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신장 ; Silicone 재질 복막투석 도관의 자발적 파손 1예

        정성원 ( Sung Won Jung ),차정민 ( Jeong Min Cha ),김현정 ( Hyun Jung Kim ),이유민 ( Yu Min Lee ),변승재 ( Seung Jae Byun ),송주흥 ( Ju Hung Song ),안선호 ( Seon Ho Ahn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3

        복막투석 도관과 관련된 도관 주변으로의 누수, 배액 장애, 출구 또는 피하터널의 감염은 흔하게 일어나는 합병증이지만, 복막투석 도관의 자발적 파손은 흔하지 않으며 발생한 경우에도 대부분 polyurethane 재질의 복막투석 도관을 사용한 경우였다. 저자들은 silicone 재질 복막투석 도관과 관련된 자발적 파손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Major peritoneal catheter-related complications include pericatheter leaks, outflow failure, and infection of the exit site or tunnel. We experienced a rare spontaneous fracture of a silicone peritoneal catheter. A 39-year-old man undergoing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developed peripheral edema and peritoneal outflow failure. He had no signs of exit-site infection, trauma, or peritonitis. The kidney-ureter-bladder radiograph suggested a fractured peritoneal catheter. We removed the catheter in an emergency operation and inserted a new peritoneal catheter. No obvious reason could explain why the catheter had broken, although the patient`s nephew was known to frequently jump on his abdomen Based on this case, mechanical stress should be avoided in CAPD patients with increased intra-abdominal pressure. (Korean J Med 77:359-361, 2009)

      • 도심지 보행네트워크 분석

        정성원(Jung Sung-Won),이승욱(Lee Seung-Wook)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8 No.1(계획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rban pedestrian behavior according to the walk purpose and to moving distance from the viewpoint of user. A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used with the data which were obtained by walking volume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sample distance was 2.32㎞ from Gwang-hwa gate to Seoul station. As a result of having analyzed a walk movement route, it was hello to derive the fact that physics street of an object magazine spend a human scale, and was devised excessively. It was wached high numerical value partly additionally on the mail side and back road with an axis in an area.

      • KCI등재

        극한환경작업을 위한 산업용 로봇의 원격제어기술에 관한 연구

        백승학(Seung-Hack Baek),황원준(Won-Jun Hwang),정성원(Sung-Won Jung) 한국산업융합학회 2015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18 No.3

        In this paper, it was proposed a new technolog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remote control in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The operator must know the information of surroundings of the robot, collision possibility of the equipment, and force feedback of the manipulator. The time delay problem occurs in the tele-operating and it causes vibration and expressive power of the manipulator owing to bidirectional force feedback. We presented a new control method to control of the teleoperating system based on serial bus. The reliability is evaluated by simulation.

      • SCOPUSKCI등재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효과

        함승시(Seung-Shi Ham),정차권(Cha-Kwon Chung),이재훈(Jae-Hoon Lee),최근표(Kun-Pyo Choi),정성원(Seung-Won Jung),김은정(Eun-Jeo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1

        더위지기의 발암물질 억제효과 실험결과 생즙, 에탄올추출물 및 물 추출물의 경우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직접 변이원 물질인 MNNG(0.5㎍/plate)에 대하여 시료를 50㎍/plate 첨가시 생즙의 경우는 83%의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는 35% 그리고 물 추출물의 경우는 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간접변이원인 Trp-P-1(5㎍/plate)의 발암물질에 대해서도 생즙 50㎍/plate 첨가시 70%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서는 30%, 물 추출물에 대해서는 15%의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4종류의 인간 암세포를 이용하여 더위지기의 생즙과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물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결과 인간 폐암세포인 A549의 경우 50㎍/ml의 농도를 첨가하였을 때 에탄올 추출물 89%, 생즙 80% 그리고 물 추출물이 35%의 사멸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방암세포인 MCF7에 대해서는 50㎍/ml 첨가시 에탄올 추출물 91%, 생즙 76%, 물 추출물 3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섬유육종암세포 HT1080에 대해서는 에탄올 추출물 90%, 생즙 78% 그리고 물 추출물이 3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위암세포인 KATOⅢ에 대해서는 에탄올 추출물 68%, 생즙 52% 그리고 물 추출물이 18%의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다. 4종류의 인간 암세포주에 대한 더위지기의 항암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강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The antimutagenic activity of three kinds of extract such as fresh juice,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of Artemisia iwayomogi against 3-amino-l,4-dimethyl-5H-pyrido[4,3-b]indol(Trp-P-1)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was demonstrated with the Salmonella typhirnurium assay. The numbers of revertants per plate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se extracts(0.5㎍/plate) added to the assay system using S. typhimurium TA100. These extracts also showed prominant cytotoxic activity against four different kinds of human cancer cell such as human lung cancer cell(A549), breast cancer cell(MCF7), fibrosacoma cell(HT1080) and gastric cancer cell(KATOⅢ),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곰취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함승시(Seung-Shi Ham),이상영(Sang-Young Lee),오덕환(Deog-Hwan Oh),정성원(Sung-Won Jung),김상헌(Sang-Heon Kim),정차권(Cha-Kweon Jeong),강일준(Il-Joon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5

        인간암세포를 이용한 항암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Ames test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낸 에탄올과 에탄올 추출물을 1㎍/μl의 농도로 HepG2 세포에 첨가한 결과 각각 79.2%와 86.4%의 항암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다시 분획한 용매분획물의 경우에서는 동일 농도에서 초산에틸 분획물이 94%로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자궁암세포인 HeLa 세포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은 50~56%의 비교적 낮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분획물의 경우 초산에틸 분획물이 91%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폐암세포인 A549에 대해서도 역시 91.9%의 높은 세포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구로서 정상 간세포인 WRL688에 곰취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높은 억제활성을 보여준 에탄올과 에탄올 추출물들은 비교적 낮은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내었다. 분획물의 경우에도 역시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던 초산에틸 분획물에서도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 활성이 세포독성에 기인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observe the cytotoxicit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against cancer cell lines including human lung carcinoma(A549), human cervix epitheloid carcinoma(HeLa) and human hepatoceliular carcinoma(HepG2) using SRB(sulforhodamine B) method. The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1㎍/μl showed approximately 79.2% and 86.4% cytotoxicity effects on HepG2 cell line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actionated from ethanol extracts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ity effect with 94% inhibi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on HeLa cell line was somewhat low with 50~56% inhibition, but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higher cytotoxicity effect with 91% and 91.9% inhibition on the HeLa and A549 cell line. On the contrary, the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lower inhibition effects on the normal liver cell, WRL68, compared to human cancer cell lines.

      • SCOPUSKCI등재

        솔잎 추출물의 in vitro계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김은정,정성원,최근표,함승시,강하영,Kim, Eun-Jeong,Jung, Sung-Won,Choi, Keun-Pyo,Ham, Seung-Shi,Gang, Ha-Yeong 한국식품과학회 199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0 No.1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잎의 에탄올 추출물들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폐암, 간암, 위암, 유방암 세포에 대한 성장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여 주였고 각각의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수층 분획물 또한 농도 증가에 따라 성장 억제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0.25 mg/mL 처리시 각각의 비교 결과 잣나무의 디에틸에테르 분획물은 위암세포에 대해서는 억제효과가 보여지지 않았다. 현미경의 관찰하에서 암세포의 변화는 세포막의 경계가 흐트러지는 사멸 현상을 보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cytotoxic effect of the pine needle extracts against cancer cell lines including human gastric carcinoma (KATOIII), human lung carcinoma (A549),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and human breast adenocarcinoma (MCF-7) using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nd SRB (sulforhodamine B) method. The extracts were prepared by step-wise fractionation of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s using diethylether,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growth of the cancer cells in medium containing pine needle extract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degre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extract concentration. A significant shrinkage of Hep3B cells was observed when the cells were exposed into 0.5, 1 mg/mL of pinus rigida extract.

      • SCOPUSKCI등재

        곰취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및 유전독성억제효과

        함승시(Seung-Shi Ham),이상영(Sang-Young Lee),오덕환(Deog-Hwan Oh),정성원(Sung-Won Jung),김상헌(Sang-Heon Kim),정차권(Cha-Kwon Chung),강일준(II-Jun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4

        곰취(Ligularia fischeri)를 건조 후 세절하여 에탄올, 메탄올, 물을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과 상온에서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여 네가지의 추출물을 얻었다. 이들 네가지 시료들에 대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100고 TA98을 이용한 Ames test와 mouse를 이용한 micronucleus test를 실시한 결과 Ames test에서는 곰취 에탄올, 메탄올, 물 그리고 상온 에탄올 추출물 모두 시료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nitroquinoline-1-oxide(4NQO)와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그리고 3-amino-1,4-dimethyl-5H-pyrido-[4,3-b]indol (Trp-P-1) 등 세가지 양성변이원물질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을 검토한 결과 S. typhimurium TA100에 대해서는 MNNG에 대하여 200㎍/plate의 농도에서 에탄올, 메탄올, 물 및 상온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84.7%, 77.1%, 72.5% 및 71%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NQO에 대해서는 각각 67.9%, 66.8%, 64.6% 및 56%, 그리고 Trp-P-1에 대해서는 70.1%, 60.9%, 61.9% 및 52.8%의 억제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se pair substitution mutagen에 대하여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는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frame shift mutagen에 대하여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는 S. typhimurium TA98 균주에서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곰취 추출물의 MNNG에 대한 소핵생성 억제효과는 MNNG 150㎎/㎏을 복강내 투여하여 positive control로서 이용하여 소핵생성빈도를 억제율로 나타내었다. 농도별 첨가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2~57.0%의 억제율을 보였고,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15~58.0%의 소핵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두가지 시료 모두 비슷한 소핵생성 억제효과를 보임으로서 MNNG에 대한 소핵생성 억제효과 in vitro실험인 Ames test에서의 결과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상호 높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ntimutagenic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ethanol, methanol, water and non-heating ethanol extract of Ligularia fischeri were investigated using Ames test and micronucleus test. Four solvent extracts by themselves did not induce mutagenesis. The four extracts of 200㎍/plate showed approximately 84.7%, 77.1%, 72.5% and 71% inhibitory effect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and 67.9%, 66.8%, 64.6% and 56% inhibition on the mutagenesis by 4-nitroquinoline-1-oxide(4NQO) against TA100 strain, whereas 70.1%, 60.9%, 61.9% and 52.8% inhibitions were observed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3-amino-l,4-dimethyl-5H-pyrido[4,3-b]indol(Trp-P-1) in the presence of 200㎍/plate. TA100 strain was more sensitive than TA98 strain by four kinds of extracts on anti mutagenesis. The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on the frequencies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MNPCEs) induced by MNNG were investigated in the bone marrow. Ten, 20, 40 and 80㎎ g/㎏ of each extract were administered to animals immediately after injection of MNNG and the exposure time was 36 hours. Inhibitory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thanol extracts were 12%,35.3%,58.8%, and 57%, in the presence of 20, 40, 60 and 80㎎/㎏, respectively whereas methanol extracts showed 15.5%, 32.7%, 50.8%, and 57.9% inhibitory effects, respectively. Both extracts showed enhanced antimutagenic and antigenotoxic effects. These results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antimutagenic effects in in vitro and in in vivo assay.

      • KCI등재

        리모델링 부재 적용을 위한 텐세그리티 유닛 설계기법

        이승혜,이재홍,정성원,Lee, Seung-Hye,Lee, Jaehong,Jung, Sung-Won 한국공간구조학회 2017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17 No.4

        In this study, an advanced form-finding method of tensegrity unit modules is presented to apply on renovation building. Here a fitness function of maximum natural frequency which can lead to a maximum stiffness status was used for a genetic algorithm. To apply the lightweight pin-jointed structure to the renovation project is more economical over to build new structures. In this paper, two types of tensegrity unit are presented to build expanded structures, and their force densities are shown using the proposed form-finding method. The expanded structures which may influence renovation projects are presented by using the tensegrity units.

      • KCI등재

        우솔릭산과 올레아놀산이 피부장벽과 진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임석원 ( Suk Won Lim ),정성원 ( Sung Won Jung ),안성구 ( Sung Ku Ahn ),김보라 ( Bora Kim ),김인영 ( In Young Kim ),류희창 ( Hee Chang Ryoo ),이성헌 ( Seung Hun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0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0 No.2

        Ursolic acid (UA)와 oleanolic acid (ONA)는 pentacyclic triterpenoid 성분으로 많은 식물들과 의학, 임상용 허브 등에 존재한다. 이런 UA나 ONA는 free acid 형태로 나타나거나, 1개 이상의 당이 연결된 aglycone으로 triterpenoid 배당체(配糖體)를 구성한다. UA와 ONA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비슷한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항종양, 간보호, 항염증, 함암 및 항균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는 급성 장벽손상 및 정상 무모쥐 피부에 미치는 영항에 대한 연구를 했다. UA와 ONA의 피부장벽 회복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8~12주 된 무모쥐를 테이프 스트리핑 한 후, 한쪽 옆구리에 0.01~0.1 mg/mL 농도로 UA 또는 ONA를 국소도포하고 한쪽에는 vehicle만 처치하여 경표피 수분손실(TEWL)량을 측정하였다. UA (0.1 mg/mL)와 ONA (0.5 mg/mL)를 처리한 그룹의 회복률이 vehicle 처리군에 비해 테이프 스트리핑 후 6 h에서 20% 이상 증가했다(p<0.05). 또한 UA와 ONA의 급성장벽손상 회복과 함께 정상 피부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정상 피부장벽 기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보습력과 경표피 수분손실량을 UA와 ONA (각 2 mg/mL)를 처리한 1주째와 3주째에 측정하였고, 또한 표피와 진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다. 두 시료를 1주째부터 vehicle 도포군과 비교, 경표피 수분손실 없이 보습력을 증가시켰다(p< 0.005). 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UA와 ONA 도포에 따라 분비되는 층판소체의 증감(ONA≥UA≥vehicle)과 지질이중막 구조 이상 여부를 확인하였다 Light microscopy를 통해 각질층의 두께가 약간 증가함을 보였으며, 특히 표피두께 강화와 편평 현상이 나타났다(UA >ONA>Vehicle). 우리는 또한 UA와 ONA가 PPAR $\alpha$ 수식 이미지를 통해 표피 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관찰하였다. Western blotting 실험을 통해, 표피 각질세포 분화와 관련된 involucrin, loricrin, filaggrin의 단백질 발현이 최소한 2~3배 이상 증가함을 HaCaT 세포에 UA와 ONA(각 10 μM)를 24 h 처리 후 실험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UA와 ONA가 장벽기능 향상뿐 아니라 PPAR α를 통한 표피 각질세포 분화를 유도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Masson-trichrome과 elastic fiber 염색법을 통해서, UA와 ONA 도포에 따른 콜라겐섬유의 비후(thickening)와 엘라스틴섬유의 신장(elongation)을 조직 사진으로 확인하였다. 시험관 시험을 통한 콜라겐 및 엘라스틴 합성실험과 엘라스틴 분해효소에 대한 저해능 평가를 통해 진피에 대한 UA와 ONA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들을 토대로 UA와 ONA는 피부장벽기능 유지뿐 아니라, 진피 내 콜라겐섬유와 엘라스틴섬유 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UA와 ONA는 장벽기능 및 진피강화에 관여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으로의 응용에 적절한 후보 물질로 제안할 수 있겠다. Ursolic acid (UA) and Oleanolic acid (ONA), known as urson, micromerol and malol, are pentacyclic triterpenoid compounds which naturally occur in a large number of vegetarian foods, medicinal herbs, and plants. They may occur in their free acid form or as aglycones for triterpenoid saponins, which are comprised of a triterpenoid aglycone, linked to one or more sugar moieties. Therefore UA and ONA are similar in pharmacological activity. Lately scientific research, whi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UA and ONA, revealed that several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tumor, hepato-protective, anti-inflammatory, anticarcinogenic, antimicrobial, and anti-hyperlipidemic could be attributed to UA and ONA. Here, we introduced the effect of UA and ONA on acutely barrier disrupted and normal hairless mouse skin. To evaluate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recovery, both flanks of 8~12 week-old hairless mice were topically treated with either 0.01~0.1 mg/mL UA or 0.1~1 mg/mL ONA after tape stripping, and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was measured. The recovery rate increased in those UA or ONA treated groups (0.1 mg/mL UA and 0.5 mg/mL ONA) at 6h more than 20% compared to vehicle treated group (p<0.05). Here, we introduced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acute barrier disruption and normal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normal epidermal barrier, hydration and TEWL were measured for 1 and 3 weeks after UA and ONA applications (2 mg/mL per day). We also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epidermis and dermis using electron microscopy (EM) and light microscopy (LM). Both samples increased hydration compared to vehicle group from 1 week without TEWL alteration (p< 0.005). EM examination using RuO4 and OsO4 fixation revealed that secretion and numbers of lamellar bodies and complete formation of lipid bilayers were most prominent (ONA=UA >vehicle). LM finding showed that thickness of stratum corneum (SC) was slightly increased and especially epidermal thickening and flattening was observed (UA>ONA>vehicle). We also observed that UA and ONA stimulate epide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via PPAR Protein expression of involucrin, loricrin, and filaggrin increased at least 2 and 3 fold in HaCaT cells treated with either ONA (10 μM) or UA (10 μM) for 24 h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UA and ONA can improv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and induce the epide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via PPAR Using Masson-trichrome and elastic fiber staining, we observed collagen thickening and elastic fiber elongation by UA and ONA treatments. In vitro results of collagen and elastin synthesis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measurements were also confirmed in vivo findings.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UA and ONA related to not only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s but also dermal collagen and elastic fiber synthesis. Taken together, UA and ONA can be relevant candidates to improve epidermal and dermal functions and pertinent agents for cosmeseutical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