막론하고 비합리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셋째, 주변의 인간관계에서 혼혈인과의 접촉빈도와 편견양상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접촉빈도가 많을수록 혼혈인에 대한 편견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표면적으로 혼혈인에 대한 편견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실제로는이들에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고 특히 인종에 따라 편견의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통해 혼혈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반편견 교육과정 도입이 필요함을 시시하고 있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by figuring out the aspect of bias for the mixed blood peopl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589 students all over the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First, Korean university students admit there are biases for the mixed-blood people in Korean society, and the major reason of biases is a difference of appearance. They have a view of increasing of the mixed blood people in our future society, so our government have to prepare for them. Second, Korean university students0 0 racial prejudice for the mixed-blood people shows significant and noticeable difference. They have more negative bias for the African-Korean, Chinese-Korean, and Kosian. On the other hand, They are generally positive for the Caucasian-Korean and Japanese-Korean in the aspect of degree of goodwill, impression, temper, and ability. Futhermore, when we request to write free images for the racial characteristic of the mixed-blood people, regardless of races they show emotional and irrational sentiments. Third, there was significantl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relationship among the mixed blood people and modes of bias for them. The more relationship among the mixed blood people, the lower bias for them.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

        정지언,박영희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1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childcare teachers’ burnout,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organization. 208 childcare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burnout and job stress, bu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heir burnout, ego-resilience,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Second,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and an indirect effect on their burnout. Also, childcare teachers’ ego-resilience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burnout.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urnout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ir ego-resilience.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그리고 정서적지지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을 통해 직무소진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소진이 높았으며,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지지가 낮을수록 직무소진이 높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은 각각 직무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자아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지지는 직무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초ㆍ중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기반 블렌디드 국제교류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사의 직무분석: AEEP를 중심으로

        정지언,김영환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teachers and find out how he or she carries out the duties and tasks of running the project-based blended 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 (AEEP). This youth exchange program is based on an effective international school exchange model.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teachers, the researchers had constructed a teacher’s job model of managing the program. This model is formulat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collected data. Furthermore, the model has been validated by seven experts. In this analytical research study, the teacher’s job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was separated into ‘administrative jobs’ and ‘practical jobs.’ Administrative jobs include 36 subordinate tasks under 9 main duties to build the foundation that will allow for the exchang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prepare for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invitations and visits, and to engage in follow-up action, for example, the evaluation and submission of the final report after the exchanges. As for the practical jobs, the teachers are performing 38 subordinate tasks under 11 duties to manage students’online pre-activities, on-sit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online post-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and give them preliminary information, which could take the form of guidebooks and training co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초ㆍ중등학교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교류 활동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프로젝트기반 블렌디드 국제교류 프로그램인 AEEP(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을 위해 교사들이 수행하는 업무를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수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자료의 내용분석을 통해 AEEP 운영을 위한 교사의 수행업무 중심의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분석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7인과의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했다. 그 결과 국제교류를 위한 교사의 업무 영역은 크게 ‘행정적 업무’와 ‘실제 교류진행 업무’로 나눌 수 있었다. 먼저 행정적 업무의 경우 교류를 위한 인적/물적 제반 자원을 행성하기 위한 ‘교류 토대형성’과 초청과 방문 등의 ‘체험활동을 위한 준비’, 그리고 교류 이후 평가와 결과보고 등을 위한 ‘교류 후속조치’를 수행하기 위해 9개 영역의 총 36개 하위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실제 교류활동 진행을 위해 온라인 사전활동 - 현장 체험활동 - 온라인 사후활동 운영을 위해 11개 영역의 38개 하위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초ㆍ중등학교 교사들의 국제교류 진행을 위한 직무의 분석은 국제교류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에게 자신이 어떤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고 추후 교사연수 과정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Q 방법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교양교과 선택 및 만족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정지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교양교과 선택 및 만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교양교육 과정 개선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Q 방법론을 활용하여 교양교과의 선택과 만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은어떤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각 유형별 특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31개의 Q 표본을 추출하고 32명의 대학생들을연구대상으로 하여 Q 분류를 진행한 결과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상황‧흥미 절충형’이다. 졸업요건과시간표와 같은 수업 외적 요건이 중요하지만, 그래도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맞는 수업을 선택하는 유형이다. 그러나평소 흥미와 관심이 있는 주제의 수업을 수강하더라도 과제나 학습활동 등으로 인한 학습 부담이 적은 수업을 선호한다. 그 기저에는 전공이 교양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이 전제되어 있다. 제2유형은 ‘상황‧편의 중시형’이다. 제1유형과 유사하게수업 외적 요건이 중요하지만 제1유형보다 이수하기 편한 수업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은 ‘흥미‧참여중시형’이다. 이들은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수업을 선택하고, 학습내용의 유용성, 교수의 열정과 타과 학생들과의상호작용적 수업에 만족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를 통해 하나의 교실 안에도 다양한 교양교과의 선택 및 만족 인식유형을 가진 학습자들이 존재하는 만큼 다양한 교수법을 조합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고, 학생 대상 교양교육 요구조사나만족도 조사의 양적 결과를 일차원적으로 교양교육 과정 개선 방향에 반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을 확인했다. 또한 교과 선택에 졸업이수 기준과 시간표 편성이 중요하게 고려되는 만큼 대학의 교양교육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그에 부합하는 이수구조를 체계화하고 교과 시간표 배정과 분반 운영에 학생의 요구를 반영할 것을 제안했다.

      • KCI등재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정지언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adjustment of the absent students from local private universitie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dropout of local private university students. Metho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n college adjustment of 124 college students who are on leave from a private university A located in Busan to classify and identify the naturally generated groups by type of college adjustment. Results: As a result, students on leave of absence from local private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college adjustment. First, 47.58% of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maladaptive group’. There were groups that showed below-average levels in all areas of academic,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adjustment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are a group with a high risk of permanent dropout like academic dismissal and withdrawal after a temporary dropout like absence. The second group was the ‘adaptive group’ that accounts for 23.39% of the total. Thi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the maladjusted group in all areas of college adjustment. However, the adaptive group also showed a relatively low level of academic adjustment. The last group was the ‘borderline group’, accounting for 29.03% of the total. Thi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emotional and physical adjustment than the maladjusted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adjustment from the maladapted group, and 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attachment are below average. Conclusion: Through study results, local private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academic support firs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 support, present a vision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to prevent dropou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방 사립대학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지방 사립 대학교 휴학생들이 어떠한 대학생활적응 유형을 갖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부산에 위치한 A 사립대학의 휴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조사를 실시하고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집단을 분류하고 집단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그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따라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은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먼저 연구대상의 47.58%가 부적응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학업적,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 애착의 전 전 영역에서 보통 이하의 적응도를 보이는 집단으로 일시적 학업중단인 휴학 이후 영구적 학업중단인 자퇴나 제적으로 전환될 위험이 높은 집단이다. 두 번째 집단은 전체의 23.39%에 해당하는 적응형 집단이다. 이 집단은 대학생활적응의 전 영역에서 부적응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인다. 하지만 적응형 집단이라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학업적 적응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집단은 경계선 집단으로 전체의 29.03%에 해당한다. 이 집단은 부적응 집단에 비해 뚜렷하게 정서적 적응과 신체적 적응 정도는 높지만, 학업적 적응은 부적응 집단과 차이가 없고 정서적 적응과 대학 애착도 중간 이하인 특징을 갖는다. 논의 및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현재 지방 사립대학교 휴학생들은 유형에 상관없이 학업적 적응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지방 사립대학의 신입생 충원이 어려워지면서 입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이 낮아진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지방 사립대학은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업적 지원을 우선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을 포함한 종합적 지원뿐 아니라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 지원, 대학에 대한 애착 형성을 위한 비전 제시, 다양한 자기계발 기회 제공 등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해외파견 봉사단 대상 통합 소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정지언(Ji-eon Jeong),김영환(YoungHwan Kim),이지연(Jiyeon L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3

        This study aims to deduct the developing directions of volunteering literacy program for participants of WFK(World Friend Korea), which is the new name and the new program for volunteers dispatched overseas by the Korean, and the strategies for sharing the program with Korean public and private volunteer agencies. The Focus Group Interview has conducted in 2 times with 16 experts from each field and 7 training coordinator for private and public volunteer agenc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s for selecting contents : WFK participants can get 1) Understanding Korea’s culture value, 2) Understanding Korea’s modern growth experience, 3) Objective comprehension on Korea, 4) Respect and share attitude as the Volunteer, 5) Global communication ability, and 6) Pride as an WFK through the volunteering literacy program. Second, the directions for designing program : 1) apply the diverse instructional methods for reflecting adult learner’s characteristic, 2) applicate the foreigners’s various vision and aspects about Korea, 3) adopt the experiential learning, 4) expand the senior volunteer’s participation as an lecturer, and 5) make difference reflecting the volunteering period (long term, short term). At last, the strategies for sharing the program with public and private volunteer agencies: 1) Operating the online resource center for education program, 2) Sharing the online learning system, 3) training course for training coordinators of volunteer agencies 4) Supporting system among related agencies. The results on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provide the meaningful suggestion for developing the volunteering literacy program of volunteer agencies in Korean as well as WFK.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민ㆍ관 해외파견 봉사단 통합 브랜드인 WFK 참여자들이 갖추어야 할 공통 소양교육 개발의 방향을 도출하고 개발된 공통 소양교육 과정을 민ㆍ관 봉사단과 공유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함으로써 WFK 대상 공통 소양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분야별 전문가 16인 그리고 민ㆍ관 봉사단의 사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 7인과 2회에 걸쳐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했다. 그 결과 WFK 참여자에게 요구되는 공통 소양으로 WFK의 공통 소양으로서 요구되는 지식은 ① 한국 문화에 내재된 한국적 가치에 대한 이해, ② 한국 근대발전 경험에 대한 이해, ③ 객관적 관점에서의 한국 이해, 태도는 ④ 자원봉사자로서의 성김과 나눔의 태도, ⑤ 글로벌 소통능력, ⑥ WFK로서의 자긍심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양교육 방법의 설계 시 ①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교수법의 적용, ② 주한 외국인 참여를 통한 다양한 관점과 시각 활용, ③ 체험을 통한 학습, ④ 선배 단원들의 참여 확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민ㆍ관 공통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① 교육프로그램 보급과 공유를 위한 온라인 리소스 센터 운영, ② 온라인 학습지원 시스템 운영, ③ 봉사단 사전교육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과정, ④ 유관기관들 간 협조 체계 구축과 교육전담 기관의 운영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이문화 집단에 대한 편견과 문화교류 역량을 중심으로 본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정지언 ( Ji Eon Je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파악을 목적으로 부산지역 대학생 322명의 이문화 집단에 대한 편견의 양상과 문화교류 역량을 분석했다. 편견의 양상 분석 결과 행동적 측면인 사회적 거리감과 감정적 측면인 부정적 감정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성정체성 이질 집단인 동성애자에 대한 편견의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인종과 민족, 사회계층, 종교, 신체적 능력 등의 문화적 이질성 요소 전체에 대해 편견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화교류 역량의 정도 분석결과 평균 3.32점으로 중간 이상의 문화적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원안 척도의 평균이 4.33점인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라고 할 수 있다. 6개의 하위 영역 중 문화공감 능력이 가장 높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성별, 학교 유형, 해외체류 경험, 외국어 능력, 다문화교육 경험 등이 문화교류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will play a crucial role in a glob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otal 322 students living in Busan responded the survey about the bias toward heterogeneous groups and cross-Cultural competency. The Students`` social distance and negative emotions toward the heterogeneous group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foreigner, the different social classes, the disabled person, the foreign workers to the homosexuals, They have a largest bias against the abnormal sexual identity, The level of students`` cross-cultural competence is just beyond intermediate level and the score of tolerance for ambiguity which is one of the subordinate factor of cross-cultural competence is the lowest. Comparing with the original scale, Korean university students` cultural competence is a considerably l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