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 봉합 후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유용성

        전재균,김준범,이봉주,Chon, Jegyun,Kim, Jun-Beom,Lee, Bong-Ju 대한관절경학회 201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7 No.1

        목적: 슬관절 내측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적 봉합 수술을 시행한 후 유합 유무를 평가하기 위한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유용성에 대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을 봉합한 환자 중 술후 MRI와 관절경검사를 모두 시행하였던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검사와 MRI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술전 Lysholm knee score는 평균 56.4에서 평균 79.0으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는 8점에서 3점으로 호전되었다. 2차적 관절경 검사상 17예 모두 섬유화 재생 후 안정화된 소견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MRI 검사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을 시사하는 수직 직선 결함(cleft sign)은 술전후 모두 관찰되었고, 음영 손실(ghost sign)은 술전 10예에서 술후 9예, 방사선 직선 결함(radial linear defect) 소견은 술전 17예에서 술후는 15예에서 확인되었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비해부학적 위치에 봉합한 경우 술후 추시 MRI 검사는 유합 여부 판단에 유용하지 않았다. 유합 여부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관절경적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the usefulnes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or estimate recovery after arthroscopic pull-out repair at root tears of medial meniscus.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17 patients who examined MRI and arthroscopy among patients who had received repair of medial meniscus from November, 2007 to June, 2011. To determine restoration meniscus, we performed arthroscopy and MRI. Results: Lysholm knee scores before and after operation were average 56.4 and 79.0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was improved from 8 points to 3 points. From secondary look arthroscopy performed after operation, 17 cases showed stabilization after regeneration. However, In MRI, cleft sign implying root tears of medial meniscus was observed in all cases before and after operation, ghost sign was observed in 10 cases and 9 cases respectively, radial linear defect was showed 17 cases and 15 cases respectively. Conclusion: It was not useful that MRI after medial meniscus repair in non-anatomical site, to consider restoration of medial meniscus. To evaluate for recovery medial meniscus after repair more exactly, secondary arthroscopy would be required.

      • 연골판 주위 결절종으로 의심되었던 관절 외 연골판 주위 활액막 연골종 - 1례 보고 -

        전재균,선두훈,정현석,김영우,정재용,Chon, Je-Gyun,Sun, Doo-Hoon,Jeong, Hyeon-Seok,Kim, Young-Woo,Jung, Jae-Yong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3

        활액막 연골종이 관절 외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손 발 및 손목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대 관절 가운데 주로 슬 관절에 발생하며, 건막, 관절막, 및 점액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 원인은 특발성이며, 활막 세포가 연골 세포로 화성(metaplasia)에 의한다. 연골 단괴는 석회화가 진행되어 골화가 이루어지는데, 석회화 또는 골화가 이루어지기 전 단계에서는 단순 방사선 소견으로 진단이 어려워 MRI등의 검사가 필요하다. 저자는 크기가 크고 MRI 소견에서도 낭종과 유사한 소견을 보여 결절종으로 의심하여 수술하였던 관절 외 연골판 주위 활액막 연골종을 보고 한다. Extraarticular synovial chondromatosis is a very rare disease which affects the hands, feet, and wrists most commonly. In cases of involvement around large joints, the tissues around knee are usually involved. It arises from tendon sheath, capsular tissue and bursae. It is an idiopathic process in which the synovial cells undergo the metaplasia into cartilage cells. Chondroid matrix of the cartilaginous nodules calcify and ossify to be the osteochondroma. On simple radiograms before calcification and/or ossification of the chondroid tissues the cartilaginous nodules look normal on radiograms. Therefore MRI is needed to establish the diagnosis. We report a case of extraarticular pan-peri-meniscal synovial chondroma around right knee, initially suspected as a ganglion cyst which clinically mimicked a large rounded lesion or a cystic lesion on MRI.

      • KCI등재

        체인레스토랑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및 그 조절변수로서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전재균,이철우 대한관광경영학회 2000 觀光硏究 Vol.15 No.2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perform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CBs) and turnover intentio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tial impact of dimensions of OCBs (e.g., sportsmanship, civic virtue, conscientiousness, altruism) on the turnover intentions of low versus high performing restaurant employees.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 that OCBs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s of low performing employees than for high performing employees; and sportsmanship and conscientiousness are most critical of low performers, while civic virtue is critical for high performers. Many managers may be needleesly devoting resources to their entire employees instead of determining the employees they want to retain. Organization should begin to manage turnover strategically and selectively.

      • KCI등재
      • 자가 또는 동종 이식물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의 결과

        전재균,김의순,최보열,윤창훈,이정웅,선두훈,문명상,Chon Je-Gyun,Kim Eui-Soon,Choi Bo-Yeul,Yoon Chang-Hoon,Lee Jeong-Woung,Sun Doo-Hoon,Moon Myung-Sang 대한관절경학회 200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5 No.2

        목 적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로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임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추시상 후방 불안정의 재발 여부와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 및 동종 이식물을 이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본원에서 수술 치료한 총 34례의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환자 중에서 전외측 다발만을 관절경적으로 재건술을 시행하고 12개월 이상 최종 추시가 가능했던 25례 중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1례를 제외한 24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4례 중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군(11례),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I군(7례),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II군(6례)으로 하였다. 평가 방법은 24례 모두를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knee ligament standard evaluation form,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하여 세 집단을 비교하였으며 전 후방 안정도의 측정을 위해서 $KT-2000^{TM}$ knee ligament arthrometer MED metric, USA(KT-2000)를 사용하였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검정법을 이용하여 세 집단을 비교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 IKDC 최종 평가상 B(거의 정상)이상은 전체 24례 중 11례$(46\%)$로 만족스러운 결과는 아니었고, KT-2000으로 측정시 양측 비교하여 6mm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는 제 I군 4례$(36\%)$, 제 II군 2례$(29\%)$, 제 III군 2례$(33\%)$에서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다.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한 평가 결과는 제 I군이 평균 78점 (fair), 제 II군이 75점(fair), 제 III군이 76점(fair)이었다. 재료에 따른 각 군간의 객관적, 주관적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시 불안정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단독 손상을 제외하고는 관절경적 재건술이 보편화 되는 추세이나, 보다 정확한 수술 술기와 동반 손상에 대한 치밀한 치료 계획이 요구되며, 새로운 시도와 그에 따른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and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using BPTB(bone patellar tendon bone) autograft(Group I : 11 cases), Achilles tendon allograft(Group II : 7 cases) and BPTB allograft(Group 111.6 case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the result of 24 patients who had been managed with arthroscopic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graft materials such as BPTB autograft, Achilles tendon allograft and BPTB allograft. Twenty-four patients(average age, 37 years) with PCL rupture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more than one year(average, 31 months) after having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IKDC ligament standard evaluation form, using $KT-2000^{TM}$ knee ligament arthrometer and also evaluated Lysholm knee scoring scale. Results : The final evaluation was nearly normal in 11 patients($45\%$ in Group I, $43\%$ in Group II, $50\%$ in Group III). The corrected posterior sagging was abnormal(side to side difference more than 6mm) in 8 patients($36\%$ in Group I, $29\%$ in Group II, $33\%$ in Group III).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by IKDC scale. Conclusion : Comparing with other reports, our overall results were not satisfactory. And also, we could not find any remarkable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evaluate new surgical approaches as well as improved techniques for capsular and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Growth Hormone-secreting Pituitary Adenoma following Trans-sphenoidal Approach

        전재균,임영진,고준석,이봉암,김국기,김태성 대한신경외과학회 2004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6 No.4

        Objective : The results of gamma knife radiosurgery(GKRS) for growth hormone(GH)-secreting pituitary adenoma a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role of adjuvant GKRS for remnant or recurrent tumor following transsphenoidal approach(TSA). Methods : From March 1992 to December 2001, 20 patients treated by GKRS for GH-secreting pituitary adenoma following TSA were followed up more than 3 years and evaluated their symptomatic, hormonal and radiological changes after radiosurgery. Results : There were 6 men and 14 women and the mean age was 40.2 years (range 24 -58 years). The maximal dose was 32 to 60Gy (mean 46.2Gy) and the marginal dose was 12.8 to 36Gy (mean 25.5Gy). The mean follow-up time was 5.9 years (range 3-10years). Normalization of GH level (below 2ng/ml) was achieved in 10 of 20 patients (50.0%), and the normalization of IGF-I was in 8 of 15 patients (53.3%). On follow up MR imaging, the tumor control rate was 100% and the tumor volume reduction rate was 25~50% in 4 patients, 50~75% in 13 patients and 75~100% in 3 patients. Conclusion : In the treatment of GH-secreting pituitary adenoma, tumor control rate and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 show good outcome without major complication after adjuvant GKRS following TSA, though the rate of normalization of GH level is unsatisfactory. The optimal marginal dose for GH-secreting pituitary adenoma is more than 25Gy, and secondary GKRS can be considered in the failed cases to achieve effective hormonal normalization after the first adjuvant GK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