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보문 : 자연과학 ; 수수 포장출현력 예측을 위한 종자세 적합도 검사

        김석현 ( Seok Hyeon Kim ),이명희 ( Myeong Hee Lee ),강경희 ( Kyeong Hee Kang ),박민우 ( Min Woo Park ),심상인 ( Sang In Shim ),정정성 ( Jung Sung Chung ),나영왕 ( Young Wang Na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5 No.1

        본 연구는 실험실에서 인위노화처리로 종자활력을 조절한 후 실시한 몇 가지 종자세 검정치와 포장출현력과의 관계를 설정하여 수수의 포장출현력 예측에 가장 적합한 종자세 검사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수수 종자의 종자세가 높은 상태에서는 표준발아검사에서의 유아장이 포장출현력 예측에 효과적이며, 노화된 종자에서는 저온발아검사(CGT)에서의 정상묘율이 포장출현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r = -0.998, p < 0.01). 포장출현력 예측에 효과적인 몇가지 종자세지수를 이용하여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준발아검사에서의 종자세 지수(vigor, SGT)가 95%의 높은 포장출현력 예측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표준발아검사에서의 정상묘율(% normal seedling), 테트라졸리움의 종자세(vigor, TZ), 저온검사(cold test)에서의 정상묘율과 저온발아검사(CGT)에서의 정상 묘율과 같은 변수를 회귀방정식에 추가함에 따라 포장출현율 예측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표준발아검사와 저온발아검사는 노화정도가 다른 수수 종자의 종자세 검사방법으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In this study, several attempts were made to develop prediction method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for field emergence of sorghum using various seed vigor tests in laboratory. Sorghum seeds artificially aged to provide various levels of seed quality were evaluated by the standard germination test (SGT), cool germination test (CGT), cold germination test (CT), tetrazolium vigor test, electroconductivity test and complex stressing vigor test (CSVT). The most suitable criterion for identifying the degree of seed vigor was plumule length in the seeds shown higher seed vigor in the SGT. The field emergence rate and % normal seedling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erformance in the aged condition (lowered seed vigor) of the CGT (r = -0.998, p < 0.01). In a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seed vigor in the SGT accounted for 95% of the variation in seedling emergence in sorghum. Also, % normal seedling in SGT, TZ vigor test, % normal seedling in cold test (CT) and cool germination test (CGT) were useful for predicting field emergence in sorghum. The standard and cool germination tests therefore appear to be suitable for evaluating a wide range of seed vigor of sorghum seeds in field and could be used as a rapid vigor test.

      • SCIESCOPUSKCI등재

        건강인에서 소장의 감각능과 팽창도에 대한 선택적 5-HT4 수용체 부분 작용제 tegaserod의 효과

        정정조 ( Jeong Jo Jeong ),최명규 ( Myung Gyu Choi ),조유경 ( Yu Kyung Cho ),전은 ( Eun Jung Jun ),조영석 ( Young Seok Cho ),우철 ( Woo Chul Chung ),이인석 ( In Seok Lee ),김상우 ( Sang Woo Kim ),최상욱 ( Sang Wook Choi ),정인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위장관의 내장 감각능 이상은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중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위장관의 감각을 지각하는 기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세로토닌은 위장관의 운동과 감각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는 5-hydroxytryptamine-4 (5-HT4) 수용체 부분 작용제인 tegaserod가 건강인에서 소장의 감각능과 팽창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 지원자 16명을 대상으로 위약이나 tegaserod (6 mg 하루 2회) 두가지 약물중 한 약제를 단일 맹검, 무작위 순서로 3일간 전투약한 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십이지장 3부에 최대 용적 120 mL의 풍선이 부착된 검사관을 위치시킨 후 바로스타트에 연결하여 소장의 팽창도 및 소장의 감각능을 평가하였다. 풍선의 용적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최초 인지 용적(처음으로 감각을 느끼는 용적), 최대 인내 용적(불편감/통증으로 참기 힘들때의 용적)을 기록하고 압력 변화를 관찰하여 소장 팽창도를 계산하였다. 소장 감각능은 20 mL, 40 mL, 60 mL의 3가지 팽창 자극을 무작위 순으로 3회씩 주어 피험자가 느끼는 감각을 시각적 선형척도에 기록하게 하여 평가하였다. 고칼로리 유동식인 엔슈어를 지속적으로 소장에 주입하면서 다시 무작위 순서로 3가지의 팽창자극을 주면서 피험자의 감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Tegaserod 투여군의 소장 팽창도는 2.59±0.74 mL/mmHg로 위약 투여군의 소장 팽창도 2.25±0.42mL/mmHg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egaserod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 사이에 최초 인지 용적의 차이는 없었지만 최대 인내 용적은 tegaserod 투여군에서 55.7±12.9 mL로 위약투여군 41.7±7.3 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20,40, 60 mL의 팽창자극을 하였을 때 오심, 팽만감, 불편감/통증 및 총 감각 지수는 tegaserod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유동식을 주입하면서 팽창자극을 주었을때에도 두 군간에 팽창 자극에 대한 감각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Tegaserod군과 위약군 사이에 빠른 위상성 팽창 자극에 대한 감각의 차이는 없었으나 단계적 팽창 자극에 대한 최대 인내 용적이 tegaserod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tegaserod가 소장의 감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Backgr ound/Aims: Disturbances in visceral perception contribute to postprandial symptom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However, the mechanism of perceiving sensation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Our aim in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egaserod on compliance and visceral perception in the proximal small intestine. Methods: Sixteen healthy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bjects underwent single blinded randomization to either a placebo group or a regimen group of 3-day pretreatment with tegaserod (6 mg bid). Thirty minutes after the insertion of a balloon-equipped, double-lumen tube into the duodenum, we sequentially measured the compliance and maximal tolerable volume to stepwise balloon distension. The maximum volume of the balloon was 120 mL, and an electronic barostat was used to maintain a constant volume within the balloon. Sensory function was assessed by grading accompanying symptoms of nausea, fullness, and abdominal discomfort/pain during random-ordered isovolumetric ditension of the balloon at volumes of 20 mL, 40 mL, and 60 mL. We made additional assessments on sensory function by slightly modifying the above method of randomized balloon distension to include continuous infusion of liquid meal into the tub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ance between the two groups. Maximal tolerable volum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tegaserod group than in the placebo group (55.7±12.9 mL vs. 41.7±7.3 mL, p<0.05). Perceived sensation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during random ordered rapid phasic distension (20, 40, 60 mL) did not reve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egaserod had no effect on perceived sensation during rapid phasic distension, but it did increase the maximal tolerable volume during stepwise disten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gaserod reduces the sensitivity to small bowel distension in healthy subjects. (Kor J Neur ogastr oenter ol Motil 2004;1:35-42)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관찰추천에 의한 초등과학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나타난 문제점: 교사 추천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정인 ( Jung In Chung ),박종욱 ( Jong Wook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시행된 대학 부설 초등과학영재의 관찰 추천 전형 사례를 통해 영재선발 과정에의 교사추천이 반영되었을 때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영재교육원의 관찰전형 선발에서 발생한 문제점으로는 첫째. 학생의 영재성을 제시하고 있지 않거나 영재성을 판단할 수 없는 피상적 사례 제시로 인한 서술적 평 가 자료의 신뢰도 결여이다. 둘째. 학급담임과 영재학급 등의 영재교육기관의 추천정도 및 추천유형의 불일 치로 인한 현장교사들의 추천 자료의 객관성 결여이다. 셋째, 영재 행동 쳬크리스트는 지속적인 관찰에 의 한 자료라기보다는 학생들이 지닌 특성을 파악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형식적인 자료가 많아 서술적 평가의 신뢰도를 높여줄만한 객관적 자료로서의 활용성이 떨어졌다. 넷째, 서류 확인을 위한 면접에서의 평가와 교 사 추천의 불일치로 생성되는 문제점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학 부설기관의 관찰전형을 통한 영채선발 에 있어 추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만한 방안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lection process of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letters of recommendation by observer teachers for the Institut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ttached to the university in 2011. Problems observed in the process of class observation and nomination for the Institute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roblems of descriptive evaluation: Deficiency in confidence of data presented as examples, which either did not show features of the gifted or presented superficial examples that can not differentiate the features of the gifted. 2) Deficiency in objectivity of recommendation data by field teachers due to discrepancies in degrees and patterns of recommendation and evaluations by the gifted class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3) Difficulties with applying checklist data of the behavior as the gifted to the evaluation as reliable and objective data. The data was too formal rather than data from the consistent observation which made it difficult to characterize the students. 4) Discrepancies between the evaluations of screening interviews and recommendations by teachers which was observed during the selection process. Further study is desirable to resolve those problems and improve the selection process.

      • KCI등재후보

        기독교철학과 영성 마틴 로이드 존스(Martyn Lloyd-Jones)의 성령에 대한 관점

        정정인 ( Jung In Ch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0 기독교철학 Vol.11 No.-

        As reading the books of Martin Lloyd-Jones, you might come to think that he has a Pentecostal doctrine of the Holy Spirit, however, if you study that more fully, you would know that he certainly stands on reformed position and argues that the Pentecost is a baptism of power of the Holy Spirit which was poured for churches by God. He appealed for the Biblical equilibrium and by arguing that the insistence in which all gifts was over after the age of Apostles is nonsensical, he addresses that even i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Pentacostal was a one-time event historically, unlike the time when the Holy Spirit worked by enabling speaking in foreign tongues, the Holy Spirit is still working powerfully and effectively in many other ways until now. Lloyd-Jones explains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dividing it into basic baptism and power baptism. He says that the rebirth and the basic baptism of the Holy Spirit are the same event, only viewed from different levels. Lloyd-Jones interprets what traditional reformed churches say about a person who was born again as being baptized by the Holy Spirit, as he or she was given the basic baptism from the Holy Spirit. In addition, he said that believer after the rebirth has the Holy Spirit in the center of his or her heart and is continuously guided and supported by the Holy Spirit is life full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is thesis, I try to sum up the tru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that the Bible teaches based on Dr. Lloyd-Jones`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 SCOPUSKCI등재

        편평상피세포 담낭암 1 예

        정인식 ( In Sik Chung ),이인석 ( In Seok Lee ),최명규 ( Myung Gyu Choi ),박두호 ( Doo Ho Park ),김상우 ( Sang Woo Kim ),양영상 ( Young Sang Yang ),허원행 ( Won Haing Hur ),조영석 ( Young Seok Jo ),정정조 ( Jung Jo Jung ),김병기 ( 대한소화기학회 200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8 No.5

        Squamous cell carcinoma of gallbladder is rare and its pathogenesis is unknown. A 63-year-old woman presented with right upper quadrant pain. Investigations revealed irregular and ill-defined heterogenous soft tissue mass in gallbladder fossa, which was infiltrated to the liver, pancreatic head, and duodenum on CT scan. Biopsy of liver and duodenum confirmed it as squamous cell carcinoma. Because the normal gallbladder does not have a squamous epithelium, squamous cell carcinoma of gallbladder has been the subject of interest in several publications. We report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gallbladder. (Korean J Gastroenterol 2001;38:389- 392)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수업 비평관점에 관한 연구

        김재빈 ( Jae Bin Kim ),정정인 ( Jung In Chu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0 No.8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수업비평을 분석하여 교사들이 나타내는 수업비평의 관점과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인 수업비평자들은 저경력과 고경력 초등교사 6명이다. 비평의 대상이 된 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7단원 `식물의 잎이 하는 일`중 두 차시의 실험수업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교사들은 18개의 코드 중 다음 3가지 코드인 동기유발, 학생 중심의 탐구, 결과정리를 주요 관점으로 비평하고 있었다. 표준적인 체크리스트와 같은 요소별 비평을 하고 있으며, 부분상황적, 맥락적 특징을 드러내는 비평을 하고 있었다. 또한 저경력 교사들은 초임교사의 과학수업에 많은 공감을 나타냈으며, 자신의 초임시절 수업경험을 성찰하며 수업비평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수업비평 관점을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 설정 및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class criticism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on the subject of science classes by beginner teachers. And then the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criticism were investigated. Teachers for class criticism consisted of six members, including two each of low- and high-career teachers. The viewpoints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all the teachers. The subject of class criticism was `Activity of leaves in plants`, which is in the seventh unit of the science textbook for fifth grade elementary students of the first semester.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eachers criticized the science class mainly with three codes of viewpoints: motivation, inquiry focused on student, and summary of the results, where viewpoints consisted of 18 codes. They criticized the class by factors on a standard checklist and their criticism was characterized by partial situation and context. Low-career teachers criticized the class with the viewpoint in sympathy with the beginner teachers and criticized the class with the viewpoint of recollecting their teaching experience as beginner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 progra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education for science classes.

      • KCI등재후보

        교사의 자기주도적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 구축

        신지혜 ( Ji Hye Shin ),이혁규 ( Hyng Kyu Lee ),엄훈 ( Hoon Um ),정정인 ( Jung In Ch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좋은 수업과 수업 개선에 대한 요구로 수업비평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수업비평을 비롯한 수업컨설팅, 수업멘토링 등에서 수업동영상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정부와 시·도 교육청, 연구기관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수업동영상은 다양한 관심과 수업 관찰의 목적에 맞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업동영상이 기존의 온라인 수업동영상 사이트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장점을 이어받고 한계를 보완하여 수업비평과 결합된 온라인 수업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동영상의 내용적 특성과 수업동영상 관찰 및 분석을 위한 지원 체계를 분석하였으며, 수업비평의 개념과 방법 및 절차를 고려한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은 기존 사이트와 비교하여 두 가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존 우수 수업동영상의 정형성을 탈피하여, 다양한 유형의 수업 사례를 발굴하여 탑재함으로써 우수 수업의 개념을 재구축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수업동영상이 수업에 대한 깊은 질적 분석을 하는 비평문과 결합되어 제시되도록 하여, 수업 관찰자가 수업동영상과 비평문을 비교하면서 수업의 특질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은 온라인을 통해서 수업에 대한 연구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수업전문성 신장의 한 중요한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build on-line database of teacher instruction video with class critique. In order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online sites,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new teacher instruction video site combined with class critique. When compared with existing websites, the online system of class critique had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One wa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unted class videos differed somewhat from existing outstanding videos. The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suggested a concept and method of class critique based on a theoretical reflection of what constituted a class that was appropriate,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Building on this, they sought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an ``outstanding class`` by discovering cases on good classes of various forms. The second characteristic was that the class video was labeled after being combined with class critique that qualitatively analyzed a class in depth. The online class video that had been combined with critique, in this manner, could be said to present one important case study for enhancing class professionalism in a space and time where research and communication on class instruction takes place online.

      • KCI등재후보

        과학(생물) 교과서에서 시각의 원근 조절에 관련된 삽화의 분석 및 오개념 연구

        서정희(Jeong-Hee Seo),동효관(Hyo-Kwan Dong),정정인(Jung In Chung),한재영(JaeYoung Han),백성혜(Seoung Hey Paik),김용진(Yong-Jin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49 No.-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중등학교 과학(생물) 교과서에서 제시된 시각의 원근 조절과 관련하여 수정체 두께의 조절 작용, 근시 및 원시의 시자극 경로 등에 대한 삽화의 특성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수정체 두께의 조절 기전에 대해서는 생물전공 교사 및 고등학생의 인식을 면담하여 유형을 분류한 후 추가적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생물)교과서에서 눈의 원근 조절에 대한 설명은 간단하게 제시되어 있었고, 진대가 근육처럼 수축이나 이완을 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오개념을 보였다. 둘째, 눈의 단면 구조 삽화를 이용한 수정체 두께의 조절 기전에 대하여 생물교사와 학생 모두 삽화를 평면적으로 인식하고 직관적으로 해석하여 오개념을 가지는 비율이 높았다. 특히 학생들은 수정체 두께의 조절 기전을 논리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암기하는 경향이 많았다. 셋째, 근시 및 원시에서의 시자극 경로에 대한 교과서의 삽화는 물리학적 개념에 맞지 않게 표현되어 오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는 개정될 과학 교과서에서 시각 단원의 삽화가 과학적 개념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입체적으로 표현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illustrations o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he thickness in eye lens and the visual stimulating pathways of nearsightedness and farsightedness in the unit of 'Eye Vision' of biology textbooks based on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analysed the misconceptions related to them. The cognition types of 120 biology teachers and 400 high school students o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he thickness in eye len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biology teachers and students had many misconceptions of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he thickness in eye lens by us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eye, and this misconceptions comes from their understanding the illustrations two-dimensionally. Especially, the ratio of students who didn't understand the explanation of the illustrations logically but learn by rote was highest. Second, the most of the illustrations of the visual stimulating pathway of nearsightedness and farsightedness didn't express well in accordance with the scientific concept.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which illustrate an image of the object on a point in the focal distance of the eye lens showed the misconception of identifying focal point with the point of image. This research suggest the illustrations in the revised science textbooks should be expressed scientifically accurate and three dimensionally.

      • KCI등재후보

        빛 단원에서 반사와 굴절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조사

        송영욱 ( Yong Wook Song ),김범기 ( Beom Ki Kim ),백성혜 ( Seoung Hye Paik ),김용진 ( Yong Jin Kim ),한재영 ( Jae Young Han ),정정인 ( Jung In Chu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7학년 과학 교과서의 빛 단원에 사용된 화살표의 유형을 분석하고, 화살표의 의미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을 알아보는 데 있다. 중학교 과학교과서 9종의 빛 단원에 사용된 화살표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7학년 학생의 과학 성적에 따라 상, 중, 하 각 2명씩을 대상으로 하여 화살표의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법으로 조사하였다.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빛 단원에 사용된 화살표의 유형은 물체에서 나온 빛이 눈에 도달하는 과정에 따라 4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화살표의 점선과 실선에 대한 개념 이해는 과학 성적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빛이 평면 거울면에 반사하거나 공기와 물의 경계면에서 굴절하여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의 경로를 표현할때, 물체에서 나온 화살표의 실선과 물체가 위치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화살표의 점선의 의미를 명확히 제시하여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of arrows used on the inscriptions in the light unit of 7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middle students` conceptions on the meaning of the arrows. The types of arrows in 9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to access how 7th graders perceive the meaning of arrows. In addition, we interviewed 7th graders, 2 students in high level, 2 in the middle, and 2 in low level by their achievement level,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n the meaning of the arrows. We analyzed 4 types of arrow by the process in which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object come into one`s eyes. Students tend to perceive the meaning of the solid line and the dotted line of arrow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level. When the light pathway is represented in which the reflected or refracted light enter into our eyes, it is necessary to describe and teach clearly both the meaning of solid line as the light from the object and the meaning of dotted line as the perception of the existence of the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