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ta*와 최적의 Bézier 곡선을 이용한 통합 경로계획

        전준,신종호 대한기계학회 2024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8 No.1

        본 논문는 Theta* 및 Piecewise Bézier 곡선을 활용한 경로계획 기법을 제안한다. Theta*는 전방향 경로계획으로 기확보된 지도 내에서 무인 이동체의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점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새로운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주변 환경 및 무인 이동체의 특성, 생성한 경로의 곡률, 광역경로점 추종성을 고려한 최적화 기반 경로계획 기법을 제안한다. Spiral optimization을 활용하여 최적화 문제의 해를 찾아 Piecewise Bézier 곡선의 최적 제어점을 생성한다. ROS(robot operating system)과 Gazebo를 활용한 가상환경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수행 및 결과를 분석한다. This paper proposes a path planning technique using Theta* and Piecewise Bézier curves. Theta* creates a path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an unmanned vehicle to a target point within a map secured a priori by omnidirectional path planning. However, this does not take into account new information reflected in real time. To this en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ization-based path planning technique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nmanned mobile vehicle, curvature of the generated path, and followability of global path in real time. The solution of the optimization problem is obtained using spiral optimization, and the optimal control point of the Piecewise Bézier curve is generated using the solution. A virtual environment system is developed with the robot operating system (ROS) and Gazebo. Finally, numerical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 KCI등재후보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Triple-Helix for Environmental Science in United States

        전준,Jeon, June 한국과학기술학회 2013 과학기술학연구 Vol.13 No.1

        녹색 화학은 오염 물질의 배출을 피하면서도 동시에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 하에 화학 공정의 설계, 운영에 대해 연구하는 새로운 과학 분야이다. 1991년에 처음으로 싹트기 시작한 녹색 화학은 오염물질을 청소하는데 집중했던 기존의 미국 환경 보호청의 정책에서 선회한 행보를 보였다. 이러한 녹색 화학의 형성 과정에 대해 연구한 선행 연구자들은 녹색 화학의 정치, 경제적인 동기에 대해서는 집중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정부의 환경 정책, 산업계의 참여, 그리고 새로 출현한 녹색 화학자들의 학술 활동 사이의 관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녹색 화학의 형성 과정이 보여주는 함의를 알아내고자 하였다. 학계, 산업, 정부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폭넓은 정책 목표 아래에서, 녹색 화학을 형성했다. 녹색 화학자는 합성연구의 전통 안에서 합성효율을 높이는 반응 경로를 연구함으로써 오염물질 배출을 회피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었고, 화학 산업계는 생산 효율성 증가를 통해 경제적인 이득을 얻고자 이것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동맹은 오염 회피, 자발적 규제 등의 방향을 선호하였던 미국 정부의 새로운 환경 정책의 흐름 안에서 지원받고, 유지될 수 있었다. Green chemistry is a new scientific field which focuses on the design, manufacture, and use of chemical processes that could prevent pollu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yield efficiency. The few who have written on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have not shed light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motivations of green chemistry. As a new study of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triple helix of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which has been critical in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This paper argues that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created a common ground during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under the common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since its creation in 1991. Green chemists produced the knowledge to improve the synthetic efficiency to prevent pollution, and the chemical industry used green chemistry research to increase the economic profitability of production system. This specific form of alliance was supported and maintained amid a changing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toward pollution prevention and a self-regulatory framework.

      • KCI등재후보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Triple-Helix for Environmental Science in United States

        전준 한국과학기술학회 2013 과학기술학연구 Vol.13 No.1

        Green chemistry is a new scientific field which focuses on the design,manufacture, and use of chemical processes that could prevent pollu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yield efficiency. The few who have written on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have not shed light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motivations of green chemistry. As a new study of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triple helix of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which has been critical in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This paper argues that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created a common ground during the emergence of green chemistry under the common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since its creation in 1991. Green chemists produced the knowledge to improve the synthetic efficiency to prevent pollution, and the chemical industry used green chemistry research to increase the economic profitability of production system. This specific form of alliance was supported and maintained amid a changing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toward pollution prevention and a self-regulatory framework.

      • KCI등재

        환경의 과학화와 새로운 환경정책: 국립환경연구소의 설립과 환경정책의 과학적 제도화

        전준 한국환경사회학회 202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7 No.1

        Despite the extensive historical research on the early institutionaliza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South Korea,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ole of scientific organizations during this process. This paper addresses this gap by examining the early history of the National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NERC). Based on archival studies of governmental reports, media coverage, and public magazines, I argue that the early history of the NERC explains the role of science in environmental policies in contexts of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authoritative governmental regime. The NERC was established soon after the enactment of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ct of 1978 and underwent a process of defining its role and responsibilities. It succeeded a small department of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while it was assumed to carry out scientific studies of Korean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for the execution of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ct of 1978. With the NERC, the Korean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olicy were re-written with the language of science, leading to molecularization and quantification. However,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standards for environmental regulation lagged behind, with greater priority placed on scientific measurement of Korean environment. By bridging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nd environmental sociology. this paper not only contributes to the regional history of Korean environmental policies but also offers insights into the global studies of the role of science in environmental policies. 환경과학과 환경정책의 관계는 무엇이며, 한국 사회에서 이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났는가? 한국의 환경정책과 규제기관의 역사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에서 규제과학기관으로 설립된 국립환경연구소에 대해 주목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국립환경연구소의 설립을 중심으로 환경보전법 설립 전후의 한국의 환경정책을 점검하며, 과학적 연구기관이 환경정책의 수립과 실천, 더 나아가 시민들의 환경적 행위의 구성에 영향을 주었음을 주장한다. 국립환경연구소는 환경보전법이 제정된 직후 수립되었으며, 국립보건연구소 공해과의 시설과 기능을 이관받으며 그 시작을 알렸다. 설립 직후 환경 측정 기능을 도입하기 시작한 국립환경연구소는 조직개편을 통해 환경과학 교육 및 공해관리기사 교육으로 그 기능을 확장하며 환경보전법의 구체적인시행을 보조했다. 과학의 언어로 다시 쓰여진 한국의 환경정책은 분자화되고 계량화된 방식으로 환경을 재구성했으나, 환경규제기준을 설정하는 일은 환경실태를 측정하는 임무에 비해 후순위로 밀려났다. 이 연구는 한국 환경정책의 과학화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과학기술학과 환경사회학 사이의 접점을 찾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전산사회과학 연구과정의 블랙박스 열기: 아카데믹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비교사회학 연구를 중심으로*

        전준,김병준,김재홍,김란우 한국사회학회 2023 韓國社會學 Vol.57 No.2

        How does the data science-driven sociology of knowledge work? What are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computational approach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and what kinds of methodological challenges exist? Despite the rapid growth of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and related infrastructure, we need more systematic reports on the practical hurdles of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research. This research note reveals tacit knowledge of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by utilizing the case of our research project on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academia. In doing so, it reveals practical challenges of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that are often untold while underlining the methodological significance of such a tacit process. Our comparative project started by collecting and preprocessing academic archival data via KCI and SSCI. For the macroscopic comparison of the thematic difference between KCI and SSCI, we tried both BERTopic and Structural Topic Model. During this process, we had to make non-trivial decisions on pre-trained model and hyperparameters, and interpret meanings of clustered topics. To enhance the strengths of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for the sociological enterprise, we argue that classic methodological conundrums such as evaluating quality and type of data, choice of analytical toolkits, strategies for operationalization, aligning research question and methodology, and harnessing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method should be prioritized over the computational technique itself. 데이터과학에 기반한 지식사회학 연구는 어떤 과정으로 수행되는가? 이러한 접근의 강점은 무엇이며, 연구 과정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사안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데이터과학과 사회과학을 융합하는 시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실제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회과학 연구자들이 실질적으로 마주하게 될 어려움들을 소개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 노트는 저자들이 수행하고 있는 사회과학 지식장에 대한 비교사회학 연구를 사례로 하여 전산사회과학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의 암묵지를 드러내고, 이와 관련된 방법론적 시사점을 강조한다. 저자들의 지식사회학 연구는 KCI와 SSCI의 사회과학 논문들을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수집하고 정제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한국연구재단 데이터베이스와 OpenAlex 데이터베이스를 동일한 차원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전처리하는 과정 또한 필요했다. 한국과 국제 사회과학 학문장의 거시적, 미시적 관계성을 알아내기 위해 우리는 BERTopic과 STM을 모두 시도하며 더 설득력 있는 결과물을 얻어내기 위한 시행착오를 거쳤다. 이 과정에서 사전 훈련된 말뭉치의 선정, 토픽의 개수 지정, 토픽 뭉치의 의미 해석 등 방법론에 대한 연구자들의 선택과 반복이 필수적이었다. 즉, 전산사회과학의 사회학적인 응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코딩 테크닉 자체에 대한 고민뿐 아니라, 데이터, 분석 도구, 조작화 전략, 연구질문, 주장의 신뢰성과 한계에 대한 고찰 등 사회학자들이 오랫동안 천착해 온 방법론적인 질문들이 여전히 가장 중요한 것이다.

      • KCI등재

        안와 외향골절에서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한 안와의 용적측정과 안구함몰 정도와의 관계 비교

        전준,전경명,정태영,노웅재,권재환,김영호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9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2 No.10

        Background and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enophthalmos and the volume of herniated orbital tissue measured from computed tomography scan in the isolated blowout fractures of orbital wall. Subjects and Metho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100 patients with isolated blowout fractures were evaluated. We classified them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site of fracture (medial and inferior) and the presence of symptoms like diplopia and limitation of ocular motility, which needs an operation. The volume of orbit and herniated orbital tissue has been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scans using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technique, and the degree of enophthalmos was evaluated with Hertel’s ophthalmometer. We compared the volume from which we got from the computed tomography scan, the degree of enophthalmos and the presence of symptoms to figure out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groups. Results In the case of medial blowout fracture group, the volume of herniated orbital tissu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resence of symptoms and was in proportion to the extent of enophthalmos (p<0.05). The volume expansion of orbit associated with 2 mm of enophthalmos as calculated by the regression curve was 3.1 ml or 12.8 % in the no-symptoms groups. Finally, in the case of inferior blowout fracture group, there was no evidence of mutual rel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rgical intervention is required even though there isn’t any symptom for medial blowout fractures, especially when the orbit volume is more than 12.8%. In cases of inferior blowout fractures, a close follow-up is needed even though the extent of fracture is small.

      • KCI등재

        소음성 난청에서 이명의 주파수와 작업장 소음 주파수의 관계

        전준,전경명,고의경,이일우,조규섭,안정혁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5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relation betwen frequencies of noise and tinnitus in noise-induced hearing los and to elucidate mechanism of tinnitus in noise-induced hearing los. Materials and Methods:Four factories were selected, of which noise frequencies were diferent except one factory. Preliminary screning hearing test with a pure tone audiometer on 1000 and 4000 Hz was done. And if the hearing threshold was over 40 dB, history taking, otolo-gical examination, tympanometry, pure tone audiometry on 500, 1000, 2000, 4000, 6000 Hz were done. Noise was measured in 125, 250, 500, 1000, 2000, 4000, 8000 Hz. Tinitus was measured using 1000, 2000, 4000 Hz pure tone. Results:1) Hear-ing los was most severe in the 4000, 6000 Hz range. 2) In A factory, noise was most intense on 4000 Hz, in B factory on 2000 Hz, and in C and D factory on 1000 Hz. 3) Forty-three workers (42.2%) of total 102 subjects complained tinnitus. And frequency of tinnitus was 4000 Hz in 71 ears (89.9%) among 79 ears with tinnius. Conclusion:Regardles of the frequency -induced hearing los. 소음성 난청에 동반된 이명과 작업장 소음 주파수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소음성 난청에 동반된 이명의 병리기전을 알고자 소음작업장 4군데에서 1년 이상 근무한 102명을 대상으로 청력 및 이명 검사를 실시하였다. 작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10 Hz와 40 Hz의 순음청력검사로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병력청취, 임피던스 검사, 500, 1000, 2000, 4000, 6000 Hz의 순음청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명은 pitch-match 법으로 주파수를 조사하였다. 네 군데의 작업장에서 소음의 강도 및 주파수를 측정한 결과 10 Hz의 소음이 가장 심한 곳이 2군데, 20 Hz가 1군데, 40 Hz가 1군데이었다. 소음성 난청환자의 42.2%에서 이명이 동반되었으며, 이명의 주파수는 소음의 주파수와 관계없이 소음성 난청에서 청력손실이 가장 심한 4000 Hz이었다. 이는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소음성 난청에 동반한 이명이 소음에 의해서 손상된 외유모세포에서 유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