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ulfhydryl Groups Involved in Oxidative Decarboxylation by Malic Enzyme from the Uropygial Gland and the Liver of Duck

        정명숙,김유삼,Chung, Myung-Sook,Kim, Yu-Sam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6 한국생화학회지 Vol.19 No.3

        Oxidative decarboxylation activity of malic enzymes from the uropygial gland and the liver of duck was inhibited by sulfhydryl group directed reagents, DTNB, NEM, and PCMPS. The pseudo-first order plots for the inactivation by DTNB, NEM, and PCMPS were linear. The number of total DTNB sensitive -SH groups in malic enzyme from the uropygial gland were 8, whereas those in the enzyme from the liver of duck were 12. However the number of -SH group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inactivation of oxidative decarboxylation activity of malic enzyme were only about three for both enzymes from the two different tissues. The inactivation of the enzyme was not protected by substrate or cofactor, suggesting that the reactive sulfhydryl groups of the enzyme may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catalytic event but not binding the substrate and the cofactor on the active site. 오리의 uropygial gland와 간에 있는 malic enzyme의 oxidative decarboxylation activity는 sulfhydryl group directed reagent인 DTNB, NEM과 PCMPS에 의해서 저해를 받았다. 그리고 이러한 저해 반응에 대한 pseudo-first order plot는 직선을 나타냈다. DTNB와 결합하는 -SH group의 총수는 uropygial gland에서 얻은 효소의 경우 8개 이며 간의 효소에 대하여는 12개 이었다. 그런데 malic enzyme의 oxidative decarboxylation activity를 냐타내는데 직접 관계된 -SH group의 수는 두 효소의 경우 모두 약 3개 씩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효소활성의 저해가 기질 또는 cofactor에 의해서 보호되지 않는다는 점으로 보아 이들 SH group은 기질과의 결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지만 활성부위 근처에 있으면서 촉매반응 과정에서 중요한 역활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웨이트트레이닝의 참여기간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최적모형

        정명숙(Myungsook Chung),황선환(Sunhwan Hwang) 한국여가문화학회 2023 여가학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웨이트트레이닝의 참여기간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중요성, 중심성, 물리적 열정, 과거경험, 숙련도, 정보, 기술지식의 관계에서 1차 선형 회귀모형, 2차 비선형 회귀모형, 3차 비선형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최적모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SPSS Ver. 27.0과 AMOS Ver.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곡선 추정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참여기간과 중요성 전문화의 관계는 1차 선형모형이 최적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기간과 중심성, 과거경험, 숙련도, 정보 및 기술지식 전문화의 관계는 2차 비선형모형이 최적모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참여기간과 물리적 열정 전문화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웨이트트레이닝의 참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중요성 전문화는 선형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중심성, 과거경험, 숙련도, 정보 및 기술지식의 전문화가 증가하다가 중간지점을 기점으로 전문화가 감소하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발전양상을 지닌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ptimal model by applying a linear model, a quadratic model, and a cubic mod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training participation period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importance, centrality, physical passion, experience, skilled, information, and skill-knowledge. The resul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deriv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urvilinear estimation analysis using SPSS 27.0 and AMOS 27.0 ver.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period and importance specialization, a linear model was found to be the optimal model. Seco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period and centrality, experience, skilled, information, and skill-knowledge specialization, quadratic model were found to be the optimal model.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period and physical passion specialization. As the participation period in weight training increased, importance specialization developed linearly. The level of specialization in centrality, experience, skilled, information, and skill-knowledge increased to a certain point and then decreased after that point.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with various development patter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정명숙(Myung-Sook Chung),강석임(Seok-Im Ka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생활시설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들의 삶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내고 이들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정신장애인들의 삶에 대한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물질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과 병식도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울수준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었다. 셋째, 시설관련 변인 중에서는 외출자유가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에 특히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영향력이 극히 미미 하였다. 끝으로, 시설거주 정신장애인들은 친구관계와 관련한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나, 이 영역의 만족도가 다른 영역의 만족도에 비해 전체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시설거주 정신장애인들의 삶에 대한 만족 증진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factors having significant influences on life satisfaction of mentally disabled people residing in institutions, and to examine relative importances of those factor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99 participants from four institutions to measure the following variables: self-esteem, depression, insight, social support, demographic and institution-related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affect varying domains of life, but overall,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more social support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Among person-related factors, self-esteem and insight in particular proved to b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Several institution-related factors such as duration of admission and leave out frequency were shown to play significant roles in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factors, however, had little influences. Finally, while the participants were the least satisfied in the domain of relationship, this domain proved to have substantial influences on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치원컨설팅에 대한 의지, 운영방법, 활용방안 인식

        정명숙(Chung, Myung-Suk),김은정(Kim, Eun-Jung),조준오(Jo, Jun-Oh)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4

        본 연구는 컨설팅 당사자인 유아교사들의 컨설팅에 대한 의지, 운영방법, 활용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유치원컨설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 활성화를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 178명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대부분 유치원컨설팅에 대한 의지가 높았으며 컨설팅의 영역 중 수업컨설팅에 대한 요구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영방법에서는 운영단위를 개인별, 유치원별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이나 유치원이 원하는 횟수와 시기에 운영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절한 운영방식 및 컨설턴트는 영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활성화 방안으로는 전문성을 지닌 컨설턴트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에 대한 교원들의 적극적인 자세가 주요한 전제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for kindergarten consult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8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 in the city of Busa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willingness for kindergarten consulting was generally high.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want to take a consulting by an individual or kindergarten and to be operating in the frequency and time were the most desirable. In addition, the appropriate operating system and consultants differed by area. Finally, as a way to enable the securing of consultants with expertis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to change teachers" positive attitude was found to be a major prerequisit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영성연구의 동향과 향후과제

        정명숙(Chung, Myung Sook),강석임(Kang, Seok Im),김승주(Kim, Seung Ju),전혜원(Jeon, Hye Wo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4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1970년대부터 2014년까지 영성을 주제로 발표된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영성연구의 주요과제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941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이 논문들을 학문분야와 연도별로 연구방법, 논문유형, 영성관점, 연구대상, 측정도구, 분석방법 및 영성변수유형에 따라 차례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연구과제들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 영성연구의 주요 과제는 다음의 네 가지로 압축될 수 있었다. (1) 연구방법의 다원화, (2) 연구대상의 다변화, (3) 한국인의 영적 특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한국형’ 영성척도의 개발, 그리고 (4) 효과성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영성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overall trends of spirituality research performed in Korea from the 1970s to 2014, and then to suggest important topics of the research. In this article a total of 941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earch methodology, type of publication, view toward spirituality, participants of research, measuring instrument, method of analysis, and type of spirituality variable were analyzed respectively as a function of academic field and publication year. Based on these results the topic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spirituality research were determined: (1)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2) diversification of participants, (3) development of the “Korean” spirituality scale, and (4)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enhancement program, the effectiveness of which is empirically support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