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재의 형상 특성과 인공신경망에 기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 연구

        전준서 ( Jun-seo Jeon ),김홍섭 ( Hong-seop Kim ),김창혁 ( Chang-hyuk Kim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일반강도 범위 콘크리트의 단면에서 골재 형상의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인공신경망과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에 적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면적, 둘레, 길이 등과 같은 일반적인 골재 형상 특성과 함께 골재의 거리-각도 특징을 수치적으로 표현하고 물성치 예측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단면의 골재 형상 특성만을 사용하여 압축강도 예측이 가능하였으며, 인공신경망 알고리즘 구축을 통해 예측 강도와 실제 강도의 상대오차 4.43% 이내의 범위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골재의 거리-각도 특징을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 휨·인장 강도 등 다양한 특성을 예측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oncrete aggregate shape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the cross-section of a normal concrete strength cylinder,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ylinder was predicte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The distance-angle features of aggregates, along with general aggregate shape features such as area, perimeter, major/minor axis lengths, etc., were numerically expressed and utilized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predi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mpressive strength can be predicted using only the aggregate shape features of the cross-section without using major variable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was able to predict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within a range of 4.43% relative error between the predicted strength and test results. This experimental study indicates that various material properties such as rheology, and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can be predicted by utilizing aggregate shape features.

      • 학교 전기설비의 안전을 위한 방안

        전준만(Jun-Man Jeon),이은웅(Eun-Woong Lee)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The speciality of education installation has to be applied to the design construction, inspection of school in the installation. But, it was applied general electric installation standards in korea. Therefore, the electric shock accidents and fire was more frequently occurred in the school than in other building. So. this paper, is proposed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 re for safety of school electric installation

      • KCI등재후보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Triple-Helix for Environmental Science in United States

        전준,Jeon, June 한국과학기술학회 2013 과학기술학연구 Vol.13 No.1

        녹색 화학은 오염 물질의 배출을 피하면서도 동시에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 하에 화학 공정의 설계, 운영에 대해 연구하는 새로운 과학 분야이다. 1991년에 처음으로 싹트기 시작한 녹색 화학은 오염물질을 청소하는데 집중했던 기존의 미국 환경 보호청의 정책에서 선회한 행보를 보였다. 이러한 녹색 화학의 형성 과정에 대해 연구한 선행 연구자들은 녹색 화학의 정치, 경제적인 동기에 대해서는 집중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정부의 환경 정책, 산업계의 참여, 그리고 새로 출현한 녹색 화학자들의 학술 활동 사이의 관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녹색 화학의 형성 과정이 보여주는 함의를 알아내고자 하였다. 학계, 산업, 정부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폭넓은 정책 목표 아래에서, 녹색 화학을 형성했다. 녹색 화학자는 합성연구의 전통 안에서 합성효율을 높이는 반응 경로를 연구함으로써 오염물질 배출을 회피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었고, 화학 산업계는 생산 효율성 증가를 통해 경제적인 이득을 얻고자 이것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동맹은 오염 회피, 자발적 규제 등의 방향을 선호하였던 미국 정부의 새로운 환경 정책의 흐름 안에서 지원받고, 유지될 수 있었다. Green chemistry is a new scientific field which focuses on the design, manufacture, and use of chemical processes that could prevent pollu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yield efficiency. The few who have written on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have not shed light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motivations of green chemistry. As a new study of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triple helix of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which has been critical in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This paper argues that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created a common ground during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under the common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since its creation in 1991. Green chemists produced the knowledge to improve the synthetic efficiency to prevent pollution, and the chemical industry used green chemistry research to increase the economic profitability of production system. This specific form of alliance was supported and maintained amid a changing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toward pollution prevention and a self-regulatory framework.

      •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 기반연구

        전준서 ( Jeon Jun-seo ),김홍섭 ( Kim Hong-seop ),김창혁 ( Kim Changhy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위한 노후 건축 구조물의 대상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구조물의 재료 성능을 정확히 평가해야 한다. 기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같은 재료 성능 측정 방법은 콘크리트 코어를 채취해서 압축강도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코어 채취 방법은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민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진동과 기존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비파괴 평가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골재 분포 이미지를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예측할 방법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콘크리트의 골재의 다양한 특성을 추출하여 입력변수로 설정하고, 압축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 KCI등재

        정적 구조 해석을 이용한 복합하중 및 경계조건에 따른 열수송관의 안정성 평가

        전준서(Jun-Seo Jeon),김홍섭(Hong-Seop Kim),이문환(Mun-Hwan Lee),황인주(In-Ju Hwang) 융복합지식학회 2021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9 No.2

        열수송관에 대한 장기 안정성 해석은 다양한 정적 및 동적하중, 경계조건 등을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하중에 대한 장기 안정성 평가에 앞서 기초 연구로써 정적하중 및 경계조건을 고려한 열수송관의 정적 구조 해석을 수행하였다. 총 29개의 시나리오에 대한 매개변수 분석을 실시하여, 열수송관의 정적 구조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운영온도, 흙과 지역난방 배관의 마찰계수, 토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열수송관의 토압특성은 지반의 아칭효과(arching effect)로 인해 강성관 거동 특성을 보였으며, 마찰계수, 토압이 커질수록 외관에 작용하는 응력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정량적인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온도변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long-term stability assessment for the district heating pipe is complex problem which has to be consider the not only static loading but also dynamic loading. This study assessed the structural stability for the district heating pipe based on static structural analysis prior to the long-term stability assessment (fatigue analysis) for the dynamic loading such as thermal and vibration loading.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numerical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n the parametric study was also conducted for the total of 29 scenario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parameters on the structural stability. It covers temperature differenc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soil and district heating pipe, and unit weight of soil. It was found that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district heating pipe was similar to that of rigid pipe due to arching effect and as coefficient of friction and unit weight of soil increasing, the stress applied at outer pipe decreases. However, the effect of temperature difference on the structural stability was dominant.

      • KCI등재
      • KCI등재

        하중전이 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의 수치해석적 연구

        전준서 ( Jeon Jun-seo ),최기선 ( Choi Ki-sun ),유영찬 ( You Young-chan ),하수경 ( Ha Soo-kyo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1 No.6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시 기초보강공법의 하나인 하중전이 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에 대해 3차원 유한요소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대형 현장실험을 통해 수치모형을 검증하였고, 매개변수 해석을 통해 하중전이장치의 마찰계수, 말뚝의 축강성이 기초보강공법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중전이 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은 보강 중, 보강 후에도 기존 말뚝에 작용하는 하중을 자유롭게 조절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using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using load transfer apparatus which can be used in the remodeling of deteriorated structures. The numerical model was validat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al scal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n a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iction coefficient of load transfer apparatus and axial stiffness of pile on the performance of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considered in this study can efficiently control the load applied to an existing found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