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외 한글 교육 기관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및 발전 방안 탐색과 제언: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소라 ( Jeong Sora ),조영희 ( Cho Younghee ),김동일 ( Kim Dongi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재외 한글 교육 기관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 및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이루어진 총 52편의 관련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그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종교단체 운영 한글 교육기관 및 운영주체가 명시되지 않은 한글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특성, 학교운영, 교육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언어 특성,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교수법, 교육과정, 교재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문헌연구, 조사연구, 질적연구, 사례연구의 방법이 주제별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각 주제별로 논문들을 심층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n Overseas and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the research and the policy support for these institu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lected 52 journal articles in Korea published from 2009 to 2018 by applying three inclusion criteria and three exclusion criteria and analyzed them based on a matrix-typ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Korean language schools operated by religious groups or schools that do not disclose who is operating were most studied during the last 10 years. In the research topic, research on characteristics, school oper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s have been done variously. Especially, researches on language characteristics,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 teaching method,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conducted most frequently. While literature review, survey, qualitative study, and case study methods were used for every topic, experimental study method was not used. The studies of characteristics are mainly for the learners and used research study as their study methods. And the studies of the school operation and the education field are mainly for the teachers and the administrators and used qualitative study and the literature review as their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each topic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future researches and the policy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고려시대 타각(打刻)기법 금속공예품

        박지영(Park, Ji young),정소라(Jeong, Sor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2

        금속공예에서 정(釘, 끌)과 망치 등을 이용하여 두드리거나 찍어서 나타나는 요철(凹凸)로 문양을 장식하는 기법을 ‘타각(印刻)기법’이라고 한다. 타각기법은 선각(線刻)기법이나 상감(象嵌, 입사)기법 등과 함께 고려 금속공예를 대표하는 장식기법이라 할 수 있다. 타각기법은 타출과 어자문이라는 이름으로 개별적으로 연구되어 왔는데, 이 용어들만으로는 고려시대 금속공예품에 나타나는 타각기법을 모두 포용할 수 없어 연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타각기법의 한 종류로 ‘누정(鏤釘)’이라는 개념을 설정하였다. 누정은 타각용 정으로 금속을 찍어서 문양이나 배경을 장식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어자문’은 가장 널리 시문된 누정기법의 대표적인 문양의 하나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 타각기법이 사용된 고려시대 금속공예품으로는 침통, 장구(粧具), 소도(小刀), 경갑 등의 신변잡구나 팔찌와 같은 장신구들이 있다. 그리고 접시나 잔 그리고 잔탁이나 주자 등과 같은 기명들도 있다. 기명류 중에는 타각기법이 효과적으로 사용된 예들도 있지만 대체로 선각기법으로 장식한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장신구나 신변잡구들에는 타각기법이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기종에 새로운 문양들을 타각하는 것은 당의 기술을 계승, 발전시킨 요의 금속공예품에서 확인되는 특징들과 유사하다. 따라서 고려시대 금속공예에 나타나는 새로운 경향들이 요의 금속공예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고려 타각기법의 금속공예품에는 요의 금속공예품과도 구분되는 특징들이 확인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제한된 기종에서만 확인되는 어린 정(반원형의 타각정)을 촘촘하게 겹쳐 찍는 첩호(疊弧)문과 동자문의 결합, 독특한 형태의 침통이나 장식소도의 형태 등은 요나 송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고려의 타각기법 금속공예품의 독특한 특징이다. 더불어 타각기법과 병용되는 도금기술에서도 고려의 독특한 요소들이 확인되는 점에 주목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이 고려에서 착안된 독자적인 요소인지 또 다른 외부의 영향인지는 보다 많은 자료들이 공개되면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uring the Goryeo period, Korean artisans in the field of metal handicrafts engraved ornamental patterns on the surface of metal objects using a chisel or hammer. Engraving, together with line engraving or inlaying, was a widely used, representative technique of metal handicrafts of that period.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technique with a focus on “repoussé” and “ring-matting” techniques, although they were fully aware that these two techniques were not the only ones used to engrave metal handicrafts in the Goryeo period.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is study presents a new term, ‘chiseling’, to describe a technique of engraving, or chiseling, the surface of a metal object to create an ornamental pattern. However, it would be more correct here to say that “artisans made ring-matting patterns with chiseling,” as ring-matting is not a technique but rather an ornamental pattern. Engraving tools used during the Goryeo period include a Needle case, Makeup tools, Decorated knife, Cup stand and Ewer. It is noteworthy that chiseling was used conspicuously to produce personal accessories, while repoussé was generally used to make tableware. This is also evident in the metal handicrafts of the Liao Dynasty of China, which suggests that the trends observed in the metal handicrafts of Goryeo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Liao. However, the Goryeo works made with repoussé show certain differences from those made in Liao. The combination of ornamental patterns (found only in a small amount of tableware) made by repeated chiseling in a small space with a crescent-shaped chisel with child pattern, and the unique shape of the Needle case, Decorated knife, are examples of the Goryeo engraving technique of metal craftwork that is not confirmed in Liao or Song of China.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such features were original ideas developed purely by Goryeo artisans, or whether they were developed under outside influence. It is expected to be confirmed when more data are released.

      • 근사모델을 이용한 날개 평면형상 공력형상설계 방법

        배효길,정소라,Bae, Hyogil,Jeong, Sora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4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8 No.4

        In preliminary design phase, the wing geometry of the civil aircraft was determined using the empirical equation and historical data. To make wing geometry more aerodynamically efficient, an aerodynamic shape optimization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the parametric modeling, high fidelity CFD analysis and metamodel-based optimal design technique were adopted. The parametric modeling got the design process to achieve the improvement by generating the configuration outputs easily for the major design variables. The optimal design equations were formularized as the type of the multi-objective functions considering low/high speed and lift/drag coefficient. The optimal solution was explored with the help of the kriging metamodel and the desirability function, therefore the optimal wing planform was sought to be excellent at both low and high speed region. Additionally the optimal wing planform was validated that it was excellent not only at the specific AOA, but also all over the range of AOA.

      • KCI등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발달장애학생 진로성숙도 특성 분석: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장세영(Jang Seyoung),정소라(Jeong Sora)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2

        Purpose: In this study,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classified as heterogeneous group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career matur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examined and the factors predicting each group were searched. Method: The Scale of Career Maturity was conducted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integrated vocational education based school nationwide. The latent classes were classifi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for career maturity tests. One-way ANOVA, multiple group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classes. Results: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of career maturity. The major sub-scales that affect career maturity level are 'career search' and 'independence', and the 'expected employment level' was suggested as a predictor of the latent classes of career maturity level. Conclusion: As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different levels of career maturity, the educational support considering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es is required for more effective career education.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도 하위 유형에 따른 발달장애학생의 하위 집단을 유형화하고, 각 집단의 특성 및 예측요인을 탐색함으로써 발달장애학생의 진로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국 소재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잠재집단을 분류하였다. 또한 일원분산분석, 다집단분석, 중다 회귀분석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잠재집단의 특성 및 예측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은 진로성 숙도 하위 영역에 따라 이질적 특성을 갖는 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며, 진로성숙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진로성숙도 하위 영역은 ‘진로탐색’, ‘독립성’등이며, ‘기대고용수준’이 잠재집단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으로 제시되었다. 결론: 발달장애학생들은 각기 다른 수준의 진로성숙도를 가짐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위하여 각 잠재계층별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작업기억과 읽기이해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조영희(Cho, Younghee),정소라(Jeong, Sora)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작업기억과 읽기이해에 관한 상관연구를 메타분석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분석한 논문은 1998년부터 2020년 4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17편의 학술지 논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전체 상관계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대상학년, 장애유형, 작업기억 및 읽기이해 검사의 특성, 작업기억 하위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R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을 위해 실시된 작업기억과 읽기이해 간의 전체 상관계수 효과크기는 Z = 0.3892이었다. 조절효과에 관해서는 학년, 작업기억 검사 및 읽기이해 검사의 유형에서는 조절효과가 있으며, 장애유무와 작업기억 하위유형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들의 작업기억과 읽기이해 능력의 특성, 각 검사도구의 특성 및 작업기억의 하위유형이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eta-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mem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rning difficulties. Method: This study analyzed 17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from 1998 to 2020. First, heterogeneity and publication bias were evaluated. Second, the size of the overal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udent’s grade, disability, test types for working mem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subtypes were analyzed using R programs. Results: The overall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work mem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rning difficulties was Z = 0.3892. As for the moderating variables, the grade of students, the test types of work mem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significant. But student"s disability and work memory subtype were not significant as the moderating variable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중년 장애인 관련 연구동향분석: 2003년 ~ 2022년의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장세영(Jang, Seyoung),정소라(Jeong, Sora)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3 장애와 고용 Vol.3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22년까지 2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중년 장애인에 관한 연구 총 51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유형,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그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PRISMA 논문 검색을 통한 다각도 문헌 수집 방법으로 선정된 논문들을 분석틀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난 20년 동안 국내 중년 장애인 대상 연구들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에서 중년 장애인의 연령에 대한 정의는 논문마다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에 있어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 많았고, 중급통계기법이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삶의 질/만족도 및 경제/취업/직업에 관한 연구가 가장 두드러지게 이루어져 왔다. 결론: 중년 장애인 관련 연구가 질적·양적으로 확대되어 오고 있으나, 연구가 제한적임에 따라 일반화된 결론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각 연구마다 중년의 시작 연령에 대한 정의가 상이하여 이에 대한 합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향후 탐색이 요구되는 연구 대상, 방법 및 주제에 관하여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한 중년 장애인의 요구와 지원방안 탐색에서의 지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a total of 51 studies on middle-aged disabled peopl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or 20 years from 2003 to 2022, focusing 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types, and research topics by period. Method: Keywords were entered into various paper search engines to analyze the selected paper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Results: First, over the past 20 years, studies on middle-aged disabilities in Korea have steadily increased. Second, in the study subjects, the definition of the age of the middle-aged disabled was found to be different from paper to paper.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was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 and intermediate statistical techniques were found to be the most used. Fourth, in terms of research topics, research on quality of life/satisfaction and economy/employment/job has been most prominent. Conclusion: Research related to the middle-aged disabled has been expanding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ut there is a limit to obtaining generalized conclusions as research is limited. In particular, each study has a different definition of the starting age of middle age, so consensus is required. This study presents research subjects, methods, and topics that require future exploration, and based on this, it presents the needs of middle-aged disabilities and their direction in exploring support measures.

      • Course-based Assistiv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in College

        Dongil Kim(김동일),Kyoungsun Kim(김경선),Sora Jeong(정소라),JeeEun Karin(남지은),Seoyeon Baek(백서연),Jaeho Lee(이재호),Seyoung Jang(장세영)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장애인 참여형 보조 공학 기기 개발 수업(CATCH)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보조 공학 기기 개발과정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CATCH 수업지원 프로그램을 수강한 A대학교 공대에 재학 중인 열 한 명의 학생이다. 면담은 한 학기 동안 학기의 시작 시점, 중간, 그리고 학기 말에 참여자 1인당 3회씩 총 33회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참여자의 자기보고서 2건을 수집하였고, 또한 수업 참여 관찰, 장애인 자문위원단과의 협의회 참여 관찰 및 조원협의회 참여관찰을 각 1회씩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반복적 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의 수업 경험을 통해 드러난 각 코드들이 18개로 범주화 되었고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대’, ‘막막함과 좌절’, ‘도전과 타협’, ‘보람 그리고 인식의 확장’의 4개의 주제(theme)로 분류되었다. CATCH 수업지원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의 장애인과 따뜻한 기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변화와 수업이 갖는 한계점을 탈피할 수 있는 제언이 제시되어 있다. 요약의 제목은 [요약문]의 스타일을 적용한 뒤 진하게 만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course-based assistive technology development (CATCH) program. 1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TCH program offered at A University in Seoul were recruited for this qualitative study.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Final results showed that various codes were classified into 18 categories and four sequential themes: ‘expectation’, ‘frustration and failure’, ‘challenges and compromises’ and ‘rewards and increased awareness.’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are outlin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CATCH program are discussed.

      • KCI등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가정용 에너지 수요반응 프로그램 실증분석

        은아(Euna Jung),이경은(Kyungeun Lee),김화영(Hwayoung Kim),정소라(Sora Jeong),이효섭(Hyoseop Lee),서봉원(Bongwon Suh),이원종(Wonjong Rh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2 No.4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수요를 억제하여 필요한 공급량을 줄일 수 있는 ‘수요반응’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에 스마트미터를 구비한 국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에너지 수요반응 실증사업에 대한 실증분석으로, 사전심층 인터뷰, 설문 및 기술수용모델 분석을 통하여 가정 전력 사용자들이 수요반응 프로그램을 받아들이는 데 중요한 요인들을 살펴본다. 수요반응의 목표는 피크시간대에 미션이 발령되면 전력사용량을 평소보다 줄이는 것이며, 실험대상은 스마트미터 구입 경로와 에너지를 절감했을 때 보상받는 방식에 따라 2개의 상이한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집단 A는 주로 IoT플랫폼 서비스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마케터와의 대화를 통해 전체 서비스 중 하나인 스마트미터 서비스에 함께 가입하는 경로로 수요반응 프로그램에 유입되었고, 보상으로는 통신비 할인을 받았다. 반면 집단 B는 스마트미터를 자발적으로 구매하거나 에너지 자립 마을 지역주민으로서 지자체 지원을 통해 스마트미터를 지원 받아 프로그램에 유입되었고, 미션 성공에 대한 보상은 사회적 기부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집단 A는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외에 인지된 유희성도 포함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고,집단 B는 모델의 적합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집단 A에 비해 인지된 유용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집단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설계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수요반응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While electricity demand is generally increasing, stably controlling supply is becoming a serious challenge because renewable energies are becoming popular and often their productions are dependent on the weather. The ‘demand response’ programs can be used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renewable energies, and therefore their rol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a demand response pilot that was conducted in Korea. The study first focused on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data was used to perform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alysis. The goal of the pilot was to have the residential users reduce their power consumptions when an energy reduction mission is issued during peak load hours. The experimental subjects consisted of two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ubjects in group A obtained smart meters as an optional function of IoT platform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service company, and received a charge deduction as their compensation. Subjects in group B either voluntarily purchased smart meters as individuals or received them by participating in an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program that was run by a local government, and were entitled to a donation as their compensation. With the analysis, group A was found to fit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at includes perceived playfulness in addition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the contrary, group B failed to fit the model well, but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compared to group 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idential energy groups’ behavior changes are dependent on each group’s characteristics, and group-specific DR design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R.

      • KCI등재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있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김동일(Kim, Dongil),김경선(Kim, Kyoungsun),이재호(Lee, Jaeho),정소라(Jeong, Sora)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있는 청소년들의 가족지지와 사회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 고등학교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있는 청소년 20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지지, 사회지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구안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모형이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있는 청소년의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지지와 사회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지지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직접효과는유의했으나, 자기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가족지지는 자기효능감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구성원 중에 장애인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iency on the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for adolescents who has family members with disabi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KEEP database released by KRIVET.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study model developed by researchers.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mediation effect, sobel test was utilized. SPSS 18 programs and Amos 7 programs were used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model fit well into the data of adolescents who has family members with disability. Moreover, self-efficiency meditated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on the adjustment to the school environment. Social support positively contributed on the adjustment to the school environment. SES did not contributed to self-efficiency as well as adjustment to the schoo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