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크워크분석을 활용한 국내 전환학습 연구 동향

        이효섭(Lee, Hyoseop),조대연(Cho, Daeye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전환학습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적 연구 수행 방향성을 모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학술논문 중 KCI등재지와 등재후보지에서 관련된 연구 82편을 선정하였고, 이 연구물의 초록을 대상으로 한 키워드 전처리작업을 거쳐 최종 1,380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키워드 출현빈도, 시기별 키워드 출현빈도, 동시출현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관련 지표인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을 통하여 국내 전환학습 연구를 확대 발전 시킬 수 있는 주요 키워드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하여 6개의 토픽그룹을 도출하였고 각 토픽 및 토픽 간 키워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근 몇 년동안 전환학습관련 연구가 국내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성인학습이론의 대표 개념인 전환학습 연구에 대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전환학습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transformative learning for Korean adult learners by using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82 relevant studies were selected from KCI-registered and -listed candidates among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a final list of 1,380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keyword preprocessing from the abstracts of these studies. Based on these keywords, we analyzed the keyword occurrence frequency and simultaneous appearance frequency through network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significant keywords that can expand and develop domestic transformative learning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connection, proximity, and mediation, which are related to keyword network analysis. Lastly, six topic groups were identified using topic modeling analysis and the keyword network structure among topics was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some research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정홍인(Jeong Hongin),이효섭(Lee Hyoseop)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규명을 위하여 서울 지역 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0부를 배포하였으나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271부였으며,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유지될수록 생활만족도는 증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사회적 자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타인과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라는 사회적자본 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 역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타인과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될수록 생활의 만족도는 증진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가 밝혀졌다. 즉,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통해 일과 삶의 균형과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조직구성원에게 일과 일 외의 균형적인 삶이 확보될수록 생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일과 삶의 균형이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구성원 간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적 활동들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증가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and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related previous studies. For the empirical identification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office workers in Seoul. A total of 320 copies were distributed, but th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271.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life bal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the more work-life balance is maintained, the more life satisfaction is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life balance also affects social capital.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norms, and networks with others. Third, social capital was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life satisfaction increases as social capital with others is formed.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work-life balance and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increases as an organization member has a balanced life between work and work.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n order for the work-life balanc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must be form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more cooperative activities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청소년을 위한 미래 직업탐색 및 직업체험 선호도 조사

        강현주 ( Hyounju Kang ),이효섭 ( Hyoseop Lee ),김정원 ( Jungwon Kim ),조대연 ( Daeyeon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유망 산업군별 직업 선정 및 주요 수요자(학생, 부모, 교사) 대상 직업체험 선호도 조사를 통해 청소년들의 미래 직업 탐색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FGI 등을 토대로 4단계의 과정을 거쳐 8개 산업군에서 35개의 미래 유망직업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학생, 교사,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직업 체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체험 선호도 측면에서 세 집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관심을 나타낸 직업은 정보통신산업 분야의 보안/정보보호 전문가, 빅데이터 전문가, 사물인터넷 전문가와 IT제품·부품 및 소재 산업 분야의 3D 프린팅 전문가였다. 그 밖에 나머지 상위 10위권 내에 있는 직업 체험 관심도는 집단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들 간의 미래 직업 체험 선호도 불일치 결과는 향후 질적 연구 등을 통해 심층적인 원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래 유망 직업을 탐색하고, 수요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진로체험 선호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청소년들의 진로교육 지도를 위한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hoose the most in-demand jobs in the promising industr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plore the stakeholders’ preferences of job experience on the future jobs, theryby providing a career guidance for adolescents. We finalized the 35 most in-demand future jobs in the eight industries as a result of four step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 expert focus group interview. Also,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preferences of job experiences of the stakeholders such a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the metropolitan areas regarding the selected future job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top 4 jobs in-demand by all the three groups were specialist for information security, big data professional, IOT developer, and 3D printer professional. Other than the four jobs, all groups revealed various preferences in their top 10 preferred job experiences. The causes of the discrepancy in the results need to be explored in the future study.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pecified the top 35 in-demand jobs for the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w growth industry beyond the linear lists of future jobs, and draw the survey results driven by the stakeholders of job experience.

      • KCI등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가정용 에너지 수요반응 프로그램 실증분석

        정은아(Euna Jung),이경은(Kyungeun Lee),김화영(Hwayoung Kim),정소라(Sora Jeong),이효섭(Hyoseop Lee),서봉원(Bongwon Suh),이원종(Wonjong Rh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2 No.4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수요를 억제하여 필요한 공급량을 줄일 수 있는 ‘수요반응’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에 스마트미터를 구비한 국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에너지 수요반응 실증사업에 대한 실증분석으로, 사전심층 인터뷰, 설문 및 기술수용모델 분석을 통하여 가정 전력 사용자들이 수요반응 프로그램을 받아들이는 데 중요한 요인들을 살펴본다. 수요반응의 목표는 피크시간대에 미션이 발령되면 전력사용량을 평소보다 줄이는 것이며, 실험대상은 스마트미터 구입 경로와 에너지를 절감했을 때 보상받는 방식에 따라 2개의 상이한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집단 A는 주로 IoT플랫폼 서비스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마케터와의 대화를 통해 전체 서비스 중 하나인 스마트미터 서비스에 함께 가입하는 경로로 수요반응 프로그램에 유입되었고, 보상으로는 통신비 할인을 받았다. 반면 집단 B는 스마트미터를 자발적으로 구매하거나 에너지 자립 마을 지역주민으로서 지자체 지원을 통해 스마트미터를 지원 받아 프로그램에 유입되었고, 미션 성공에 대한 보상은 사회적 기부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집단 A는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외에 인지된 유희성도 포함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고,집단 B는 모델의 적합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집단 A에 비해 인지된 유용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집단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설계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수요반응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While electricity demand is generally increasing, stably controlling supply is becoming a serious challenge because renewable energies are becoming popular and often their productions are dependent on the weather. The ‘demand response’ programs can be used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renewable energies, and therefore their rol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a demand response pilot that was conducted in Korea. The study first focused on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data was used to perform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alysis. The goal of the pilot was to have the residential users reduce their power consumptions when an energy reduction mission is issued during peak load hours. The experimental subjects consisted of two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ubjects in group A obtained smart meters as an optional function of IoT platform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service company, and received a charge deduction as their compensation. Subjects in group B either voluntarily purchased smart meters as individuals or received them by participating in an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program that was run by a local government, and were entitled to a donation as their compensation. With the analysis, group A was found to fit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at includes perceived playfulness in addition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the contrary, group B failed to fit the model well, but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compared to group 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idential energy groups’ behavior changes are dependent on each group’s characteristics, and group-specific DR design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R.

      • KCI등재

        국내 직업진로체험기관의 이용경험자 만족도 조사 연구

        김정원 ( Kim¸ Jungwon ),강현주 ( Kang¸ Hyounju ),이효섭 ( Lee¸ Hyoseop ),조대연 ( Cho¸ Dae-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진로체험기관과 프로그램 운영 만족도 조사를 통해 직업진로체험기관 운영의 발전적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분석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최종 17개의 문항을 도출하였고, 수도권지역 학생, 학부모, 교사 총 1,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시설 안전성, 정보 접근성, 평가관리 등 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진로탐색 지원이나 직업진로상담 제공등과 같은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교사 대상 분석 결과, 체험기관 운영 및 프로그램에 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시설 안전성, 체험기관 소개, 프로그램 안내 및 예약관련 정보 접근성, 다양한 직종 제공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부모의 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이용경험자 집단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들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항목들은 다양한 직종의 체험 프로그램 제공, 수준별 내용구성, 정보 접근성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직업진로체험기관 및 프로그램 운영의 발전을 위해 프로그램 다양화, 강사 관리 중요성,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축 등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직업진로체험기관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eer experience institutions and experience programs through surveys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vocational career experience facilities and program operation. For the satisfaction survey, the final 17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advice. Based on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312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first, students were generally highly satisfied with the operation of institutions and programs such as facility safety,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evaluation managemen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areer experience institution and the program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eacher’s group,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shown in facility safety, introduction of experience facilities, access to information related to program information and reservations, and provision of various occupations. Third, par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institutions and programs was the lowest among the other groups. The items that par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ere in the order of providing experience programs for various occupations, content composition by level, access to information, and safety of fac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suggestions and limi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eer experience institutions and program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