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晩淸시기의 道家연구와 문화계몽

        정석도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3 No.-

        Due to the poetic feature and rich parables therein, Taoist thoughts have been interpreted from various aspects since ancient times. In this paper, the author divides the late Qing dynasty into the separat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times and conceptualizes the inherent enlightenment ideology and the cultural significance behind Taoism in the late Qing dynasty. All of the scholars and ideologists in late Qing have realized to explore the modernity from the traditional ideology, which became an important issue at the time. The exploration on the inherent modernity is defined as re-interpreting traditional concepts with feudalistic elements excluded and fulfilling the traditional cultural enlightenment function based on western concepts. From the prospective of cultural enlightenment, the Taoist tradition is associated with a connection to the inherent modernity. To clarify this, the author makes an analytical study on Wei Yuan’s Laozi Original Meaning(『老子本義』) and Yan Fu’s Lao'Comment(『老子評點』) and Zhuang'Comment(『莊子評點』), whose authors were influenced by western ideology. Wei Yuan expanded the confusion statecraft ideology to Laozi’s ideology and re-interpreted his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reform and social welfare. In Wei’s theory, Taoism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with modern universal concepts such as equality, democracy and liberty. However, he re-interpreted it from the social aspect and the theory was called a separation of Taoist study in the late Qing dynasty. His enlightenment theory is defined as an ideology featured by salvation and reformation. Yan Fu accepted the concepts of liberty and democracy through social Darwinism and theories by Montesquieu, Rousseau, etc. and re-discovered it in Lao and Zhuang’s ideology. The essence of his liberalism is the economic liberalism to develop economics and enhance national strength. However, in Lao'Comment(『老子評點』) and Zhuang'Comment(『莊子評點』), it has been expanded to political liberalism and concepts such as liberty and equality. Represented by Wei Yuan and Yan Fu, the study on Taoist enlightenment theory in late Qing has a basic label of cultural enlightenment, based on which the thoughts Learning from Foreigners to Competing Foreigners was proposed and taken as a slogan by the enlighten ideologists back then. The study on Taoism in late Qing was labeled with cultural enlightenment, which reflects a temporal emotion that the modernity has to be found from the traditional ideology although it was learnt from the west first. This explains why people tried to seek the inherent modernity of Taoism. In other words, it is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modernity of China or East Asia. 시적이고 우화적인 표현으로 말미암아 도가의 사유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과 근대의 전환점이라고 말할 수 있는 만청 시기의 도가사상의 해석에 내재한 계몽적 사유 논리와 그 논리가 지향하는 문화적 의미를 개념화했다. 만청 시기의 학자와 사상가들은 전통 가운데서 근대성을 발굴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인식했다. 봉건적 요소를 배제하고 전통적 개념의 의미를 재해석하거나 서학의 개념으로써 재해석된 전통 등, 문화계몽의 계기는 내재적 근대성의 발굴로 정의(개념화)하였는데, 이 논문에서는 웨이위엔의 『노자본의』와 옌푸의 『노자평점』, 『장자평점』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논구하였다. 웨이위엔은 유가의 경세치용의 사유를 노자의 사유에로 확장했다. 그의 계몽적 사유를 근대적 보편성을 함유한 개념으로서 ‘평등’이나 ‘민주’, ‘자유’등과 직결된다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사회적 관점에서 노자의 사유를 재해석함으로써 만청 시기 도가 연구의 분수령으로 자리매겨지는데, 그의 계몽적 사유의 논리는 ‘구세’와 ‘개혁’으로 정의된다. 옌푸는 사회진화론과 몽테스키외, 루소 등의 이론을 통해 민주와 자유 개념 등을 받아들이고 이를 노자와 장자의 사유에서 재발견한다. 그의 자유주의의 실체는 국가부강을 위한 경제적 자유주의이지만, 『노자평점』과 『장자평점』에서는 정치적 자유와 함께 민주, 평등 등으로 확대되어 드러난다. 웨이위엔과 옌푸로 대표되는 만청 시기 도가 연구에서 계몽적 사유의 논리는 기본적으로 문화계몽을 표방한다. 그러한 계몽적 사유에는 당시 계몽 사상가들의 슬로건이었던 “이민족의 발달된 기술을 배워 그것으로써 이민족을 제어한다.(師夷長技以制夷)”는 논리가 투사되어 있다. 문화계몽을 표방하는 만청 시기의 도가 연구는 곧 ‘근대는 서구로부터 학습하되 근대성은 전통에서 찾고자 하는’ 시대적 욕망을 반영한다. 그것은 도가의 사유로부터 내재적 근대성을 찾는 과정이었다.

      • KCI등재

        晚清老學與儒、佛會通

        정석도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7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27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ultural meaning of mutual convergence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huitong 會通) between Yu Yue’s Laozi pingyi and Yu Chang’s Laozi jiaoshu that understand Laozi within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study of ancient documents, and Song Xiangfeng’s Laozi zhangyi and Yang Wenhui’s Laozi Daodejing fayin that emphasize the interpretation of philosophical meaning in pursuit of communic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Yu Yue analyzes phrases in each chapter of Laozi and corrects their meanings through the methods of collation and exegesis. Yu Yue inherits “Wanpai’s study of ancient documents” developed by Dai Zhen, Duan Yucai, Wang Niansun, and Wang Yinzhi; Yu has a strong tendency to pursue rationality rather than old material. Yu Chang pursues the original meaning of Laozi by extensively adopting inductive logic with a reliance on the methods of philology, phonology, and exegesis. Yu Chang’s research on the study of Laozi can be defined as a more advanced form of the Qianjia study of ancient documents; he extends research subjects of the Qianjia school to all philosophers. In the Song Xiangfeng’s Laozi zhangyi, he establishes Huangdi, the creator of culture, as the standard and fuses Confucius’s and Laozi’s thoughts mediated by Guizang. His method that merges Laozi’s ideas with Confucianism, both of which have the same origin and orientation in Song’s view, can be seen as one of the cultural hermeneutics. Yang Wenhui interprets Laozi from a Buddhist viewpoint and fuses Laozi’s notion of “being and nonbeing” and “life and death” with Buddhist metaphysics. Yang Wenhui’s interpretation of Laozi is noteworthy in that it discovers new aspects of Laozi’s metaphysical thinking through Buddhist tradition. 本文考察了俞樾(《老子評議》)和于鬯(《老子校書》)等典型考證學方法的老子理解,以及強調義理的同時,追求與經學及佛教比較闡釋的宋翔鳳(《老子章義》)和楊文會(《老子道德經發隱》)等,晚清《老子》具有文化意義相互融合的基本內涵,這種文化意義的相互融合是通過“會通”的理解方式實現的。 俞樾以《老子》每一章和每一章的部分句子爲對象,通過校勘和訓詁的方法,完成了意義校正工作。俞樾繼承了戴震、段玉裁、王念孫、王引之等皖派考證學,所以比起“救古”,更強烈地表現出“救是”的傾向。從文字、音韻和訓詁的方法,到歸納性邏輯思維的廣泛運用,從語言文字的理解,到老子本義的追溯,于鬯的老學研究,可以視爲將研究對象擴大至諸子學的乾嘉考證學更進一步的發展形態。 宋翔鳳的《老子章義》以文化創造者黃帝爲基準,以《歸藏》爲媒介,將儒家(孔子)和老子的思維融合溝通,將其解釋爲具有同一根源和指向性的思想,是一種歷史文化學的闡釋。楊文會利用“以佛解老”,將老子的“有無觀”和“生死觀”與佛教的形而上學融合起來。楊文會的老子闡釋在爲佛學傳統通過老學實現近代轉型方面提供了重要契機,在重新發現老子形而上學的思維方面,具有一定價值。

      • KCI등재
      • KCI등재

        생태학 관점에서 본 노자철학의 개념과 논리

        정석도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100 No.-

        Laozi’s philosophy provides a meaningful answer, especially to modern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Not only can Laozi’s reasons be interpreted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but it can also establish Laozi’s philosophy as an ecological philosophy. Such grounds can be first stated from the metaphor of Laozi’s philosophy. Laozi’s philosophy consists of numerous metaphors. But metaphors are all related to ecological meaning. Laozi’s philosophy is therefore ecological philosophy from a modern point of view. Laozi’s concept of Dao道 also has ecological significance. Because the value of things that exist in the world has nothing to do with the value granted by man, Laozi presents the Dao concept. Laozi’s Dao is an ecological world order. The logic of“ Non-action and natural無爲自然”, one of Laozi’s important logic, is also deeply related to ecological values. “Nothing無” is a state in which things are not valued. The logic of“Non-action and natural” works with the problem of Laozi’s“mind心” with the metaphorical concept. Laozi hopes that through parables such as “childhood嬰兒” and “circle logs樸”, people will recover their innocent minds, such as newborn babies and uncut logs. The “small country and small people小國寡民” is a social space consisting of the logic of Laozi‘s metaphors and Non-action and natural with ecological significance. Laozi emphasizes that human social space is also sustainable only when it is inherently ecological. The “small country and small people” means that a social space consisting of ecological circulation and simplicity is the most suitable for a person’s naturalness. What can be seen in “Small Countries and small People” is natural beauty after all. Laozi’s philosophical reason for denying processed beauty and searching for beauty in the ecology of things is “the aesthetics of the circle logs.” 노자철학의 존재가치는 지금 우리가 당면한 환경오염 문제와 결부해서 사유할 때 더욱 분명히 드러난다. 노자의 사유를 현대의 생태학으로 재정립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보다 ‘도’의 가치 등을 구상화하는 다양한 은유적 개념이 본질적으로 생태적 개념이기 때문이다. 노자의 ‘도’ 개념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정의하면 바로 ‘생태적 세계질서’다. ‘무(無)’와 ‘자(自)’의 논리에서 비롯하는 ‘무위자연’의 논리 또한 생태적 가치의 논리다. ‘무’는 사물에 가치가 부여되지 않은 생태적 원본 상태를 개념화한 것으로, ‘무위(無爲)’, ‘무명(無名)’, ‘무욕(無慾)’, ‘무지(無知)’ 등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생태적 자족성의 함의가 있는 ‘자연(自然)’, ‘자정(自正)’, ‘자화(自化)’ 등의 개념과 인과적으로 호응한다. ‘무위자연’의 논리는 은유적 개념과 함께 노자의 ‘마음[心]’의 문제에 수렴된다. 노자가 ‘영아(嬰兒)’, ‘적자(赤子)’ 등의 은유적 개념을 통해 생태적 원형으로의 복귀를 말할 때 그것은 발가숭이 갓난애나 젖먹이의 ‘마음’으로 되돌아감을 뜻하기 때문이다. 성인의 ‘무위’ 또한 실제로 성인의 마음가짐으로서 ‘무위하는 마음’이고 ‘자연’은 백성의 마음가짐으로서 ‘자연적 마음’이다. 노자는 생태적 질서인 ‘도’에 부합하지 않는 마음 안의 ‘욕망’을 부정한다. 인간에 의해 가공된 지식과 윤리체계를 부정함으로써 생태적 질서인 ‘도’를 부각하는 노자의 사상은 ‘소국과민’을 통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형상화된다. ‘소국과민’은 생태학적 함의를 갖는 노자의 각종 은유와 무위자연의 논리가 최종 귀결된 공간의 모습이다. ‘소국과민(小國寡民)’ 역시 ‘젖먹이로의 복귀[復歸於嬰兒]’나 ‘통나무로의 복귀[復歸於樸]’와 같은 맥락으로서, 생태적 순박함으로 구성된 사회적 공간이 바로 사람의 자연에 가장 부합한다는 의미다. 그러한 공간의 궁극적 목적은 가공된 문화적 실용성이 아닌 본연의 생태적 ‘미(美)’에 있다. 가공된 아름다움을 부정하고 사물 본래의 생태성에서 ‘미’의 근거를 발견하는 노자의 가치론적 사유는 ‘원목의 미학’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老子의 道 개념과 동아시아 회화미학의 정립

        정석도 인문예술학회 2015 인문과 예술 Vol.- No.2

        Laozi’s thought which consists of a figurative form can be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thought as well as aesthetic thought. In this paper it is evident the available ground that Laozi’s the most important philosophy concepts “Dao” can be defined by East Asian aesthetics concept. Laozi’s Dao as an axiological concept is the aesthetic concept, especially, it can imply the opportunity which explain East Asian painting aesthetics. The logistic of negative language of the Chapter 1 of Laozi can be understood as a pictorial with visibility and invisibility. It can be understood that we can see Laozi’s “Being” concept and also cannot see “non-Being” concept. At that time, the logical Dao communicate with existence of painting which is formed phantom level. More substantially, the concept of Dao can be held and generated a painting. Laozi’s Dao belongs to the basic element of conversation, Obverse scheme of all things (道生萬物) of Laozi’s theory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point-line-plane theory in painting. As the definition in the ontological implications of the conversation, the Dao of Laozi as a fundamental types of produced things can imply a special punctual concatenation. According to punctual concatenation, the concept of Dao is conceptualized as aesthetic totalities in the aesthetic dimension. When combine a nature of painting and concept of Dao, it is communicate with pictorial realism. Painterly Realism in Asian traditional painting pursuit is to express the uniqueness and the nature of things. The nature and peculiarity communicate with aesthetic totalities. Therefore, the pursuit of realism in the East Asian traditional painting can express the Dao. Laozi’s Dao matrix a realism in the East Asian traditional painting. 비유적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노자의 사유는 철학적 사유뿐 만 아니라 미학적 사유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노자의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도(道)’ 개념을 동아시아 회화미학의 개념으로 정립할 수 있는 가능한 근거를 밝혔다. 노자의 도는 가치론적 개념으로서 미학적 개념이며, 특히 동아시아 회화미학의 이념을 설명할 수 있는 계기를 함축한다. 도 개념의 추상적 의미와 연관된 『노자』 1장의 언어부정의 논리를 가시성과 비가시성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노자의 ‘유(有)’ 개념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무(無)’ 개념을 ‘볼 수 없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럴 때 도의 논리는 실재와 환영의 차원으로 형성된 회화의 존재성과 소통된다. 더욱 실질적으로 도 개념은 회화의 생성과 유비될 수 있다. 노자의 도는 회화의 기본 요소인 점에 해당하며, 노자의 도생만물(道生萬物)의 도식은 그대로 회화에서의 점-선-면 이론과 상통한다. 회화에서의 점의 존재론적 함의와 마찬가지로 노자의 도 개념은 사물 생성의 근원적 형식으로서 특별한 시간적 계기를 내포한다. 시간적이며 시각적인 계기에 의해 도 개념은 미학적 차원에서 미적전일성으로 개념화된다. 미적전일성으로서의 도 개념을 회화성에 접목할 때, 그것은 회화적 사실성과 소통된다. 동아시아 전통회화에서 추구한 회화적 사실성은 사물의 본성과 고유성을 표현하는 것에 있다. 본성과 고유성은 미적전일성과 소통된다. 따라서 동아시아 전통회화에서 추구한 사실성은 도의 현시다. 노자의 도는 동아시아 전통회화에서의 사실성의 모태다.

      • KCI등재
      • KCI등재

        Successful Treatment with Empirical Erlotinib in a Patient with Respiratory Failure Caused by Extensive Lung Adenocarcinoma

        정석,엄상원,이현,전경만,이경종,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최윤라 대한중환자의학회 2016 Acute and Critical Care Vol.31 No.1

        We herein describe a 70-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respiratory failure due to extensive lung adenocarcinoma. Despite advanced diseas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with ventilator support was performed because she was a newly diagnosed patient and was considered to have the potential to recover after cancer treatment. Because prompt control of the cancer was needed to treat the respiratory failure, empirical treatment with an oral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 was initiated before confirmation of EGFR-mutant adenocarcinoma, and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Later, EGFR-mutant adenocarcinoma was confirmed.

      • KCI등재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상 프로그램성 판단에 대한 소고

        鄭錫澈 법무부 2003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20

        In the 21th Century, the Age of ubiquitous computing and networking, we often see the situation that law is not able to keep pace with the technology. In particular,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faces to such problem as software goes from border to center in the computer industry. Suppose you have a work and want the law to declare it computer program, however, it is hard to find whether the work fully satisfies the conditions of program.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program from simple data, in some cases. Existing CPPA tends to apply the broaden range in defining the program. Font file case is a good example.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e font files satisfy the conditions of program, whereas the standards of the judgement is still a controversial issue. We recently even see a case asking if files produced by MS-Excel are computer program or not. Even if we have to wait and see the final judgement of court, it will be meaningful to study the case. This work reviews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of computer program definition in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유비쿼터스컴퓨팅과 네트워킹이 엮어내는 21세기에서는 법이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 영역에서는 하드웨어의 부속물 정도로 여겨지던 소프트웨어가 더욱 중요시되면서 소프트웨어 관련 대표적인 법률인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또한 이러한 고민에 직면하게 되었다.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하나, 현실적으로 프로그램성을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단순 데이터와 프로그램의 경계선상에 있는 새로운 창작물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교적 넓게 인정하고 있는 현재의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의 프로그램 정의규정에 기인한 면도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서체파일이다. 서체파일의 프로그램성에 대하여는 대법원에서 그 프로그램성을 최종 확인한 바 있으나, 그 판단기준에 대하여는 아직 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엑셀프로그램으로 작성한 엑셀파일의 프로그램성 판단에 대한 사례도 있었다. 이 사안에 대하여는 법원의 최종적인 판단을 지켜보아야 하겠지만 유사한 사례가 앞으로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므로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상 프로그램성 인정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서체파일과 엑셀파일의 프로그램성 인정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중심으로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의 정의 규정의 의미와 해석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