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동향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정수정,임걸,고유,심현애,김경연,Jeong, Su-Jeong,Lim, Keol,Ko, Yu-Jung,Sim, Hyun-Ae,Kim, Kyung-Yeon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는 현재 공급되고 있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온라인 또는 원격교육의 특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85개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였고, 콘텐츠 유형, 상호작용 유형, 콘텐츠 유형과 상호작용 유형의 조합을 준거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 유형에서 반복연습형 및 도구형 등 빈도는 높은 반면, 모의실험과 문제해결형의 빈도는 낮았다.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학습자와 콘텐츠 간 상호작용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따라서 원활한 학습자간 의사소통의 확장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등의 특징을 적용하여 학습의 상호작용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applications in smartphones with some criteria seeking to apply online learning characteristics to smartphones. For the analysis, 85 educational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by 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interactions, and the combin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interactions. As a result, drill-and-practice and tool types of contents ranked high, and there found to be few simulation and problem solving types. In regard to interaction types, almost all of the applications had interactions only between contents and learners, which meant little active communications when using applications. Therefore, enhanced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mong learner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were required in order to use educational applications in a more effective way.

      • KCI등재

        Light I-V 곡선을 이용한 결정질 태양전지의 이상계수와 직렬 저항 특성 분석

        정수정,김수민,강윤묵,이해석,김동환,Jeong, Sujeong,Kim, Soo Min,Kang, Yoonmook,Lee, Hae-seok,Kim, Donghwan 한국재료학회 2016 한국재료학회지 Vol.26 No.8

        With the increase in installed solar energy capacity,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hysical property values of solar cell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production. Therefore, research on determi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solar cells is being actively pursued. In this study, a diode equation, which is commonly used to describe the I-V behavior and determin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solar cells, was applied. Us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od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based on light I-V measurements. Thus, using a commercial screen-printed solar cell and an interdigitated back-contact solar cell, we determined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with a modified diode equation method for the light I-V curves. We also used the sun-shade method to determine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of the samples. The values determined using the two methods were similar. However, given the error in the sun-shade method, the diode equation is considered more useful than the sun-shade method for analyz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cause it determines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based on the light I-V curves.

      • KCI등재

        보 건설이 주변지역 지하수 흐름계에 미치는 영향

        정수정,구민호,Jeong, Soo-Jeong,Koo, Min-H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2 지하수토양환경 Vol.17 No.3

        Visual MODFLOW, a three dimensional groundwater flow model, was used to analyze effects of a weir construction in an alluvial stream on the nearby groundwater flow system. A hypothetical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 groundwater level and the water budget could change after a weir 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ributary streams. A site example, dealing with the Juksan weir installed in the Yeongsan River, was also demonstrated to predict the effects of the weir construction. Model results show that impacts of a weir construction on the groundwater flow system greatly vary depending on how far a tributary is located and whether it is located downstream or upstream from the weir. Therefore,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ributaries in planning the location of a weir could effectively minimize the impacts of a weir construction on the groundwater flow system.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model results are highly dependent upon how the model is dealing with small tributaries and agricultural drainage channels, which can be easily found nearby the main streams, acting as major water bodies for groundwater discharge. The model for the Juksan area shows that the weir construction will change the direction of groundwater flow in some areas, leading to changes of groundwater quality and interaction of the Yeongsan River to the aquifer from a gaining to a losing stream. The model also predicted the areas where rise of groundwater level caused by the Juksan weir could adversely affect plant growth, and thereby suggested installing new drainage channels as a countermeasure to drawdown the groundwater level.

      • KCI등재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면 전극의 패턴에 따른 전류 밀도 및 특성 저항 변화에 대한 영향과 효율 변화

        정수정,신승현,최동진,배수현,강윤묵,이해석,김동환,Jeong, Sujeong,Shin, Seunghyun,Choi, Dongjin,Bae, Soohyun,Kang, Yoonmook,Lee, Hae-seok,Kim, Donghwan 한국재료학회 2017 한국재료학회지 Vol.27 No.10

        In commercial solar cells, the pattern of the front electrode is critical to effectively assemble the photo generated current. The power loss in solar cells caused by the front electrode was categorized as four types. First, losses due to the metallic resistance of the electrode. Second, losses due to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electrode and emitter. Third, losses due to the emitter resistance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emitter. Fourth, losses due to the shading effect of the front metal electrode, which has a high reflectance. In this paper, optimizing the number of finger on a $4{\times}4$ solar cell is demonstrated with known theory. We compared th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and fill factor to evaluate the power loss from the front metal contact calculation result. By experiment, th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J_{sc}$), taken in each pattern as 37.61, 37.53, and $37.38mA/cm^2$ decreased as the number of fingers increased. The fill factor(FF), measured in each pattern as 0.7745, 0.7782 and 0.7843 increased as number of fingers increas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fficiency(Eff) was measured in each pattern as 17.51, 17.81, and 17.84 %. Throughout this study, the short-circuit current densities($J_{sc}$) and fill factor(FF) var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ngers in the front metal pattern. The effects on the efficiency of the two factors were also investigated.

      • KCI등재

        한외여과 처리에 따른 채취시기별 고로쇠 수액의 품질특성

        정수정(Su Jeong Jeong),이창현(Chang Hyeon Lee),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신창섭(Chang Seob Shin),박의석(Eui Seok Park),이준수(Junsoo Lee),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5

        고로쇠수액의 채취적기인 3월에 채취한 수액과 후기인 4월에 채취한 수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고로쇠 수액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외여과 전후의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4월에 채취된 고로쇠수액이 3월에 채취된 수액보다 총균수 및 탁도가 높았지만, 한외여과 후 탁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미생물을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총산, 유리당 및 총당 함량은 4월의 고로쇠수액이 3월 수액보다 약간 낮았지만, 조회분과 무기성분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칼슘은 3월과 4월에서 각각 129.40 및 166.38 ㎎/L로 4월이 높았다. 고로쇠나무 수액의 영양성분은 한외여과 후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지만 채취적기 이후(4월)에 채취되는 수액을 한외여과 할 경우 미생물제거 및 탁도 향상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기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영양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ltra filtration (UF) of Goroshoe (Acer mono Max.) sap collected in March and April. The total bacteria and turbidity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higher than in March. However, after UF, the turbidity decreased and bacteria were not detected. The total acidity and total sugar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lower than that collected in March. After UF, total acidity and total sugar decreased slightly in sap from both of the collection times. The crude ash and mineral content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higher than in March. In particular, the calcium and potassium content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166.38 and 29.47 ㎎/L, respectively, which was much higher than in March. Again, after UF, the crude ash and mineral content were decreased in the sap from both collection times. We concluded that UF of Goroshoe sap increased its quality regardless of collection time.

      • KCI등재

        독일어 중복완료형에 대한 분석

        정수정 ( Jeong Su-jeo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9 獨逸文學 Vol.60 No.2

        “Er hat das vergessen gehabt.”과 같은 중복완료형은 15세기 초에 상부독일어 지역에서 입말로 주로 사용된 시제형태다. 이 중복완료형은 사실 아주 오랜 기간 동안 ‘입말의 영역에 속하는 일탈적이고 지역 방언적인 시제 형태로 폄하되어서 표준문법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다. 그런데 현대 독일어에서 이 중복완료 현상은 단순히 남부 독일의 방언 현상으로 치부하기에는 독일어권에서의 사용 분포가 상당히 넓은 편이고, 입말에서 뿐만 아니라 글말에서도 종종 관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에서는 중복완료형이 현대 독일어 시제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기능과 현재완료형과 과거완료형과의 관계 속에서 중복완료형의 의미를 조명하고자고 한다. 현대 독일어에서 중복완료형은 ‘선시성 Anteriorität’와 초완료 Superperfekt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선시성은 과거의 특정 사건이 과거의 특정 참조시점과의 관계 속에서 시간상의 앞섬을 의미한다. 또한 중복완료형의 ‘완료 시간대 Perfect Time Span’은 발화시점과 참조시점보다는 앞선 위치에 놓이고 사건 발생 이후 계속 이 상태가 지속되어서 중복완료형의 완료시간대에 정적 상태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즉 중복완료형은 과거의 어떤 특정 상태가 과거의 특정 시간대에서 지속되었음을 표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런데 중복완료형으로 기술된 사태는 참조시점이전에 끝이 나므로 gehabt나 gewesen 과거분사가 사건과 관련된 시간대의 우측경계를 어휘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초완료는 또 다른 과거의 사건이나 상태를 기준으로 해당사건을 바라본 것이 아니라 직접 발화시점과 관련된 것으로 사건의 완료의 의미뿐만 아니라 완료시간대에서 일정정도 지속상태가 존재함도 의미한다. Der folgende Beitrag widmet sich der Untersuchung von Semantik und Funktion des doppelten Perfekts im Deutschen. Vor allem liegt der Fokus darauf, in welchem Zusammenhang das doppelte Perfekt im Deutschen mit dem einfachen Perfekt bzw. dem Plusquamperfekt steht. Laut der herkömmlichen Auffassung stellt das doppelte Perfekt aufgrund des Präteritumsschwunds einen Ersatz fur das Plusquamperfekt in den oberdeutschen Dialekten dar, was in der gegenwärtigen deutschen Sprache nicht mehr zu halten ist. Beim doppelten Perfekt im Deutschen können im Großen und Ganzen zwei Hauptlesarten unterschieden werden, die als Anterior- und Superperfekt-Lesart bezeichnet werden. Die Anterior-Lesart beschreibt ein Ereignis in der Vergangenheit als abgeschlossen bzw. vorzeitig zu einem Referenzzeitpunkt in der Vergangenheit. Es entspricht damit einer der wesentlichen Funktionen des Plusquamperfekts im Standarddeutschen. In der Superperfekt-Lesart wird ein Ereignis nicht im Hinblick auf ein anderes vergangenes Ereignis situiert, sondern bezieht sich direkt auf den Äußerungszeitpunkt. Aus der Analyse geht hervor, dass beim einfachen Perfekt immer eine stative Komponente vorliegt, während das doppelte Perfekt zum Ausdruck bringen wurde, dass das Ereignisprädikat nicht bis zur Right Boundary der Perfekt-Zeitspanne andauert. In diesem Zusammenhang wird “gehabt” vom doppelten Perfekt als lexikalisiert angenommen und macht die Right Boundary der Perfekt-Zeitspanne explizit. Die Funktion des doppelten Perfekts ist somit, anzuzeigen, dass ein Zustand in der Vergangenheit nur fur eine bestimmte Zeitspanne Gultigkeit hat.

      • KCI등재

        명사선행 비굴절 형용사 부가어의 쓰임 양상에 관하여 - 독일어 관용적 어휘결합체를 중심으로

        정수정 ( Jeong Su Jeo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1 獨逸文學 Vol.62 No.4

        독일어에는 Kölnisch Wasser, eitel Freude, das einzig Wahre처럼 명사에 선행하는 형용사 부가어가 독일어 표준문법 규범이 요구하는 바와는 달리 굴절을 하지 않은 채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형용사의 비굴절 방식은 사실 과거에 쓰였던 언어 습관이나 언어 규칙을 담고 있는 관용구에서 주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명사에 선행하는 비굴절 형용사 부가어를 지닌 관용구를 대상으로 현대 독일어에서 이러한 비굴절 형용사 부가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관용구에서 나타나는 명사선행 비굴절 형용사 부가어의 쓰임은 오늘날에도 그 형태가 대체로 유지되고 있는 편이기는 하지만, 경우에 따라 형용사 부가어의 비굴절 형태가 실제 언어 사용에서는 후행하는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서 어미변화를 하는 경향성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frei Haus, auf gut Deutsch와 같은 관용구에서는 명사선행 비굴절 형용사가 오늘날에도 전반적으로 그대로 굴절되지 않은 채로 쓰이고 있는 반면, ein gut Teil, js. eigen Fleisch und Blut에서는 형용사 부가어가 현대독일어 규범에 따라 어미변화를 하는 경향이 상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명사선행 형용사 부가어의 비굴절 양상은 개별 관용표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 차이는 개별 관용구 구성요소들 간의 의미적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In dieser Arbeit wird versucht, anhand deutscher usueller Wortverbindungen anteponierte unflektierte Adjektivattributive in der deutschen Gegenwartssprache zu untersuchen. Vor allem liegt das Hauptaugenmerk darauf, die Phraseme mithilfe des DeReko dahingehend zu analysieren, ob die Adjektive im heutigen Sprachgebrauch immer unflektiert realisiert sind oder ob sie zur flektierten Form tendieren. Adjektivische Attribute werden im Standarddeutschen im Normalfall flektiert, fehlende Flexion ist in diesem Sinne ein Sonderfall. Unflektierte Adjektive in der deutschen Gegenwartssprache treten meistens in Phrasemen und Sprichwörtern auf, und zwar besonders vor dem meistens neutralen Substantiv. Durch die Korpusanalyse ergibt sich, dass bei der Adjektivflexion innerhalb einzelner Phraseme teilweise Schwankungen vorliegen. Zwar gibt es Fälle, in denen das Adjektivattribut auschließlich unflektiert realisiert ist, in einigen Phrasemen kommen aber auch flektierte, somit normgerechte Adjektive vor. Nicht-Flexion des attributiven Adjektivs lässt sich dadurch erklären, dass die Bestandteile von Phraseologismen ihre eigene Einzelbedeutung zugunsten einer phraseologischen Gesamtbedeutung ablegen. Damit entfällt jede Möglichkeit zur Interposition des Adjektivs, da erst gar keine Nominalklammer zustande kommt. In den Fällen, in denen neben den unflektierten Adjektiven auch flektierte Formen zu finden sind, könnte dies daran liegen, dass das Adjektiv selbst in relativ hohem Maße zur Gesamtbedeutung des Phrasems beiträgt und somit eine trennbare semantische Einheit bildet.

      • KCI등재

        한국과 독일 수화언어 비교분석 - 어순과 문장유형을 중심으로

        정수정 ( Jeong¸ Su-jeong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0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독일과 한국의 청각장애인들의 주요 의사소통 수단인 수화언어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독일과 한국 수화언어의 다양한 통사적 현상 중에서 어순과 문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수어의 언어로서 위상을 제고하고 수어가 갖는 언어로서 가치를 조명하고자 한다. 독일과 한국의 수화언어에서 개별어휘의 문법기능은 대체로 어순에 의해 표지된다. 즉 양국 수어에서 평서문은 일반적으로 SOV을 기반으로 하며 이 어순은 상당히 고정적이다. 이러한 수어에서의 고정 어순은 독일어나 한국어 음성언어에서 문법기능이 관사나 조사라는 격표지자에 의해 실현되어서 문장에서 어순이 상당히 자유로운 편이라는 사실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의문문의 경우는 의문사의 유무에 따라 구분이 되는데, 우선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은 독일 수어나 한국 수어 모두 평서문 어순에 비수지 표지가 첨가되어서 만들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비수지표지는 두 언어 모두 상체 내밀기, 고개 앞으로 내밀기, 눈 크게 뜨기 등이다.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은 [누구], [무엇], [왜], [언제], [어디] 등의 의문사에 해당되는 수화를 사용한다는 점은 두 수화언어 모두 동일하지만, 의문사 수화의 위치 및 의문사 수화의 문장에서 반복적 사용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In diesem Artikel wird versucht, unter linguistischem Aspekt die deutsche (DGS) und koreanische Gebärdensprache (KSL) zu untersuchen, die Gehörlosen als zentrales Kommunikationsmittel gilt. Dabei liegt der Schwerpunkt der Interesse in ihren Satztypen und Wortstellungen. In deutschen und auch koreanischen gebärdensprachlichen Äußerungen werden u.a. grammatische Informationen über Wortstellung sowie nichtmanuelle Komponente übermittelt. Ein einfacher Deklarativsatz wird in DGS sowie KSL allgemein mit einer SOV-Folge charakterisiert. Dies trifft jedoch nicht auf die deutsche Lautsprache zu. Was die Interrogativsätze angeht, so geht es vor allem darum, ob ein W-Ausdruck im Satz vorliegt. In der deutschen und auch koreanischen Gebärdensprache haben Interrogativsätze ohne W-Wort eine gleiche Satzstruktur wie Deklarativsätze, wobei doch bestimmte nichtmanuelle Signale zur Signalisierung dieser Sätze als Frage begleitet weden müssen. In den W-Interrogativsätzen ist festzuhalten, dass der W-Ausdruck in verschiedenen Positionen vorkommen kann: z. B. in situ, satzinitial, satzfinal, und als Dopplung satzinitial und satzfinal. Auffällig ist für die KSL, dass hierbei W-Ausdruck im Satz nicht nur verdoppelt, sondern auch mehrfach wiederholt werden kan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