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친화적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미라(Chung, Mi-R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8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46명이며, 실험집단 유아 23명을 대상으로 자연과의 직접적 만남을 중시하여 구성한 자연친화적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 유아 23명을 대상으로 자연과의 간접적 경험을 통한 실내활동 중심의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각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친화적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하위요인 중 지도성, 도움주기, 주도적 배려, 나누기, 감정이입 조절하기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반면, 의사소통하기와 접근 시도하기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하위요인인 환경보전태도, 자연친화적 태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esteem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LEPNFM)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 total of 46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23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LEPNFM through direct encounters with nature and 23 children in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life-esteemed education program through indirect experience with n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PNFM reveale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ub-categories involving leadership, helping others, caring for others, sharing, controlling emotion, except communication and trying approaches. Second, LEPNFM reveale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sub-categories involv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 and nature-friendly attitude.

      • KCI등재

        아버지 공감능력, 양육참여 및 영아기 자녀의 사회정서 발달에 관한 연구

        정미라(Chung Mi-ra),김민(Kim Min Jeong),강수경(Kang Su Kyo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아버지의 개인적 특성인 공감능력이 영아기 자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 버지 양육참여가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어 린이집에 다니는 만 1세 영아 아버지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 율,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공감능력이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공감적 관심이 여가활동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감적 관심, 상상하기는 생활지 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인적인 고통은 생활지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아버지 양육참여가 자녀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 생활지도는 외현화 문제행동 에 영향을 주며, 여가활동은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영아 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공감능력과 양육참여를 증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thers’ empathy on paternal involvement and the influence of paternal involvement on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fathers of 1-year-old infants who are attending day 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First, the empathetic concern affected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Empathetic concern and fantas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ducational guidance and personal di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ducational guidance. Furthermore, educational guidance affected children's external problem behavior and leisure activity influenced children’s social capability. Discussion was made enhancing fathers' empathy and parenting involvement regarding the aspects of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과 유치원 적응력 간의 관계

        정미라(Chung, Mi Ra),박희숙(Park, Hee Su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능력 및 유치원 적응력 간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유아의 유치원 적응력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방향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G시와 M시에 소재한 5개 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163명이며,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유치원 적응력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인지능력 자아, 또래수용 자아 및 어머니수용 자아 요인은 유치원 적응력의 또래 유능감 및 자아강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치원 적응력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능력의 개인정서 조절능력과 대인관계 형성능력 요인은 유치원 적응력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자아 강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과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인지능력 자아와 또래수용 자아가 정적으로 유치원 적응력의 하위요인인 자아강도 적응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밖의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은 유치원 적응력을 의미 있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과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능력의 개인정서 조절능력은 유치원 적응력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 강도를, 대인관계 형성능력은 자아 강도를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적응력 중 유치원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또래 유능감,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을 의미 있게 예측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능력 및 유치원 적응력을 증진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과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이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논의, 모색 되어야 함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유아교육과정 및 교수법 마련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social conference and kindergarten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163 5-year-old children (84 boys and 79 girls) enrolled in five kindergartens located in G city and M city. Data were obtained through self-esteem test, social conference test and kindergarten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kindergarten adjustmen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ocial conference and kindergarten adjustment. Third, children‘s self-esteem was a predicting variables of ego strength of kindergarten adjustments. Variables that influenced ego strength of kindergarten adjustments were cognitive self and peer acceptance self. Fourth, children's social conference was a predicting variables of ego strength of kindergarten adjustments. Variables that influenced ego strength of kindergarten adjustments were personal emotion control 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 및 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

        정미라(Chung Mi ra),이방실(Yee Bang sil),박수경(Park Su k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 및 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공ㆍ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는 셀프리더십과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는 셀프리더십을 경유하여 소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셀프리더십을 강화를 통해 소진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elf-leadership and burnout.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79 teachers working at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IBM SPSS 21.0 and AMOS 21.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was prov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self-leadership and burnout. Second, the teachers' self-leadership was prov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burnout. Third, the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was turned out to lay an indirect influence on their burnout through the teachers' self-lead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e ways to prevent and decrease teachers' burnout through the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and the teachers' self-leadership were discussed.

      • 세대 간 다른 가족맥락에 의한 가족 과업과 가족 스트레스의 관계 -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을 중심으로 -

        정미라(Mi Ra Chung)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2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4 No.1

        본 연구는 세대 간 다른 가족맥락에 의한 가족 과업과 가족 스트레스의 관계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대상으로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을 선정하여, 세대 간 다른 가족맥락이 만들어내는 가족 과업의 양상은 어떠한지, 가족 과업과 가족 스트레스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화 분석 방법으로는 언어적 서사 구조와 영상 화면의 서사 구조를 통해, <용길이네 곱창집>의 가족맥락과 가족 과업으로 인한 가족 스트레스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영화의 역사적·사회적 맥락으로 본 영화 주인공인 용길이는 일본 사회에서 정착하고 적응하기 위해서는 아들 토키오가 일본의 최고 사립학교에서 일본 교육을 받아야만 한다는 가족 과업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토키오는 일본의 주류 사회로 상징되는 일본 사립학교에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집단 따돌림과 폭력을 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토키오는 자신과 가족과 세상에 좌절과 분노감을 느끼게 되고 결국 가족 스트레스는 극단에 치닫게 된다. 이런 <용길이네 곱창집>의 일련의 서사 과정을 통해 가족 과업으로 인한 가족 스트레스를 분석하였으며, 시대적·공간적 배경을 넘어서 세대 간 이해관계가 겹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가족에게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family tasks and family stress based on different family contexts between generations. To this end, the movie Yonggil's Gopchang Restaurant was selected to examine the patterns of family tasks created by different family contexts between gener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tasks and family stress. As a movie analysis method, S. Chatman (1978)'s linguistic narrative structure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video screen were applied to the family context of Yonggil's Gopchang Restaurant and family stress caused by family tasks. Yong-gil,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in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of the film, will form a family task that his son Tokio must receive Japanese education at the best private school in Japan in order to settle and adapt in Japanese society. However, Tokio was not accepted by a Japanese private school symbolized by Japan's mainstream society and suffered bullying and violence. In the process, Tokio feels frustrated and angry at himself, his family, and the world, and eventually, family stress reaches extremes. Through this series of narrative processes in Yonggil's Gopchangjip, family stress caused by family tasks was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families living in this era where interests between generations overlap beyond the historical and spatial background.

      • KCI우수등재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의 교사목표 프로파일에 따른 교사효능감, 직업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비교

        정미라(Mi Ra Chung),차기주(Ki Joo Cha),신종호(Jong Ho Shin),박수원(Soo Won Park),민지연(Ji Yeon Min),김민(Min Jeong Kim) 한국아동학회 2016 아동학회지 Vol.37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ofiles based o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goal orientations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se profile group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eacher questionnaire. The teacher goal-orientation scale consisted of six sub-dimensions: growth, leisure, wealth, relationship, promotion, and social contribu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es. Results: Latent profile analyses revealed three distinct profile groups: one group characterized by higher scores across all six dimensions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another characterized by lower scores on all six dimensions, with a relatively higher score on the relationship dimension (relationship-goal-oriented group); another one characterized by lower scores on all dimensions except the leisure goal (leisure-goal-oriented group). MANOVA showed that the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otal years of teaching,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compared to the leisure-goal-oriented group. In regression analyses, when controlling for educational attainment, teacher types (kindergarten vs. elementary school)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each of the dummy-coded profile groups (0 = no, 1 = yes). When taking into account teachers’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belonging to the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was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in leisure-goal-oriented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crucial to help pre- and in-servic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ster a balance between different types of goals, which would ultimately strengthen and stabilize the supply of a teaching force and the provision of a better education.

      • KCI등재

        영아기 부모를 위한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효과

        정미라 ( Mi-ra Chung ),강수경 ( Su-kyoung Kang ),김민 ( Min-jeo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영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영아와 어머니로 실험집단 52가정과 비교집단49가정이다.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은 3, 6, 9, 12개월 영아의 발달특성과 월령에 따른 뇌발달 원리에 기초한 양육지침과 놀이활동집을 기초로, 양육전문가가 각 가정을 방문하여 1:1코칭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χ2 과 t-test를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검사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의 사전 검사인 3개월 시점에는 영아발달 점수에 차이가 없었으나 9개월 시점에는 발달 총점과 의사소통, 소근육, 문제해결 영역의 점수가 실험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이 12개월 영아발달에 미치는 과는 영아발달 총점과 의사소통, 문제해결, 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9 월 시점에서 효과가 있었던 의사소통, 문제해결 영역은 12개월에도 그 효과가 지속됨으로 뇌기반 양육코칭이 갖는 효과가 영아의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능력 등에 지속적으로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의 의의와 영아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brain-based parenting coaching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101 dyad mothers and infants(52 dya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9 dyad in the control group)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Brain-based parenting coaching program, is conducted based on parenting guidelines and play activity book. Its content is based on brain-based parenting principle of 3, 6, 9, 12 months infants. This program consisted of 1:1 parenting coaching through home visit for infants of 3, 6, 9, 12 month and their par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χ2,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9-month-old infa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 in communication, fine motor, problem solving domain and overall scores of develop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12-month-old infa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personal-social and overall scores of develop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sions were discussed toward meaning of brain-based parenting coaching program and promoting development of infant.

      • KCI등재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한 연구자와 참여자의 교량 만들기

        정미라(Chung, Mi-Ra),강수경(Kang, Su-Kyung),이순행(Lee, Soon-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가 협력하여 실천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부모교육에 참여한 유아의 아버지 4명, 어머니 9명을 목적 표집하였다. 부모교육은 경기지역 공립유치원에서 2017년 3월부터 8월까지 격주로 총 9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면담, 부모토론자료, 연구자 저널, 현장일지, 기타 자료 등이다. 자료분석은에 믹코딩과 구조코딩의 순환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한 연구자와 참여자의 협력과정은 ‘부모의 관점에서 경청하기’, ‘부모의 관심에 다가가기’, ‘부모와 친해지기’, ‘부모와 함께 실천하기’로 주제화되었다. 연구자와 참여자의 교량을 만들어가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및 성찰과정에서 새롭게 이해하게 된 주제들을 논의하고, 참여적 유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o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o make a bridge of theory and practice. This qualitative study asks how it is the proc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o make bridges of theory and practice. This program was held in the public kindergarten hall from March to August 2017 and was held every other week for a total of nine sessions. A total of 28 participants were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and 13 of key informants were analyzed. The action research was proceed to planning - execution and observation - reflection process, and each cycle was repeated in three steps. The data source is the field journal, observation data, interview data, researcher meeting data, research journa and other field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rocess of the action research was listening from the parents , approaching the parents , getting intimate with the parents , and practicing with the parents . This results showed that parent education to make bridges of theory and practice was a forum for parents and researchers to join a conversation an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t was a process of renewed understanding of one s experiences and adding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음악교육에서의 반주매체가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미라(Chung Mi-R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교육에서 반주매체가 유아의 음악적 흥미 및 능력의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5세 유아 25명씩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배치하고, 실험집단에는 생음 반주매체를 적용한 음악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녹음 반주매체를 적용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종 15회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처치를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음악적 흥미 검사와 음악적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처치가 끝난 다음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생음 반주매체는 녹음 반주매체에 비하여 유아들의 음악적 흥미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음악적 능력에 대해서는 하위영역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음 반주매체는 녹음 반주매체에 비하여 음악적 능력의 하위영역 중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음악 만들기 등의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리듬표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반주매체는 유아들의 음악적 흥미와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생음 반주매체는 유아들에게 음악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흥미를 갖게 하고 음악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유의미한 반주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음이 규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coustic and digital music accompaniment on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ability in music education. A total of 50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s participated 3 times weekly in the music education program for 5 weeks. There were 15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30-40 minut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coustic music accompaniment gave more positive effects to increase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music abilities such as listening,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creating music than digital music accompaniment. It suggests that acoustic music accompaniment is more effective than digital as a way of introducing music to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교사와의 관계가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정미라(Chung, Mi-R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과 교사와의 관계가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담임교사가 평소 유아교육기관 활동 속에서 관찰한 유아의 행동특성을 바탕으로 평정한만 세 유아 명의 자아탄력성 교사와의 관계 및 행복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교사와의 관계 하위요인 중 갈등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은 반면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인 애착 주도성 자아통제와 교사와의 관계 하위요인 중 친밀 의존 그리고 행복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는 갈등과 행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애착과 친밀은 세가 세보다 주도성과 자기통제는 세 세가 세보다 그리고 의존은 세 세가 세보다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인 애착 주도성 자아통제와 교사와의 관계 하위요인인 친밀 갈등 의존 그리고 행복 간에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성별에 있어서 남아는 주도성 애착 친밀 의존 순으로 여아는 주도성 애착 의존 친밀 순으로 행복에 영향을 미치고 영향력은 남아 여아 였다 연령에 있어서는 만 세 유아는 주도성 친밀 갈등 순으로 만 세 유아는 주도성 애착 의존 순으로 만 세 유아는 주도성 애착 순으로 행복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만 세유아 만 세 유아 만 세 유아 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교사와의 관계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이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유아의 행복 증진을 위한 교육정책이나 교육활동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aimed to analyze influences of ego-resili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upon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o this end, the author evaluated ego-resili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happiness based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observed by teachers in charge. The study subjects were 619 children in 3-5 years old. The data assessed by teacher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s a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there were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happiness according to sex and age. Second, there w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happiness. Third, it was found that initiative, attachment, intimacy and dependence of boys and girls gave significant influence on happiness. And initiative, intimacy and conflict of 3-years old children, initiative, attachment and dependence of 4-years old children, and initiative and attachment of 5-years old children gave significant influence on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