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심볼릭 인공지능을 위한 R 심볼릭 데이터분석

        전성해(Sunghae J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7 No.5

        컴퓨터와 인간은 분명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개념적 측면에서는 서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수집된 전체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컴퓨터와는 달리 인간은 요약된 패턴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인간은 전체 데이터를 다루기보다는 요약된 정보를 통해 최적의 의사결정을 한다. 전체 데이터보다 요약된 정보만을 관리하면 시간과 비용 면에서 더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빅데이터 환경에서 인공지능의 학습을 위한 대용량 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을 위하여 요약된 정보에 기반 한 데이터학습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요약된 정보에 기반 한 심볼릭 인공지능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축을 위하여 통계학의 심볼릭 데이터분석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대표적인 데이터언어인 R에서 제공하는 심볼릭 데이터분석 함수를 이용한 심볼릭 인공지능에 대한 방법을 소개한다. 제안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객관적인 기계학습 데이터 사례를 이용하였다. Computers and humans are different, but basically they have a similar structure in conceptual aspects of data storing and processing. However, unlike computers that process and analyze the entire data collected, humans process the data in a summarized pattern. In other words, humans make the best decisions through summarized information rather than whole data. By managing only summarized information, you can build a more efficient system in terms of time and cost.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learning from data based on summarized information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large amounts of data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in a big data environment. In this paper, symbolic data analysis of statistics is studied for efficient construction of symbolic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based on the information summarized in this way. We introduce a method for symbolic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symbolic data analysis functions provided by R data language.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objective machine learning data were used.

      • KCI등재

        브랜드 의인화 포지셔닝 유형이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사회적 유대와 지각된 권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성률 ( Jun Sung Youl ),김소라 ( Kim Sora ),박혜경 ( Park Hye Ky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6

        브랜드 의인화 전략(anthropomorphized brand)은 소비자가 브랜드를 단순하게 사물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 인간 대 인간의 관계와 유사한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상대로 인지시키는 전략이다. 이 전략은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질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강력한 관계를 유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고려되는 마케팅 전략 중 하나이다. 사회적 관계에는 동료관계, 상사와 부하관계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따라서 소비자와 의인화된 브랜드가 맺는 관계 역시 여러 유형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브랜드가 소비자의 ‘파트너’, 즉 함께 가치를 만들어 가는 수평적 관계를 맺는 존재로 포지셔닝 되는 경우와 소비자와 수직적 관계를 맺으며 소비자를 위해 가치를 만들어 제공해주는 ‘서번트’로 의인화되어 포지셔닝 되는 경우를 비교해 보았다. 소비자가 어떤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사회적 욕구의 결핍 혹은 부족을 지각했을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의인화된 브랜드가 인간의 대체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계를 수평적 관계와 수직적 관계로 구분하고, 각각의 관계에서 사회적 거리를 발생시키는 요인(사회적 유대의 부족과 지각된 권력의 부족)이 다르며, 그에 따라서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대체적 존재가 다를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수평적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이 부족한 경우에 소비자들은 파트너로 의인화된 브랜드를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반면 수직적 관계에서 지각된 권력의 부족을 인식하는 소비자들은 서번트로 의인화된 브랜드를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1에서는 소비자의 지각된 사회적 유대 정도에 따라서 파트너 및 서번트로 포지셔닝된 브랜드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2에서는 소비자의 지각된 권력 수준에 따른 파트너 및 서번트로 포지셔닝된 브랜드에 대한 평가를 비교·분석하였다. 예상한 대로, 사회적 유대의 부족을 지각한 소비자들은 사회적 유대가 충분한 경우 보다 파트너로 의인화된 브랜드를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브랜드-자아이미지 일치도가 높을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한편, 지각된 권력의 부족을 지각한 소비자들은 지각된 권력이 충분한 경우 보다 서번트로 포지셔닝된 브랜드를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 때 브랜드-자아이미지 일치도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브랜드 의인화의 유형을 밝히고 소비자의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욕구의 유형과 수준에 따라서 브랜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계를 규명하는데 기여하였다. 실무적으로는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브랜드 의인화 전략의 유용성을 보여주었고, 타겟 집단의 사회적 욕구의 유형에 따라 차별적인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 하였다. Brand anthropomorphism is one of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and consumers. When consumers anthropomorphize the brand, they tend to seem the brand as human not just as an object itself. So, they want to make the quasi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brand similar to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humans.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the colleague relationship,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so on. Similarly,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and an anthropomorphized brand. The current research focused on the two distinct types of consumer-anthropomorphized brand relationships: One is brand-as-partner relationship in which brands coproduce the benefits with consumers; and the other one is brand-as-servant relationship in which the brands make a commitment to create and provide the benefits with consumers. We expect that consumers would anthropomorphize brands for coping with the situations caused by social needs for social connection or perceived pow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horizontal and the hierarchical social relationship, and consumers may need different social needs - the social needs for social connection and the needs for the perceived power, and these needs have different effects on partner and servant brand evaluation, respectively. To test hypothese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Study1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ocial connection on the evaluation for brand-as partner and brand-as-servant. Study2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power on the evaluation for brand-as-partner and brand-as-servant. As expected, the participants in the low social connection condition tended to more positively evaluate brand-as-partner than those in the high social connection condition, and this effect is greater as the brand-self image congruence increases. In contrast, the participants in the low perceived power condition tended to more positively evaluate brand-as-servant than those in the high perceived power condition, a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brand-self image congruence. The present article academically contributes to the brand anthropomorphism by finding out the effects of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the magnitude of social relationship needs on the brand evaluation. It also provides the following managerial implications: the brand anthropomorphism is an useful strategy for increasing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argeting’s social needs types.

      • KCI등재

        인자점수와 자기조직화지도를 이용한 희소한 문서데이터의 군집화

        전성해(Sunghae J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2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2 No.2

        통계학과 기계학습의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문서집합을 군집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군집화분석에 적합한 데이터구조로 대상 문서집합을 변환해야 한다. 문서군집화를 위한 대표적인 구조가 문서-단어행렬이다. 각 문서에서 발생한 특정단어의 빈도값을 갖는 문서-단어행렬은 상당부분의 빈도값이 0인 희소성문제를 갖는다. 이 문제는 문서군집화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군집화결과의 성능감소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단어행렬의 희소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자분석을 통한 인자점수를 이용하였다. 즉, 문서-단어행렬을 문서-인자점수행렬로 바꾸어 문서군집화의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문서군집화 알고리즘은 자기조직화지도에 적용하여 문서-단어행렬과 문서-인자점수행렬에 대한 문서군집화의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The retrieved documents have to be transformed into proper data structure for the clustering algorithms of statistics and machine learning. A popular data structure for document clustering-term matrix. This matrix has the occurred frequency value of a term in each document. There is a sparsity problem in this matrix because most frequencies of the matrix are 0 values. This problem affects the clustering performance. The sparsensess of document-term matrix decrease the performance of clustering result. So, this research uses the factor score by factor analysis to solve the sparsity problem in document clustering. The document-term matrix is transformed to document-factor score matrix using factor scores in this paper. Also, the document-factor score matrix is used as input data for document clustering. To compare the clustering performances between document-term matrix and document-factor score matrix, this research applies two matrices to self organizing map (SOM) clustering.

      • KCI등재

        새정부의 금융정책: 평가와 과제

        전성인 ( Sung In Jun ) 한국금융연구원 2008 韓國經濟의 分析 Vol.14 No.1

        새정부의 금융정책은 금융산업을 “경제성장을 위한 첨병”으로 파악하고, 금융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략으로는 “규제완화”를 채택하고 있다. 대표적인 규제완화 대상으로 금융과 산업의 분리가 거론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의 완화 또는 단계적 폐지, 금융지주회사의 행위 제한 완화가 거론되고 있다. 새정부의 이러한 정책기조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다. 금산분리 규제의 완화와 관련하여 외국자본에 대한 내국자본의 역차별 주장은 법률적 사실과 배치되는 근거 없는 주장이고, 세계 유수의 대형은행은 모두 실질적으로 금산분리를 충족하고 있고, 미국의 최근의 추세는 그동안 산업자본이 소유 가능했던 유사은행인 산업대부회사(industrial loan company)에 대해서도 새롭게 산업자본의 소유를 금지하는 내용의 규제를 추가하려고 하고 있고, 산업은행 민영화는 자회사를 분리하여 매각하는 방식을 채택할 경우 금산분리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금산분리 원칙의 완화는 다른 부작용도 초래할 수 있다. 산업자본이 금융기관을 지배하고 금융기관이 다시 다른 산업자본을 지배하는 중층적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재벌체제하에서 금산분리의 완화는 자칫 재벌에게 왜곡된 구조를 연장시킬 잘못된 유인을 제공할 수 있다. 새정부는 즉흥적인 발상으로 금융정책을 입안, 집행할 것이 아니라 금융제도와 시장현실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전제로 정책을 펴야 한다. 특히 예외없는 집단소송제도의 도입,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에 따른 금융투자자 보호제도의 신설, 신용정보업법의 개정과 개인의 사생활 보호 등은 추가적 정책과제로 고려해야 한다. In designing the backbone of its financial policy, the new government regards financial industry as the “vanguard of economic growth” and recognizes financial deregulation as the necessary strategy. The most talked-about issue is the loosening of the separation of banking and commerce, its practical implementation being the allowance of commercial firm`s ownership interest in banks, and certain deregulation on the structure of financial holding company. We found the rational behind this policy is shaky at best. There are several grounds. The argument that domestic firms are discriminated vis-a-vis foreign counterparts is legally wrong; Almost every leading bank in the world is owned by non-commercial firms; The US is trying to introduce new regulation on industrial loan companies(ILCs), effectively preventing commercial firms from acquiring ILCs; Privatizing government owned enterprises can be carried out in a way which does not have to compromise the separation principle. Abandoning the separation principle can have other negative effects. The new policy may provide wrong incentive to Chaebol, encouraging it to carry on the current distorted group structure, where commercial firms controls financial firms which in turn control other commercial firm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 new government adopt a thoughtful policy, based on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financial institutions and market realities, rather than carry out ill-conceived policy out of one-dimensional motivation. Also it should look to other issues such as universal application of class action, protection of financial investors, and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the use of credit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of privacy.

      • KCI등재

        자기조직화 지도와 매트릭스분석을 이용한 특허분석시스템의 공백기술 예측

        전성해(Sunghae Jun),박상성(Sang-Sung Park),신영근(Young-Geun Shin),장동식(Dong-Sik Jang),정호석(HoSeok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2

        특허분석은 전 세계적으로 축적된 특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연구개발 전략에 필요한 지식을 추출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특허출원 결과를 분석하여 해당기술에 대한 기술동향과 전개과정을 파악하여 향후 개발될 기술에 대한 방향정립을 위하여 특허분석은 필요한 결과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허분석과 관련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기술 분류를 수행하고 관련된 국내특허와 미국특허, 그리고 IEEE 논문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특허분석시스템은 기술 분야의 특성상 특허출원뿐만 아니라 연구결과의 논문발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검색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검색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술 분류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다. 유효한 전체 특허와 논문을 대상으로 특허분석시스템에 필요한 공백기술을 찾아내기 위하여 매트릭스분석을 수행한다. 현재까지 등록된 특허분석시스템에 대한 기술발전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 필요한 특허분석시스템 관련 기술발전 방향도 제시한다. 통계적 검정과 자기조직화 지도를 이용하여 유효 특허와 논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국내특허, 미국특허, 그리고 논문 내에서 상대적으로 개발이 취약한 기술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도 함께 제시한다. Patent analysis is the extracting knowledge which is needed for the company's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 through accumulated worldwide patent database. In order to set the future direction of corresponding technology which is scheduled to be developed, the technology trends and deployment processes are identified by analyzing results of present patent applications. The patent analysis provides the required results for analyzing present patent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will carry out technology classification for related patent analysis methods and systems. Moreover we will investigate and analyze related domestic patents, U.S. patents and IEEE pape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sector, not only patents are applied but also research papers are released actively about patent analysis system. We will analyze patents according to the technology classification by using the final searching results which come from the selected search words in this study. To find necessary niche technology which is needed for patent analysis system, matrix analysis was performed to all of valid patents and papers. Identifying the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of registered patent analysis systems, and presenting the future direc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which is related to patent analysis system. To figure out the technology which is developed relatively weak based on domestic patents, U.S patent and research papers by analyzing the valid patents and papers with statistical test and self-organizing map quantitatively. Then, presenting the necessity of this technology development.

      • KCI등재

        근접병설터널에서 필라부 안전율 평가를 위한 강도감소법의 적용성 연구

        전성권(Sung-Kwon Jun),윤동호(Dong-Ho Yoon),송재준(Jae-Joon Song),김세형(Se Hyung Kim) 한국암반공학회 2019 터널과지하공간 Vol.29 No.5

        근접병설터널에서 필라의 안정성을 평가할 때, 필라 폭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의 국부안전율(강도/응력비)을 조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FEM 응력해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부안전율이 1.0 이하인 경우는 필라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장볼트 등의 보강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부안전율은 필라폭/터널반경(PW/D)의 변화와 무관하게 일정한 값을 보이고 있으며 인장볼트의 프리스트레싱 도입 시에도 축차응력의 변화가 크지 않아 상대적으로 필라의 안전율을 과소평가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Hoek and Brown(1980)이 제안한 평균안전율을 검토하였으나 상대적으로 필라폭의 크기가 커질 경우 필라의 안전율을 과대평가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강도 감소법을 이용한 SRM 안전율을 도입하여 필라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필라폭/터널반경 변화에 따른 무보강 및 인장볼트 보강효과가 잘 반영됨을 알 수 있었으며 파괴형상 또한 기존 극한 이론의 검토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장볼트의 보강효과를 구별하기 위해 록볼트 및 숏크리트를 고려하지 않고 안전율을 평가하였다. When evaluating pillar stability in very closely spaced tunnels, a local safety factor (strength/stress ratio) at the minimum width has been widely used. Tension bolts have been frequently applied as reinforcement for the cases where safety factors are less than 1.0 from FEM stress analysis. However, the local safety factor shows a constant value irrespective of the change in pillar width/tunnel diameter (PW/D) and the safety factor of the pillar is underestimated because the variation of deviation stress is relatively small even when the pre-stressing is applied to the tension bolt. In addition, the average safety factor proposed by Hoek and Brown(1980) was reviewed, but the pillar safety factor was relatively overestimated when the width of the pillar was increased. As an alternative, the SRM safety factor using shear strength reduction method shows the effect of changing the safety factor in the case of no reinforcement and tension bolt reinforcement as the pillar width/tunnel diameter(PW/D) changes. The failure shape is also similar to the previous limit theory result. In this study, the safety factor was evaluated without considering rock bolt and shotcrete to distinguish reinforcing effect of tension bolt.

      • KCI등재

        희소성 메시지의 유형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전성률(Sung Youl Jun),김헌동(Heon Dong Kim),허종호(Jong Ho Huh) 한국마케팅학회 2004 마케팅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희소성 메시지가 가지는 역할의 중요성에 연구범위를 한정시켰던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희소성 메시지의 유형이 상대적으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2 X 2 X 2 집단간 실험설계(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을 적용하여 희소성 메시지의 유형(수량한정/시간한정)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 브랜드 컨셉 유형(상징적 컨셉/기능적 컨셉)과 구매채널 유형(온라인 채널/오프라인 채널)이 이러한 주효과의 조절변수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총 8가지의 실험상황이 만들어졌으며, 본 조사에 앞서 실험대상 제품 및 브랜드 선정을 위한 예비조사가 행해졌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시간한정 메시지에 비해 타인과의 경쟁심리를 부추기는 수량한정 메시지일 경우 더욱 커진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촉진시키는 희소성 메시지로 시간한정 메시지에 비해 수량한정 메시지가 보다 유용한 메시지 표현방식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수량한정 메시지와 시간한정 메시지를 동시에 소구하는 겨웅 역시 시간한정 메시지보다는 수량한정 메시지에 초점을 맞춰 소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희소성 메시지 유형과 브랜드 컨셉 유형간에 높은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수량한정 메시지와 시간한정 메시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차이는 기능적 컨셉이 강한 브랜드에 비해 상징적 컨셉이 강한 브랜드일 경우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는 자사가 보유한 브랜드의 컨셉 유형에 따라 소구되어야 할 희소성 메시지 유형이 달라져야 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특히 상징적 컨셉이 강한 브랜드의 경우에는 가급적 시간한정 메시지를 배제한 채 수량한정 메시지만으로 소구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희소성 메시지 유형과 구매채널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방향성은 지지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구매채널 유형의 조절적 역할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investgates different types of scarcity messages and their differential influence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while existing research on scarcity message has minly focused on the role or impact of scarcity message itself. Specifically, using 2 × 2 × 2 between-subjects experiments, we examine the effects of time vs. quantity scarcity messages on consumer purchase decisions. Two other variables are also studied as moderators to such effects: brand concept(functional vs. symbolic) and purchase channel(on-line vs. off-he). The results show that quantity scarcity messages have greater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an time scarcity messages since quantity scarcity is more effective for provoking competition among consumer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 of scarcity message and brand concept. That is. the differential impacts of quantity scarcity message versus time scarcity message are enhanced when the advertised brand has a symbolic concept versus functional concept. This result indicates that different types of scarcity messages need to be employed for different brand concepts. The moderating effect of purchase channel, however, turns out to be not &cant although its effect is directionally sup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