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Naxi족의 사후세계에 대한 고찰 -『神路圖』를 중심으로

        丁一 동아시아고대학회 2005 동아시아고대학 Vol.12 No.-

        Dongba Painting <Shen Lu Tu(Road to Heaven(神路圖)> is a kind of long scroll paintings used for funeral and "releasing the souls of the departed" rituals in the Dongba religion of the Naxi people. It describe a long journey on which the souls of the departed have to be tortured in every possible way in hell, before being reincarnated as a man again, and finally joining the world of gods and the 33 storeys of heaven. The kind of painting by academic circles from home and abroad. During the ritual, the Dongba flamen spread the painting <The Road to Heaven(神路圖)>and chant the words of the scripture entitled <Guiding the souls of the departed on the Road to Heaven> standing beside it in order to release the souls of the departed. This <Road to Heaven(近神之路)>[during the Qing dynasty] is kept at the Lijiang Dongba Cultural Museum(麗江東巴文化博物館). It is 14.35 meters long and 0.34 meters wide, painted on white cotton cloth treated with starch. More than 410 demons, deities, Dongba specialists and over 100 varied images of animals can be found in this painting, It show peoples a mysteriousworld of demons and deities, it could therefore be regarded as a great work of ancient religious culture. An another painting <Road to Heaven(神路圖)>[during the Qing dynasty] is also a kind of long scroll paintings used for funeral and is kept at Harvard University Yanjing Library. Through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scroll painting of Lijiang Dongba Cultural Museum is more beautiful and have more ancient Dongba painting tradition than the painting scroll of Harvard University Yanjing Library. There are many myths. cosmos universal views, life culture and Donga culture of Naxi trive in the scroll painting <road to Heaven>. oviparity story,tree production story and mother production story is producted in the three universal culture. In Dongba painting <Road to Heaven> there are multi-origin tradition for example Tibetan Buddism. Bon Religion and Daoism. Various facts including Garuda and white elephant of <Road to Heaven> Dongba scroll painting show us it have many Bon religion tradition. In near future, the relationship of between Dongba religion and Bon religion will be searched with more detail and certainty.

      • KCI등재
      • KCI등재

        상성(相聲)을 통해 본 북경호동지역사회의 정체성

        정일 중국학연구회 2001 中國學硏究 Vol.20 No.-

        본고는 북경후통내 지역사회의 생성의 지속이 어떻게 상성작품에 나타나 있는 지를 고찰한 논문이다. 葉南客(1998)의 '過度人'의 개념을 이용하여 변동시기에 어떠한 사회적 변화의 특징들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상성작품속에서 이러한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고 반영되었지를 살펴보았다. 북경후통지역사회적 모습이 상성작품에 정확히 어느 정도 반영되는 지 찾아보기가 쉽지 않지만 북경지역 상성작각들에서 이러한 상성작품에서 북경후통지역사회의 변화상을 반영한 내용을 분류별로 살펴봄으로써 북경후통진역사회에 당면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개혁개방 이래로 극심한 사회변동속에서 상성속에 어떻게 그 북경후통지역사회의 정체성이 반영되고 변외되었으며, 지속되어 왔는 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현대중국이 개혁개방 이래 수행된 대변혁속에서 북경의 후통지역사회도 역시 대변혁으로 인한 가치체계와 가치개념의 변화를 겪었으며, 이를 통하여 세대간의 가치-충돌로 대변되는 가치관 내지 가치개념의 충돌 소위 세대차이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과도인의 특징으로 보여지는 각종사회현상이 상성작품속에서 확인되었다. 개혁개방으로 인한 새로운 변화는 사회조직의 이완 및 정치·경제구조의 조정을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많은 실업과 계층간의 분화를 가져왔다. 사회주의 시장경제로의 대변동은 배금주의적인 가치관을 포함하는 새로운 가치관의 대두를 가져왔으며, 이를 통하여 세대간 가치관의 충돌, 다원화된 경제관의 충돌, 가치개념과 서로 다른 가치관을 포함하는 새로운 가치관의 대두를 가져왔으며, 이를 통하여 세대 간 가치관의 충돌, 다원화된 경제관의 충돌, 가치개념과 서로 다른 가치개념의 충돌, 대중문화의 전통문화의 대립 및 공동체의식의 약화와 개인경제의식의 증대를 야기하였다. 변혁기의 사회통제의 전반적인 이완현상은 각종 퇴폐행위와 사회범죄의 급증을 가져다 주었다. 공무원들의 뇌물수수 및 집단적인 부패도 역시 이러한 변혁사회의 제반 현상과 맥락을 같이 한다. 후통지역사회는 21세기 북경 거대도시 건설이란 변화의 당면과제 속에서 각종 과도기적인 사회변화를 겪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이러한 사회변화에서 오는 정신문명의 타락은 정신문명의 건설이란 구호 아래 가도판사처와 거민 위원회의 통제활동을 강화하는 등 사회주의문화가 주도문화이기는 하지만 주류문화의 지위를 급격하게 상실하게 않기 위한 노력도 동시에 행해지고 있다 특히 북경시의 각 구에서 진행되어지는 축제 및 민속문화의 부활은 외래문화의 유입과 대중문화에 대한 반문화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아울러 사회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옛 북경전통문화에 대한 희구의 성격을 강하게 띄고 있음도 주목된다. 북경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노북경'열기(민간찻집의 개업, 秧歌隊의 확산, 옛북경 관련 서적 출판붐), 전통 북경상점 및 식당의 증가는 정신문명건설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전통민속문화의 부활이 새로운 관광문화상품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상성을 통한 북경후통 지역사회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이라는 측면이 과연 얼마나 후통지역사회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는 가하는 점은 여전히 토론의 여지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