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토의 급성 뇌경색에서 관류 및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허숙희,임남열,정광우,윤웅,김윤현,정용연,정태웅,김정,박진균,강형근,서정진,Heo Suk-Hee,Yim Nam-Yeol,Jeong Gwang-Woo,Yoon Woong,Kim Yun-Hyeon,Jeong Young-Yeon,Chung Tae-Woong,Kim Jeong,Park Jin-Gyoon,Kang Heoung-Keun,Seo Jeong-Jin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3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7 No.2

        목적 : 가토 모델을 이용한 급성 허혈성 뇌경색에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과 관류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여섯 마리의 순계 가토의 경동맥에 히스토아크릴글루와 리피오돌 및 텅스텐 파우더를 동맥내 주입하여 뇌경색을 유발한 후 1시간 내에 고식적인 T1 및 T2 강조영상, 그리고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과 관류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였다. 관류자기공명영상은 측내실 수준과 대뇌기저핵의 1cm 상방에서 각각 얻었고, 이 영상을 특수 영상 소프트웨어로 후처리하여 뇌혈류 용적 , 뇌혈류양 및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을 포함한 관류 영상을 획득하였다. 뇌경색 부위는 각각의 관류 지도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으로 평가하였다. 뇌경색 부위와 반대편 정상 부위에서 조영제 평균 통과시간 차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 모든 가토에서 T2 강조영상상 비정상 신호강도는 없었으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고신호강도의 뇌경색 병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적 뇌혈류용적, 뇌혈류양 및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을 포함한 관류자기공명영상에서 모두 관류 결손을 인지할 수 있었다. 뇌혈류양과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관류결손지역으로 나타난 면적의 비교는 6예 중 4예에서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가 뇌혈류양 지도보다 면적이 크게 나왔으며, 2예는 같았다.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의 관류결손 면적이 뇌혈류양 지도보다 작게 나온 경우는 없었다. 또한 뇌혈류양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병변의 면적보다 3예에서 넓게 나타났고, 3예에서 같게 나타났다.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병변의 면적보다 모두 크게 나타났다.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이 뇌혈류양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보다 크면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와 같은 경우가 3예, 뇌혈류양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이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와 같으며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가 3예, 그리고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이 뇌혈류양 지도의 병변의 면적보다 크면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면적이 가장 적은 경우가 1예 있었다. 결론 :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과 관류자기공명영상은 가토에서 초급성 뇌경색을 진단하고 뇌혈류 역학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erebral diffusion (DWI) and perfusion MR imaging (PWI) in rabbit models with hyperacute cerebral ischemic infarction.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al cerebral infarction were induced by direct injection of mixture of Histoacryl glue, lipiodol, and tungsten powder into the internal cerebral artery of 6 New-Zealand white rabbits, and they underwent conventional T1 and T2 weighted MR imaging, DWI, and PWI within 1 hour after the occlusion of internal cerebral artery. The PWI scan for each rabbit was obtained at the level of lateral ventricle and 1cm cranial to the basal ganglia. By postprocessing using special imaging software, perfusion images including cerebral blood volume (CBV), cerebral blood flow (CBF), and mean transit time (MTT) maps were obtained. The detection of infarcted lesion were evaluated on both perfusion maps and DWI. MTT difference time were measured in the perfusion defect lesion and symmetric contralateral normal cerebral hemisphere. Results : In all rabbits, there was no abnormal signal intensity on T2WI. But on DWI, abnormal high signal intensity, suggesting cerebral infarction, were detected in all rabbits. PWI (rCBV, CBF and MTT map) also showed perfusion defect in all rabbits. In four rabbits, the calculated square of perfusion defect in MTT map is larger than that of CBF map and in two rabbits, the calculated size of perfusion defect in MTT map and CBF map is same. Any rabbits do not show larger perfusion defect on CBF map than MTT map. In comparison between CBF map and DWI, 3 rabbits show larger square of lesion on CBF map than on DWI. The others shows same square of lesion on both technique. The size of lesion shown in 6 MTT map were larger than DWI. In three cases, the size of lesion shown in CBF map is equal to DWI. But these were smaller than MTT map. The calculated square of lesion in CBF map, equal to that of DWI and smaller than MTT map was three. And in one case, the calculated square of perfusion defect in MTT map was largest, and that of DWI was smallest. Conclusion : DWI and PWI may be useful in diagnosing hyperacute cerebral ischemic infarction and in e-valuating the cerebral hemodynamics in the rabbits.

      • KCI등재

        자연과 도시환경의 인체친화성에 대한 신경해부학적 평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

        김광원,송진규,정광우,Kim, Gwang-Won,Song, Jin-Kyu,Jeong, Gwang-Woo 한국의학물리학회 2011 의학물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3.0 Tesla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func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을 이용하여 자연과 도시풍경의 시각 자극에 따른 대뇌중추의 활성화 영역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아울러 대뇌 부위별 활성화 양상의 차이점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자연과 도시의 생활환경을 인체친화성과 관련하여 신경해부학적 측면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오른손잡이 정상인 27명(평균 $27.3{\pm}3.7$세)을 대상으로 3.0T MRI를 사용하여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대뇌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시각 자극 패러다임은 3번의 휴지기와 2번의 활성기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휴지기와 활성기 지속시간은 30초와 120초로 하였다. 전체 피험자 27예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자연풍경을 선호한 26예와 도시풍경을 비선호한 14예를 두 그룹으로 나눈 후 활성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자연과 도시풍경 간의 대뇌 활성화 양상을 비교한 결과, 도시풍경에 비하여 자연풍경을 보았을 때 유의한 수준(p<0.05)에서 활성화를 보인 영역은 뇌섬엽, 중전두회, 설전부, 미상핵, 상두정회, 상후두회, 방추상회, 창백핵이었으며, 도시풍경에서는 하전두회, 해마방회, 중심후회, 상측두회, 편도체, 후대상회 영역에서 우세한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자연풍경에서는 도시풍경에 비해 주로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난 반면, 도시풍경에서는 두려움, 공포, 불쾌감을 느낄 때 반응하는 편도체와 같은 부정적 정서와 관련된 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3.0T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 이용하여 자연과 도시풍경의 시각 자극에 따른 대뇌중추의 활성화 양상의 차이점을 신경해부학적인 측면에서 정성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인간이 본능적으로 느낄 수 있는 희로애락의 감정에 따른 대뇌 활성화와 관련하여 생태환경의 인체 친화성과 쾌적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지표로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t cerebral areas of the human brain associated with rural and urban picture stimulation using a 3.0 Tesl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and further to investigate the human suitability for rural and urban environments. A total of 27 right-handed participants (mean age: $27.3{\pm}3.7$) underwent fMRI study on a 3.0T MR scanner. The brain activation patterns were induced by visual stimulation with each rural and urban scenerie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26 subjects favorable to rural scenery and 14 subjects unfavorable to urban scenery based on their filled-in questionnaire. The differences of the brain activation in response to two extreme types of pictures by the two sample t-test were characterized as follows: the activation areas observed in rural scenery over urban were the insula, middle frontal gyrus, precuneus, caudate nucleus, superior parietal gyrus, superior occipital gyrus, fusiform gyrus, and globus pallidus. In urban scenery over rural, the inferior frontal gyrus, parahippocampal gyrus, postcentral gyrus, superior temporal gyrus, amygdala, and posterior cingulate gyrus were activated. The fMRI patterns also clearly show that rural scenery elevated positive emotion such as happiness and comfort. On the contrary, urban scenery elevated negative emotion, resulting in activation of the amygdala which is the key region for the feelings of fear, anxiety and unpleasantness. This study evaluated differential cerebral areas of the human brain associated with rural and urban picture stimulation using a 3.0 Tesla fMRI.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as an objective evaluation guide to human suitability for ecological environments that are related to brain activation with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 KCI등재후보

        양성자 자기 공명 분광법(¹H-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을 이용한 소아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ystrophy)의 영상진단

        정경중(Kyung-Joong Jeong),이현승(Hyeon-Seung Lee),김찬종(Chan-Jong Kim),우영종(Young-Jong Woo),서정진(Jung-Jin Seo),정광우(Gwang-Woo Jeo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2

        AbstractPurpose :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is a rare metabolic encephalopathy of childhood characterized by peroxisomal dysfunction leading to abnormal accumulation of very long chains of fatty aci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MRS) finding of childhood adrenoleukodystrophy, and to correlate these findings with clinical manifestations. Methods : Six male patients with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underwent imageguided, single-voxel, localized proton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Th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five aged-unmatched, healthy volunteers. All the MRI and 1H MRS studies were performed on a 1.57 Signa Horizon MR scanner. The stimulated-echo acquisition mode was used to acquire the MRS data from the localized single-voxel cantered on the lesion. Results : In all 6 patients with ALD, MRS findings of white matter showed clear abnormalities.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ontrol, MR spectra from patients' white matter showed a 51% reduction in the ratio of N-acetyl aspartate to total creatine(p<0.011), 39% increased in the ratio of choline containing compounds to creatine(p<0.035); 11% increase in the ratio of myoinositol to creatine(p<0.018), 22% increase in the ratio of α-glutamine to creatine, and 52% reduction in the ratio of β- and γ-glutamine. With progression of the disease, these changes in metabolite ratios on MRS were more pronounced. Conclusion : Single-voxel localized 1H MRS provided information on cellular metabolic changes of the cerebral white matter from the patients with X-linked ALD. There is a good correlation between MRS metabolite ratios and clinical status. MRS appears to be a useful, noninvasive tool to monitor patients with adrenoleukodystrophy. 목 적 : 소아 부신백질이영양증(ALD)은 포화장쇄지방산이 뇌와 부신 등 여러 조직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대사성 뇌증으로서 대부분 성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대뇌의 탈수초화가 빠르게 진행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다. 대뇌의 탈수초화 병변은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MRI) 소견을 보이며 병변 부위의 생화학적 변화에 대한 자기공명 분광법(MRS)의 소견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D로 진단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양성자 MRS 검사를 시행하여 임상 증상 및 자기공명영상 소견들과 비교 분석하여 MRS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방 법 : ALD로 진단된 6명의 남아(8년 9개월-17월)와 5명의 대조군에서 MRI와 양성자 MRS 검사를 시행하였다. 1.5T Signa Horizon MR scanner를 이용하여 T2 강조 영상(TR/TE=3200/102㎳)에서 해부학적 위치를 결정하였고 병변 중앙 부위에 single-vowel(2㎝×2㎝×2㎝=8㎝3)을 설정하여 stimulated-echo acquisition mode(TR/TE/TM=3000/30/13.7㎳)를 이용하여 MRS spectra를 얻었다. 결 과 : 1) 6례 중 2례는 임상 증상이 없었으나 ALD의 가족력이 있어 검사한 결과 진단되었으며, 다른 4례는 청력, 시력 및 운동장애 등의 초기증상을 보여 생화학적 검사 및 MRI 검사에 의하여 진단되었고,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임상 증상을 보였다. 2) MRI 검사의 이상 소견은 주로 대뇌 후두부에서 시작되는 탈수초화 병변을 보였으며 증상의 정도에 비례하여 병변의 크기 및 침범 부위에 차이를 보였다. 3)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증례에서 N-acetyl aspartate(NAA)/Creatine(Cr)비와 β- and γ- glutamine 및 glutamate(β+γ Glx)/Cr비는 감소하였고, choline(Cho)/Cr, myoinositol(mI)/Cr, α-glutamate 및 glutamine(α-Glx)/Cr비는 증가하였다. 4) NAA/Cr, Cho/cr, mI/Cr비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변화를 보였으나(p<0.05) 다른 대사물질들은 의의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5) 임상 증상이 심할수록 NAA/Cr비는 더 감소하였고, Cho/cr, mI/Cr비는 더 증가하였다. 결 론 : 소아 ALD 환아에서 비침습적인 MRS검사는 병의 진행과정을 대사물질의 비율을 측정함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들은 뇌자기공명영상 소견이나 임상증상과도 잘 일치하였다. MRS 검사는 ALD의 초기 진단에 유용할 뿐 아니라, 추적 관찰에도 유용한 검사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

        기억부하가 얼굴과 공간 작업기억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 사건유관 fMRI 연구

        김정희(Junghee Kim),정광우(Jeong Gwang-Woo),강형근(Heoung-KeunKang),이무석(Moo-Suk Lee),박태진(Taejin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2

        본 연구는 공간작업기억과 비공간작업기억의 유지 처리에 대한 영역특수모형과 처리특수모형을 검증하고자 수행한 사건유관 fMRI 연구이다. 지연반응과제에서 얼굴자극을 표적자극으로 사용하고 표적자극의 수를 달리하여 기억부하를 조작하였으며 일정한 지연기간 후 위치 및 얼굴 재인판단을 요구하였는데, 지연 동안 정보유형(위치와 얼굴)이 기억부하효과의 신경상관물에 미치는 영향을 뇌영상 처리로 분석하였다. 독립변인은 정보유형(자극영역)과 기억부하(표적자극의 수)로서, 정보유형변인은 얼굴작업기억(비공간작업기억) 및 공간작업기억의 두 수준, 기억부하변인은 표적자극이 1개인 조건(저부하)과 3개인 조건(고부하)이었다. 행동수행 분석 결과, 재인정확도에 있어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두 작업기억 모두에서 동등한 정도의 기억부하효과가 확인되었다. 뇌 영상분석 결과, 유지단계에서 전전두피질의 하측 및 중/상측영역이 모두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양자와 관련되고 특히 VLPFC가 두 작업기억에 공통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결과는 처리성분에 따른 전전두피질의 기능적 전문화를 주장하는 처리특수모형에 더 잘 부합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domain-specific model and process-specific model of spatial and nonspatial working memory (WM), this study manipulated the memory load of the delayed response task and examined how the neural correlates of memory load effect was influenced by the stimulus domain (face and location) at the maintenance stage of WM using an event-related fMRI experiment. One or three face stimuli were presented as target stimuli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intain the face itself (face WM) or the location of face stimuli (spatial WM). The results of recognition judgment accuracy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ace WM and spatial WM, and showed equivalent memory load effects of both WM. As a result of brian image analysis, memory load effect at maintenance stage showed that inferior, middle, and superior PFC were recruited by both face WM and spatial WM, and showed that VLPFC was the commonly activated area by both WM, supporting functional specialization of PFC by process components of WM.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process-specific model in which maintenance of WM is associated with VLPFC.

      • KCI등재후보

        뇌종양 환자에서 BOLD 기법을 이용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김정,임남열,신상수,임효순,윤웅,정태웅,정용연,정광우,박진균,강형근,정신,강삼석,서정진,Kim Jeong,Yim Nam-Yeol,Shin Sang-Soo,Lim Hyo-Soon,Yoon Woong,Chung Tae-Woong,Jeong Yong-Yeon,Jeong Gwang-Woo,Park Jin-Gyoon,Kang Heoung-Keun,Jung Shin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3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7 No.2

        목적 : 뇌종양 환자에서 감각운동과 언어 자극을 통해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시행하여 fMRI에서 감각운동 그리고 언어중추와 병변과의 해부학적인 관계를 관찰하여 수술 계획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뇌종양이 감각운동중추 혹은 언어중추 부위에 발생한 오른손잡이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2명의 환자 중 11명에서 감각운동중추의 활성화 여부를 관찰하였고 이 중 6명은 언어중추의 활성화를 함께 관찰하였으며, 1명은 언어중추의 활성화 여부만을 관찰하였다. fMRI를 얻기 위해서 1.57 MR Scanner를 사용하여 EPI-BOLD 기법으로 영상을 얻어, SPM99 분석 프로그램과 자체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은 감각운동, 그리고 언어 자극이 대뇌중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 관찰하였고, 감각운동중추 및 언어중추와 병변과의 위치 관계를 확인하여 수술 계획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환자의 신경학적 기능평가를 수술전후 시행하여 변화여부를 알아보았다. 결과 : 뇌종양환자 12명 모두에서 활성화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대뇌활성화 영역과 병변의 해부학적인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감각운동중추의 활성화영상을 성공하였을 11명 중 9명에서 수술전후 신경학적 수기운동검사에서 등급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1명은 수술 후 오히려 등급이 높아져 운동기능의 회복이 있었고, 1명은 수술 후 한 등급 낮아지는 운동기능의 저하를 보였다. 언어중추의 활성화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던 7예에서 수술 후 언어기능의 저하를 보인 경우는 없었다. 결론 : fMRI는 감각운동중추나 언어중추 부위에 발생한 뇌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수술을 위한 최적의 접근 경로를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o reveal clinical usefulness of functional MRI (fMRI) using sensorymotor and language stimuli for demonstrating anatomic relationship between sensorimotor or language cortices and lesions in the planning of brain tumor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2 right-handed patients with brain tumors in or around sensorimotor or language cortices. Eleven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primary motor and sensory stimuli. Of these patients, six patients were also evaluated with language stimuli. One patient was evaluated with language stimuli only. For fMR imaging, a 1.5T scanner was used and the EPI BOLD technique was employed. For postprocessing image, the SPM99 program and a program made by our department was utilized. We evaluated whether sensorimotor and language stimuli activate sensorimotor and language cortices. And also, clinical efficacy of revealing anatomic relationship between cerebral cortices and lesions for planning neurosurgical operation were evaluated. Finally, we compared post-operative neurologic function with pre-operative neurologic function in same patients. Results : The fMRI examination was successful in identifying the functional cortices and depicting anatomic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cortices and lesions in all patients. In nine patients of 11 patients with identified sensorimotor cortices, postoperative grade of manual motor test was not changed, compared with preoperative grade. Whereas postoperative improved than preoperative grade in one patient of remaining two patients, postoperative aggravated than preoperative grade in the other. This result was due to atherosclerotic lacunar infarction, regardless of tumor resection. Postoperative deficit of language function was not found in seven patients with identified language cortices. Conclusion : fMRI could be a helpful method for determining the best approach to neurosurg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brain tumors in or around sensorimotor or language cortices.

      • KCI등재

        관류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악성종양의 맥관형성에 대한 평가: 가토 간의 VX2 암종에서의 실험적 연구

        윤웅,강형근,박진균,김재규,서정진,김윤현,정용연,정태웅,정광우,남종희,Yoon, Woong,Kang, Heoung Keun,Park, Jin Gyoon,Kim, Jae Kyu,Seo, Jeong Jin,Kim, Yun Hyun,Jeong, Yong Yeon,Chung, Tae Woong,Jeong, Gwang Woo,Nam, Jong Hee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5 No.2

        목적: 실험적으로 가토 간에 VX2 암종을 이식시킨 후 관류(perfusion) 자기공명영상(MRI)을 시행하여 VX2 암종과 주위 정상 간 실질의 관류 특성을 분석하고.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비교하여 간의 악성종양의 맥관형성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관류 MRI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가토 12마리에 개복술을 시행하여 , 간 실질 내에 VX2 암종을 이식한 후 7-14일째에 초음파 검사로 암종이 유발된 것을 확인한 후 단발포 경사에코 에코평면영상기법을 이용한 관류 MRI검사를 시행하였다. 관류 MRI 영상에서 각각의 YX2암종과 주위 정상 간 조직에 동일한 관심구역을 설정하여 신호강도를 측정한 후 조영증강율을 산출하여, 시간에 대한 조명 증강율을 표시한 시간-신호강도 관류 곡신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관류곡선상에서 관류곡선의 양상. 최대 신호강도감소에 도달한 시간과 최대 조영증강율을 YX2 암종과 정상 간실질에서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이 끝난 가토를 희생시켜 간을 적출한 다음VIII 인자 관련항원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검사를 시행하여 YX2 암종과 정상 간 조직의 미세혈관밀도(MVD)를 측정하였다. 결과: 간에 유발된 YX2 암종은 모두 15개로 1-3 cm 크기였다. 관류곡선을 분석한 결과 모든 VX2 암종은 9-20초대의 초기 동맥 관류기에 신호강도의 감소와 회복 곡선이 급격히 변하는 양상을 보였고, 정상 간 조직은 12-50초대의 후기 문맥관류기에 완만한 신호강도의 감소와 회복곡선을 나타내었다 YX2 암종의 최대 신호강도 감소시간은 13-16초 (평균 15초)이었고 정상간 실질의 최대 신호강도 감소시간은 28-36초 (평균 32초)이었다 (7(0.01) . 최대 조영증강율은 VX2 암종에서는 27-84% (평균 47%)이었고, 정상 간 실질에서는 36-82% (평균 56%) 이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 검사상 YX2 암종의 평균 MVD는 200배의 배율에서 시야당 75개로 정상 간 실질의 17개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7p〈0.01) 결론: 관류 MRI를 이용하여 가토 간의 VX2 암종의 일정한 관류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관류특성은 병리조직학적으로 악성종양의 맥관형성에 의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관류 MRI는 간 종양의 맥관형성을 잘 반영하는 방사선학적 검 사법으로서 , 향후 간종양의 감별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perfusion-weighted MR imaging findings of hepatic VX2 carcinoma in rabbits and to explain the perfusion characteristics of this condition by correlation with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New Zealand white rabbits, each weighing between 2.5 and 3.5 (mean) 3.1 kg, were used in this study. Perfusion MRI using single-shot gradient-echo EPI was performed 7-21 days after the injection of tumor cell suspension into the hepatic parenchyma by laparotomy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enhancement ratio, the time-intensity perfusion curves for VX2 tumor and normal liver parenchyma were created, and the shapes of these curves, the time to maximum Sl decrease, and the maximum enhancement ratio in each, were evaluated. To assess microvessel density in each VX2 carcinoma and in normal liver parenchyma, immunohistochenical study using factor VIII-related antigen was performed. Results: A total of 15 tumors 1-3 cm in diameter were revealed by MR imaging. The perfusion curve showed rapid decrement and immediate recovery of the signal intensity of VX2 carcinoma during the early arterial perfusion phase and slower decrement and gradual recovery of that of normal liver parenchyma during the late portal perfusion phase. In all cases, these were constant findings. The time to maximum signal intensity decrease was 13-16 (mean, 15) secs in VX2 carcinoma and 28-36 (mean,32) secs in normal liver parenchyma (p< 0.01). The maximum enhancement ratio of VX2 carcinoma and normal liver ranged from 27 to 84% (mean 47%) and from 36 to 82%, (mean, 56%), respectively. Immunohistochemical study showed that the MVD of VX2 carcinoma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normal liver parenchyma(75 vs 17, p< 0.01). Conclusion: Perfusion-weighted MR imaging appears to be a useful tool for the diagnosis of neoplastic angiogenesis, and thus holds promise differentiating liver tum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