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운(香雲) 정태혁 박사의 학문과 실천 -배우며 생각하며 수행하며 전념한 후학 양성-

        정승석 ( Seung Suk Jung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향운 정태혁 박사가 후학을 위해 개척하거나 개발한 학문적 업적의 특색을 세 방면으로 개괄할 수 있다. 첫째, 불교 연구에서 범어와 서장어를 통해 원전에 의거한 해석을 시도했다. 이것은 한문으로 번역된 2차 자료에만 의지하여 불교를 연구하던 종래의 풍토를 일신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로써 국내 불교학의 신기원을 이루었다. 둘째, 국내의 인도철학 분야를 개척하면서 특히 불교와 인도철학의 비교 연구에 주력하여, 이 같은 학풍을 실질적으로 주도했다. 셋째, 요가를 비롯한 인도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밀교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향운은 국내의 불교학계에서는 밀교를 학문적연구 대상으로 심도 있게 고찰한 최초의 학자로 인정된다. 향운의 학문과 삶을 일괄하자면, 그는 중관학을 기점으로 밀교를 섭렵하면서 불교의 이념을 수행으로 실천하는 학문과 삶을 견지해 왔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중도를 요가와 밀교의 수행법으로 실천함으로써 불교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of Dr. Jung Tae-Hyuk`s scholastic achievements for the future us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Dr. Jung (whose literary name is Hyangwoon) attempted to translate into Korean primary materials in Buddhist Studies such as Sanskrit and Tibetan texts, which he believed to be the right way to study Buddhism. He opened the door to the new way of Buddhist Studies by publishing the first Buddhist grammar books in Korea such as Standard Sanskrit and Basic Tibetan. His new way of study Buddhism as a momentum made lots of Korean scholars leave the conventional way of studying Buddhism that depended only on Chinese texts and begin to read texts in Sanskrit and Tibetan. It is the impact of Hyangwoon`s pioneering work that young scholars these days consider learning Sanskrit and Tibetan as a necessary and basic step of Buddhist Studies. Secondly, Hyangwoon pioneered the field of Indian philosophy in Korea, especially when he focused on comparative studies between Buddhism and Indian philosophy. Under his substantial leadership, Dongguk University formed the department of Indian Philosophy in order to pro mote Buddhist Studies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relation to Indian Philosophy that provided cultural soil for Buddhism. Through his comparative studies Hyangwoon gave a lead in attaining the purpose of the department. Lastly, Hyangwoon opened up new horizons in studying Tantric Buddhism (Vajrayana) with his full understanding of Indian cultures. Because Tantric Buddhism is integrated with the elements of Hindu culture, it is a prerequisite for Tantric studies to fully understand Hinduism. Due to their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f Hinduism, few scholars in Korea had been exploring Tantric Buddhism until Hyangwoon discovered the core of Mahayana Buddhism in Tantric Buddhism and applied his energy to reveal the original significance of Tantric Buddhism in both theory and practice. Therefore, we can call him the founding father of Tantric studies in Korea. To sum up Hyangwoon`s life and work, it can be said that his scholastic projects started from studying the Madhyamika and ranged over an extensive literature of Tantric Buddhism, so as to carry the principles of Buddhism into practice. In his lifetime, he endeavored to realize the ideal of Buddhism by following the Middle Way with his practice of Yoga and Tantric practices. The Middle Way that Hyangwoon incessantly drew attention to means the way of life to actually practice one`s recognition of the Sunyata(Emptiness) in order to achieve realization. He believed Yoga and Tantric practices to provide dynamics for one`s practice of the Middle Way. In Hyangwoon`s philosophy, therefore, Yoga and Tantric practices were the most affirmative methods for the path of the Middle Way.

      • KCI등재
      • KCI등재
      • 바이너리 분석을 위한 ARM 명령어 구조 분석

        정승일(Seungil Jung),류찬호(Chanho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본 논문에서는 바이너리 분석을 위한 ARM의 구조를 분석한다. 바이너리 분석이란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값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바이너리 코드를 역어셈블(Disassemble)하여 값으로만 존재하는 데이터가 어떤 명령어(Instruction)이며 어떤 피연산자(Operand)를 의미하는지 알 수 있다. 소스코드를 컴파일하여 실행파일이 생성이 되면 바이너리 값으로 구성되며 이 실행파일을 바이너리 파일이라고도 한다. 바이너리 파일을 분석하기 위해서 CPU의 명령어 집합 구조(Instruction Set Architecture)를 알아야 한다. PC와 서버, 모바일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RM 중에서 64비트를 지원하는 AArch64(ARMv8)의 명령어 구조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바이너리 분석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속도감을 높이는 영상 기법 연구

        정승은(Jung, Seung-Eu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6

        포스트 포디즘 시대에는 ‘차이’가 중요하고 이것이 가치를 창출한다. 그런데 새로운 스토리를 찾기 어려우므로 같은 이야기를 어떻게 보여주는지에 대한 고민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속도는 영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매력적인 요소이다. 속도가 더 빨라질수록 긴장감이 고조되고 영상을 놓치지 않고자 하는 관객들의 주목성 역시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속도감이 빠른 영상은 프레임과 숏 사이의 시공간적 차이도 커지기 때문에 오히려 영상을 즐기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 간격을 상상하며 영화를 자발적으로 즐기게 해주는 사유의 시간 역시 빠른 속도로 지나가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빠른 속도 영상의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폴 비릴리오(Paul Virilio)의 피크노렙시(picnolepsie) 이론을 중심으로 생각해보았다. 그 후에는 데이비드 보드웰(David Bordwell)의 강화된 연속성(intensified continuity)과 이를 위한 네 가지 스타일적인 전략(stylistic tactics)을 통해 현대영화의 특징이 빠른 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더 빠른 편집, 극단적 렌즈 초점길이의 혼용, 대화 장면에서의 더 타이트한 프레이밍, 자유로운 카메라의 움직임 등이 네 가지 전략들인데, 필자는 이 네 가지 전략들이 모두 속도감과 연관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전략들을 바탕으로 하여 영상의 속도를 높이는 요소들을 크게 숏의 물리적 길이, 움직임, 사운드로 재분류하였고 이 요소들이 어떻게 영상의 속도감에 영향을 주게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액션 시퀀스에서 뿐만 아니라 영화의 전반적인 속도감을 높이면서도 빠른 속도영상의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에드가 라이트(Edgar Wright) 감독의 3부작 영화들인 〈새벽의 황당한 저주, Shaun of the Dead〉(2004), 〈뜨거운 녀석들, Hot Fuzz〉(2007), 〈세상의 끝, The World’s End〉(2013)을 분석하였다. 에드가 라이트는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적용시키지 않았던 장면들에서도 속도를 높이는 요소들을 극대화 하고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영상의 속도감을 한층 더 가속화 시켰다. 특히 픽토그램(pictogram)과 같이 알기 쉽고 타이트한 사이즈의 화면, 현재의 상황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전후의 맥락, 영상과 싱크되는 사운드 등을 통해, 속도를 높이면서도 영화에 대한 관객의 지속적인 흥미와 자발적 해석을 유도하고자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현대영화가 빠른 속도감을 지향하는 것은 시대적 흐름과 맞물린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아무리 현대영화가 차별성을 위해 스타일적인 측면이 강화되었다고 해도 이것이 전통적인 연속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는 보드웰의 연구를 통해 하나의 중요한 사실을 알게 된다. 영화가 관객의 공감과 이해를 위해 만들어진다는 것이며 영화의 속도감은 관객의 주목을 끌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스타일중의 한 가지라는 것이다. In the post-Fordism era, ‘difference’ is important and this creates value. However, as it is difficult to find a new story, people have diversely thoght of questions about how to show the same story. Among those, speed is an attractive element indispensable to film. This is because, as speed increases, tension rises and attention of audience not to miss scene increases too. However, in fast paced film, temporal and spatial difference between frame and shot also increases. So, it may be difficult to enjoy film on the contrary. This is because thinking time making it possible to spontaneously enjoy a movie with imagining the gap also passes at high speed. Therefore, this study thought over the above-mentioned points at issue of fast pace, focusing on Paul Virilio’s picnolepsie theory. And then, it was intended to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ovie were closely related with higher pace through David Bordwell’s intensified continuity and 4 stylistic tactics for this. These are 4 tactics, i.e., more rapid editing, mix of extreme focal length of lens, tighter framing in dialogue scene and free camera movement, because all of them are elements having an effect on perceived pace. Therefore, the author classified elements increasing film’s pace into major categories of sound, movement and physical length of shot on the basis of those tactics, and intended to examine how these elements had an effect on perceived speed in film. In addition, director Edgar Wright’s films a trilogy 〈Shaun of the Dead〉 (2004), 〈Hot Fuzz〉 (2007), 〈The World’s End〉 (2013)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how problems of fast paced film could be overcome with increasing overall perceived pace in movie. Edgar Wright increased film’s pace to the extent that it seemed artificial by maximizing elements that increased speed, and using these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overall perceived pace in film was more increased by speeding up scenes to which higher pace had not been applied in comparison with action sequence and dialogue scenes accounting for a large portion of movie. Besides, it was intended to induce audience’s continuous interest in and spontaneous analysis of movie as well as increasing perceived pace by using a picture that had tight size to easily understand like pictogram, context that making it possible to know the current situation, and sound synchronous with image, and so on. As mentioned above, orienting modern movie toward higher pace can be said to be an essential condition coupled with the current of times. However, people come to know one important fact through Bordwell’s study saying that modern movies are based on traditional continuity though stylistic aspect is intensified for differentiation. The fact is that a movie is made for audience’s empathy and understanding, and that the perceived speed in movie is one of various styles used to attract audience’s attention.

      • KCI등재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대안적 논의: 해운대의 풍수지리를 중심으로

        정승안 ( Jung Seung-a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3

        오늘날 인류가 마주하고 있는 지구환경의 급변현상은 전세계 1/3의 대도시들이 강변이나 해변가를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에서 인간의 실존적 삶의 위기요소로 부상한다. 도로망들도 해안선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들이 많기에 해수면 상승과 같은 지구환경변화는 도시의 생존자체에 결정적인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도시 그리고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구의 증가, 사회적 불평등의 가속화, 생태환경의 파괴와 자연자원의 고갈 등 전 지구적인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새롭게 추구할 가치가 필요하게 되었고 그러한 배경 하에 등장한 것이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이다. 인류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과 도시개발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들이 새삼스럽게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생태적 지속가능도시에 대한 관심과 도시조성을 위한 전통적 지리관으로서의 풍수적 관점이 주목되는 것이 더 이상 이상한 현상은 아니다. 도시의 지형적 특성이 반영된 지속가능도시조성계획에도 풍수의 실제적 개입과 설명은 이미 실현되고 있는 사회적 사실이기 때문이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도 지속가능도시에 대한 접근방법에 있어서 과거의 서구적 인위적인 경제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다양한 생태중심의 사고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과 정책전환을 바탕으로 동양전통사상과의 만남은 생태적 지속가능도시의 개념을 재정립하거나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지속가능한 환경과 도시발전의 여러 가지 논의에 대해 살펴보고 대안적 가능성으로서 풍수지리의 논리를 해운대의 도시환경에 어떻게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시론적인 논의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The rapid change of the global environment facing humanity today is emerging as a crisis element of human existential life in the fact that one third of the big cities around the world are centered on the riverside and the beach. Because road networks are often located along the coastline,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sea level rise are expected to be a decisive blow to the city's surviv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ities and communities in which modern people live, there is a need for new values to pursue as the population increases, the acceleration of social inequalities,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The concept is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human community, various theoretical discussions for sustainable communities as an alternative to the environment and urban development are being renewed. Therefore, it is no longer strange that attention to ecological sustainable cities, which have been growing in recent years, and the feng shui viewpoint as a traditional geographical point for city composition are attracting attention. The actual intervention and explanation of Feng Shui in the sustainable city planning that reflect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is a social fact that has already been realized. Countries and local governments also need to shift away from past Western, artificially economic-centered approaches to diverse eco-centered approaches in their approach to sustainable cities. Based on this recognition and policy change, meeting with oriental tradition thought can contribute to redefining or expand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sustainable city.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various discussions of sustainable environment and urban development, and try to apply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how to apply Feng Shui's logic to urban environment as an alternative possibility to Haeundae in Busan.

      • KCI등재

        건축공간에 투영되는 사회적 이념과 관광의 의미

        정승안 ( Moon Jung-pil ),문정필 ( Jung Seung-an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1

        관광은 현대인이 가장 적극적으로 희망하는 여가활동 중 하나이다.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관광에 참여하는 동기는 근대성과 관계가 있다. 산업화로 인한 자연의 황폐화, 전통과 관련된 문화적 단절, 산업화에 의한 규칙이나 계획에 따르는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일탈이 그것이다. 즉, 근대적 관광은 효율성을 위해 분업화된 일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고 싶은 욕구를 해결할 대안적 시간적, 공간적 리듬에서 출발하였다. 그래서 관광은 근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삶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지만, 단지 즐거움의 추구나 여가의 자연스러운 산물로 취급해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관광의 본질은 자기만족과 이상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자아실현의 목표를 성취하는 심미추구성이 부각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것이 충족된 관광행위는 관광객과 관광지 현지인이 접촉하여 새로운 문화생산에 이바지한다. 또 일상과는 다른 관광지를 세세하게 보고 느낌으로 발생되는 문화적 반향이 일상과 사회를 진정시키고 풍요롭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관광의 근대성을 통한 현대인의 삶을 매개로 하는 사회적 조건들에 의문을 제기한다. 관광객들의 이념적인 시선을 들여다봄으로써 나타나는 상징가치의 의미를 논의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관광환경에 노출된 건축공간과 건축물들에 대해 전형적인 근대성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넘어 물질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건축물과 건축공간의 상징적 가치에 주목해서 공간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두번째로, 관광에 노출된 건축은 관광객들의 전형적인 근대성을 통해 보는 방식을 나열함으로써 일상과는 다른 시각의 사회적 공감을 논의한다. 관광의 대상이 되는 건축공간을 해체하여 정보화 사회에서 충족되는 이러한 공간의 이념화를 통한 분석은 여러 층위에서의 문화적 연대감이나 이질감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물질과 산물로서의 건축 그 자체보다는 그것을 통한 지식과 정보를 더욱 중요시하며 개입되는 문화적 요소들을 통해 다양한 이념적 연대감들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드러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건축이 물질적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만을 담보로 만들어내는 가격이라는 기준을 넘어서 새롭고, 자의적이며, 기호적인 이미지의 생산으로 감정이입되고 있는, 오늘날의 최첨단 정보사회에서의 상징적 가치재로서의 건축과 건축물, 건축공간에 대한 사회미학적인 논의를 시도하는 이 연구의 의의는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Tourism is one of the most actively desired leisure activities for modern people. The motivation for people to participate in tourism in earnest is related to modernity. They include natural devastation caused by industrialization, cultural disconnection related to tradition, and deviation from psychological stress following rules or plans by industrialization. In other words, modern tourism began with an alternative temporal and spatial rhythm that would solve the desire to be free from divisional work for efficiency. So tourism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life for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but it tends to be treated only as a pursuit of pleasure or a natural product of leisure. Against this backdrop, the aesthetic pursuit of achieving the goal of self-realization needs to be highlighted in that the essence of tourism given to us realizes self-satisfaction and ideals. The tourism activities met by this will contribute to the new cultural production by contacting tourists and local tourists. In addition, cultural repercussions created by looking at different tourist attractions in detail and feeling can calm and enrich daily life and society. In this study, we first question the social conditions that mediate the lives of modern people through the modernity of tourism. The main purpose is to discuss the meaning of symbolic value that emerges by looking into tourists' ideological view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space by paying attention to the symbolic value of buildings and architectural spaces that are expressed materially beyond the view of modernity of architecture and buildings exposed to the tourist environment. Second, tourism-exposed architecture discusses social empath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everyday life by listing the way tourists view it through typical modernity. An analysis through ideologicalization of these spaces, which are satisfi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by dismantling the architectural spaces subject to tourism, will create cultural solidarity or heterogeneity at various levels. Through this, we want to reveal that various ideological solidarity is being formed through cultural elem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it rather than architecture as a substance and product itself. As a result, the research, which seeks a sociological discussion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e space as symbolic value goods in today's tate-of-the-art information society, which is empathized with the production of new, arbitrary, and symbolic images, can be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