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흡기질환 환자에서 분리한 Mycoplasma pneumoniae의 Quinolone계와 Macrolide계 항생물질에 대한 다제 저항성

        전성곤,장명웅,Jun, Sung-Gon,Chang, Myung-Woong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3

        호흡기질환 환자의 상기도 도말물로 부터 분리 동정된 M. pneumoniae 116균주의 moxifloxacin, levofloxacin, sparfloxacin, ofloxacin, ciprofloxacin, clarithromycin minocycline, erythromycin, josamycin, and tetracycline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항생물질에 대한 저항성 균주의 기준은 $MIC{\pm}1.0$ ${\mu}g/ml$ 로 하였으며, 초기 MIC와 최종 MIC를 구분하여 다제 저항성 균주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초기 MIC의 결과로 분리된 균주의 단일 약제에 대한 저항성은 ciprofloxacin이 79.3%, ofloxacin이 53.5%, clarithromycin이 10.3%, erythromycin이 7.8%이었으며, 2가지 약제에 저항성은 ofloxacin과 ciprofloxacin이 42.2%, ciprofloracin과 clarithromycin이 9.5%이었으며, 3가지 약제에 저항성은 erythromycin, ofloxacin과 ciprofloxacin이 6.9%, ofloxacin, ciprofloxacin과 clarithromycin이 6.0%이었다. 최종 MIC의 결과로 분리균의 단일 약제에 대한 저항성은 tetracycline, ciprofloxacin, ofloxacin이 각각 91.4%, minocycline이 89.7%, erythromycin이 68.1%, josamycin이 52.6%, clarithromycin이 28.5%, sparfloxacin이 11.2%이었으며, 2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의 분포는 $20.7{\sim}91.4%$, 3가지약제에 저항성인 규의 분포는 &28.5{\sim}89.7%$, 4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의 분포는 2.6%, 5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은 $2.6{\sim}21.6%$, 6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은 $0.9{\sim}24.1%$이었으며, 7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은 $0.9{\sim}2.6%$이었으며, 8종류 약제에 저항성인 균도 1.7%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국내에서 분리된 M. pneumoniae 균주는 적게는 1-4 종류의 항생제에, 많게는 5-8 종류의 항생제에 저항성인 균주가 있으므로 마이코플라스마폐렴 환자를 치료할때는 macrolide계나 quinolone계의 항생제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가급적이면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함으로써 저항성균의 출현율을 줄일 수 있고 효율적인 치료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of the 116 strains of Mycoplasma pneumoniae isolates were performed by a broth micro-dilution method against to moxifloxacin, levofloxacin, sparfloxacin, ofloxacin, ciprofloxacin, clarithromycin minocycline, erythromycin, josamycin, and tetracycline. The initial-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I-MIC) was evaluated as the lowest concentration of antimicrobial agents that prevented a color change in the medium at that time when the drug-free growth control, about 7 days after incubation, and the final-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F-MIC) was defined a color change about 14 days after incubation. The evaluation to the drug-resistant M. pneumoniae isolates were determined the $MIC{\pm}1.0$ ${\mu}g/ml$ of each antimicrobial agent. According to the I-MIC, single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to ciprofloxacin, ofloxacin, clarithromycin and erythromycin were 79.3, 53.5, 10.3, and 7.8%, respectively. Two kinds of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to ofloxacin and ciprofloxacin, or ciprofloxacin and clarithromycin were 42.2 and 9.5%. Three kinds of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to erythromycin, ofloxacin, and ciprofloxacin, or ofloxacin, ciprofloxacin and clarithromycin were 6.9 and 6.0% . According to the F-MIC, single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to tetracycline, ciprofloxacin, ofloxacin, minocycline,erythromycin, josamycin, clarithromycin and sparfloxacin were 91.4, 91.4, 91.4, 89.7, 68.1, 52.6, 28.5, and 11.2%,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two kinds of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were from 20.7% to 91.4%, three kinds of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were from 28.5% to 89.7%, four kinds of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were 2.6%, five kinds of drug-resistant M. pneumoniae were from 2.6% to 21.6%, six kinds of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were from 0.9% to 24.1%, seven kinds of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were from 0.9% to 2.6%, and eight kinds of drug-resistant M. pneumoniae strains were 1.7%.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arfloxacin, moxifloxacin and levofloxacin might be promising antimicrobi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M. pneumoniae infection in Korea. However, most strains of M. pneumoniae isolates were single or multi-resistance pattern to the other tested antimicrobial agents. Therefore, tetracycline, minocycline, erythromycin, clarithromycin, and second-generation quinolones are more carefully used to patients with M. pneumoniae infection in Korea.

      • KCI등재

        일본의 스기모리 고지로가 남긴 ‘좌우 전체주의’-해럴드 래스키의 ‘양면적 비판’과 독립국가론-

        전성곤 ( Jun Sungk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1 No.-

        전후 일본에서는 해럴드 래스키의 이론이 ‘신생(新生) 일본’을 구상하는 데 활용되었다. 마루야마 마사오는 래스키가 민주주의자의 입장이었지만, 민주주의를 비판함과 동시에 ‘비판받은 민주주의’를 통해 사회주의를 비판하며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둘 다 넘어서고자 했다고 해석했다. 한편 스즈키 야스조는 래스키의 이론 중 개인의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전전 일본을 비판하는 데 활용했다. 이러한 가운데 스기모리 고지로는 마루야마 마사오와 스즈키 야스조와는 또 다른 입장에서 래스키를 활용하여 ‘일본의 독립론’을 구축했다. 본 논고에서는 삼중주의 래스키 수용 중 그동안 거론되지 않은 스기모리 고지로의 래스키 수용과 활용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래스키는 ‘서구’ 사회의 역사발전 과정에서 자유주의가 형성되는 논리를 설명했다. 래스키는 영국의 사례를 통해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양쪽이 가진 자유의 제한성이라는 공통점을 제시했다. 즉 래스키는 자유 개념을 통해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모두 비판한 것이다. 특히 종교의 특성을 제시하면서 종교가 사회생활을 균질화한 것을 비판했고, 그것을 기준으로 하는 일상생활이 가진 비자유성을 비판하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스기모리 고지로는 이것을 전전 일본이 비주체적으로 세계적 흐름을 추종하면서 파시즘 국가를 만들게 된 점을 비판적으로 보는 데 활용한다. 이 부분은 스즈키 야스조와 유사했다. 그리고 마루야마가 해석한 것처럼 스기모리 고지로 또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양쪽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여 이번에는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충돌 원인이 내셔널리즘에 있다고 보고, 지배자 쪽의 내셔널리즘뿐만 아니라 피지배자의 내셔널리즘을 동시에 비판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게 된다. 스기모리는 그것을 객관화하면서 일본이 그 역할을 주도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래스키의 이론은 전후 일본이 내셔널리즘을 재구성하는 데 활용되었고, 새로운 시대의 개척 논리로서 과학주의를 접목시키며 세계적 공헌을 주장하는 논리가 정당화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전전의 제국주의에 대한 기억을 희석시키는 ‘액상화’ 작업이었다. In 1950s Japan, Harold Laski’s theory had a decisive meaning in reconstructing postwar Japan. Maruyama Masao interpreted that although Laski was a democrat, he also tried to overcome both democracy and socialism by criticizing democracy and, at the same time criticizing socialism through ‘criticized democracy.’ On the other hand, Suzuki Yasuzo explained the emphasis on individual freedom from Laski’s theory. Sugimori Kojiro took a different position from Maruyama Masao and Suzuki Yasuzo and advocated Japan’s postwar independence using Laski’s theory. Therefore, to prove this assertion, this paper first explained Laski’s logic of how liberalism was formed dur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Western’ society. Laski suggested the limitations of freedom in both democracy and socialism through Britain as an example. That is, he criticized both democracy and socialism through the concept of freedom. In particular, he criticized religion for homogenizing social life while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n, and the non-freedom of everyday life based on it. According to Sugimori Kojiro, Japan’s defeat in the war was due to the lack of such criticism,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a fascist state buried in the global trend. This idea was similar to Suzuki Yasuzo’s logic. Also, as interpreted by Maruyama Masao, Sugimori argued for Japan’s new independence by criticizing both the nationalism of the rulers and the ruled inherent in the problems of imperialism through reusing criticism of both democracy and socialism. As such, Laski’s theory, which was popular in the 1950s, was used to reconstruct nationalism in postwar Japan, and paved the way to justify the logic of claiming global contribution by incorporating scientism as the logic of pioneering a new era. This in turn would establish a foundation to dilute the memories of imperialism before the war.

      • KCI등재

        『기기(記紀)』 신화 텍스트와 바리언트(variant) 창출 사이에서

        전성곤(Jun, Sung-ko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29 No.-

        메이지기(明治期) 일본에서 새롭게 생겨난 신화비판 이론을 활용하며, ?기기(記紀)?신화를 재구성하는 인물 중에 기타 사다키치(喜田貞吉)가 있었다. 기타는 문헌학적인 역사학 비판이론과도 거리를 두었고, 비과학적이라는 비판과도 거리를 두는 독특한 위치에서 ‘신화’를 비판했다. 기타는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 그 자체를 텍스트로 삼아 해석하고 ‘원텍스트’를 해독하는 작업에서 출발했다. 먼저 모토오리나 히라타 아쓰타네(平田)의 신화해석을 재구성하기 위해 ?고서(古書)?자체를 비교분석했다. 기타는 『고사기』와 『일본서기』그리고 각 지역에서 발행한 『풍토기』를 비교하면서, 공통내용을 도출했다. 그것이 바로 종합적 신화해석 도출 방식이었다. 기타는 과거 신화해석을 상대화하면서 종합적이고 객관적 시선이라고 믿는 『기기』신화를 재텍스트화 했다. 그 과정에서 다양성의 원신화들이 호명되고, 메이지 천황국가의 논리들 사이에서 강조될 필요가 있었던 내부의 타자를 총체적으로 해석하는 컨텍스트 속에서 단일화되고 독자화 되어 갔다. 이인종인 구마소를 재해석하고, 이들 인종들이 야마토타케루에 의해 정복되는 역사를 재구성하고, 이는 혼효민족론으로 치환하면서 민족국가의 위엄을 황통과 연결시켰다. 그것은 바로 『기기』신화에 나오는 아마쓰카미와 구니쓰카미 문제를 인종문제로 풀어냈고, 신무동정을 해석해 낸 것이다. 기타의 신화 해석은 이인종 문제를 해결하며, 신무천황의 황위(皇威)를 증명하는 이론이 되었다. 다양성을 일원화하면서 텍스트가 가진 바리언트를 통해 기타만의 일원적 신화를 구축한 위험성을 가진 ‘텍스트’ 해석이었던 것이다. Points out that the Sokichi Tsuda began to gaze out the critical new from existing theory myth. Of course, It is not to criticize it, it was an attempt to break away from the theory of myth existing from a position to criticize the theory of myth in the person of another is Sadakichi Kida. However, rather than the meaning of the word criticism they represent, and for negative myth existing here, we are including you mean reconfiguration of mythology. Therefore, among the atmosphere, the context that is such Kita, began to work to re-configure the myth artificially. Called Anthropology, archeology which is a study around the theory of text reconstruction was added is empirical, was the line of sight as the modern way one there. Refer to the old book, to a Motoori Hirata to restore the text original myth left first, Kita, an attempt was made to re-interpretation. In this paper, do not be aware of the risk of restructuring of hegemony that into text again the text has to have the Kida text mythology.

      • KCI등재

        ‘심율(心律)’로서 동정(同情)공동체와 ‘국민주의’

        전성곤 ( Jun Sung K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2

        본 글에서는 근대 일본의 ‘국민주의’를 만든 감정적 기원으로서 동정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감정의 정치화(定置化)라는 의미에서 ‘마음의 규율=심율’(마음<心>+법칙<律>)화로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당시 서구의 유행담론 중 하나였던 동정의 의미들과 그것을 메이지기 일본에서 수용하는 과정에서 형성한 ‘스노비시(snobbish, 우월성)’로서 동정공동체라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즉 일본에서는 인간의 자율적 감성의 하나인 동정개념을 자아와 타자의 문턱을 넘고 가족공동체와 천황제 국가주의로 변용해 가는 프로세스 속에서 어떤 억압이 작동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는 역설적으로 일본의 가족공동체 논리가 국민의 감정을 지배한 개념으로서 동정이 동원되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동정의 확장개념으로 만들어진 동정공동체는 결국 천황의 일시동인(一視同仁)이라는 절대공동체로 치환되어 국민의 감정을 포섭하여 억압의 기제로 사용되었음이 드러났다. 본고에서는 이를 규명하기 위해 첫째, 일본이 서구로부터 동정개념을 수용할 때 중시된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동정논리를 살펴보았다. 당시 서구에서 파퓰러 메모리였던 동정개념을 둘러싸고 ‘타자의 이해 가능성/불가능성’에 대한 논쟁을 벌이고 있었는데, 그 논쟁 내용을 상세히 검토해보았다. 둘째, 이를 근거로 일본에서는 야마지 아이잔과 이노우에 데쓰지로가 동정개념을 어떻게 수용했는지를 고찰했다. 야마지 아이잔은 기독교를 수용하고 개인의 자율성을 위해 ‘동정’과 공고(共苦) 영웅을 연결시켰다. 그리고 서구와 동양의 이분법을 넘어 ‘인간’에 초점을 맞춰 ‘서구와 동양을 넘는 인간성’을 설명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그리고 사회주의를 국가 사회주의라는 특수성ㆍ보편성 논리를 통해 계급의 평등을 주장하는 동정공동체를 제창하고 그 정점으로 천황의 자애를 설파했다. 이노우에 데쓰지로는 야마지 아이잔과는 달리 불교를 통해 인간의 보편성을 설명하고 동정공동체의 논리를 동서일원론으로 설명하는 방식을 취했다는 점을 밝혀냈다. 셋째는 이를 통해 가족공동체를 지탱하는 동정개념 안에서 도덕이나 윤리의 언사가 인간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독자적 개별성을 무너뜨리며 가족공동체가 정당성을 획득하는 논리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이상주의적 ‘동정=도덕=공동체’는 무제약성을 갖는 것이며 반대로 그로 인해 ‘자타분리’의 의식을 소거하는 과정이었음이 드러났다. 이에 반대하는 사상은 통제하고 배제하면서 자율적 감성의식을 억압하게 만들었다. 동정개념은 결국 일본 인민 대중의 자발적 복종을 강요했으며 사회주의적 균질성을 완성하는 상징으로서 천황국가의 제도(법률적 위치)를 넘어 ‘심성’을 지배하는 정당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동정공동체 논리는 국가의 이해(利害)가 우선시되었고 개인의 감정세계를 컨트롤하기 위한 감성 인과율로서 동정개념을 국민에게 주입시켜 천황이 가진 ‘순도성=숭고함’이라는 후광을 밝히기 위해 자율성을 어둠 속에 갇히게 만들었음을 보여주었다. In this discussion, modern Japan’s nationalism is regarded as a “politicized emotional community,” and the discussion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politicizing the mind precepts. In particular, this discussion aims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sympathy, which was a popular discourse in the West, as well as the “snobbishness,” which is the concept of sympathy formed as the concept of sympathy was accepted. The reason is that in Japan, the concept of sympathy, which is one of the emotions, led to the creation of a community that suppressed individual entities as it expanded to be applied to a family community and the Emperor system nationalism. Paradoxically, this shows that the Japanese logic of a family community employed sympathy, an emotion that ruled the people’s emotions. This discussion will reveal that the sympathy community that was created as the expansion of sympathy was replaced with the Japanese emperor’s fair love for everyone and became a mechanism that included and suppressed the people’s emotions. To prove this, this discussion will examine the logic of sympathy by Schopenhauer and Nietzsche, which was valued when Japan accepted the concept of sympathy from the West. There were arguments over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to understand others” about the concept of sympathy, which was a popular memory in the West, and these arguments will be reviewed. Second, this discussion will examine how the concept of sympathy was accepted by Yamaji Aizan (山路愛山) and Inoue Tetsujirō (井上哲次郎) in Japan. Yamaji Aizan accepted Christianity and sought to connect “sympathy” to a “hero” for individuals’ autonomy, and suggested a way to explain “humanity that transcends the boundary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with the focus on “humans” beyond the East-West dichotomy. Third, socialism was advocated as a “sympathy community”, which argued for “equality between classes” based on the logic of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benevolence of the emperor at the apex is explained. Unlike Yamaji Aizan, Inoue Tetsujirō explained the universality of humans based on Buddhism and suggested a way to explain the logic of a sympathetic community using the East-West monism. This will make the words of morality and ethics destroy independent individuality, which exists between persons, in the logic of the concept of sympathy that supports a family community, and family community gain legitimacy through the logic of the unity of the self and the others. This will, in turn, explain how the concept of sympathy expands indefinitely to the words conveying the emperor’s way at the apex and obtains mental “symbolism.” In conclusion, this discussion will reveal that this idealistic formula “Sympathy = Morality = Community” has no limits and conversely, but it was a process of elimina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separation of the self and the others.” Thoughts opposing the formula were controlled and excluded while people were made to suppress the consciousness of autonomous emotions. The concept of sympathy forced the public of Japan to be voluntarily obedient and gained the legitimacy to rule “sympathy” beyond the system (legal position) of the emperor’s state as a symbol to complete the socialistic homogeneity. A sympathy community supported by sympathy discourse puts the state’s interests first and began from the concept of sympathy, which was imported from the West and voluntarily accepted in Japan. This shows that sympathy, as the principle of causality to control individuals’ emotions, was infused into the people and the autonomy was locked in to give a halo to the idea that the emperor’s purity constitutes nobility.

      • KCI등재

        일본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사관(史觀)’과 주체성

        전성곤(Jun, Sung-Kon) 대한일어일문학회 2021 일어일문학 Vol.89 No.-

        In the history of historical studies in Japan, ‘positivist historical studies’ and ‘Marxist historical stud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otalizing the historical views. It was an interaction between positivist and Marxist historical studies, which has served a pivotal function in standardizing the periodization in terms of Japan’s theories of the state and historical studies across the pre- and post-war periods. For such reasons, it would be indispensable to analyze the logic behind the interpretations of ancient history among positivist and Marxist historians, in order to take a closer look at Japan’s interpretations about the theories of the state and ancient history and its views on neighboring countries. Description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is study dealt with the ‘interpretations of myths’ by Naga Michiyo, Shiratori Kurakichi, Miura Shuko, Kume Kunitake, and Tsuda Sokichi, all of whom were Japan’s positivist historians in the Meiji era, and their perceptions about Japan’s neighboring countries. They were regarded as progressive historians in that they overcame the fictionality of previous studies and explained the formation of an ancient state. Second, this study clarified the logic behind Marxist historians’ views on such pre-war interpretations of ancient history and identified the elements acting on the logic. To this end, the pre-war positivist historians’ views on ancient history were examined and analyzed focusing on Kuroita Katsumi and Shiratori Kurakichi, who were the major pre-war positivist historians, and Sakamoto Taro, who was influenced by Tsuda Sokichi. In addition, Inoue Mitsusada, who was influenced by Sakamoto Taro, and Saheki Arikiyo, who succeeded the thought of Naga Michiyo, were also subject to the analysis. Furthermore, through the theory on distinct characteristics of Japan by Ishimoda Tadashi, Watanabe Yoshimichi, and Toma Seita, who were known as the “A course of study Group” and involved themselves in the theory of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of Marxist historical studies, i.e., the theory on Asian stagnation and the theory on development stage of ancient history, the birth of the methodology for periodization of ancient, medieval, and modern times was explored. Third, the matter of Marxism acceptance is connected to materialistic and humanistic views of history. Teichi Kawai and Yasuma Takada stood for materialistic and humanistic approaches, respectively. Yet, this follows the logic of Adam Schaff who already interpreted Marxism as a human philosophy in the West and Louis Pierre Althusser who approached Marxism from a standpoint of materialism. The materialistic and humanistic views of history which have repeatedly emerged in Japan are interpreted as the combination of the ambivalence of ‘anthropology and science,’ as perceived by Antonio Gramsci. Historical studies are a way to gain grasp of history by ‘awakening oneself’ and an emphasis is made on the historical studies in the aspect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meanings.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history is related to linking the logic to break away from subordination to the U.S. imperialism in post-war Japan to the reflection of the logic for subordination to justify pre-war Japan’s colonial rule. Further, it was developed to an approach towards postcoloniality in an attempt to reorganize the world-history studies accepted by the West into the discourse 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within Japan.

      • KCI등재

        ‘민족 개념’의 정형화와 ‘다언어=탈배제성’의 문제 - 카우츠키, 레너, 바우어, 스탈린을 중심으로

        전성곤 ( Jun Sungkon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3 No.-

        전후 일본에서 스탈린의 민족 이론이 유행하게 되는데, 그것은 스탈린의 민족개념을 일본에 대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사실 스탈린의 민족이론은 동유럽에서 진행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만들어졌고, 민족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카우츠키, 레너, 바우어가 커다란 역할을 담당했었다. 본론에서는 마르크스주의자 중 최초로 민족 이론을 제시한 카우츠키의 민족 개념 형성 과정을 검토했다. 카우츠키는 해머의 논문을 통해 민족은 근대 부르주아의 이데올로기와 연결되어 있음을 학습했다. 그러나 해머와 반대로 카우츠키는 민족 개념은 ‘부르주아 민족’이 아니라 ‘프롤레타리아 민족’을 중시했다. 또한 언어가 민족을 구분하게 했으며, 언어가 민족을 형성할 수 있는 매개물이 된다는 점을 중시했다. 이를 근거로 카우츠키는 민족=언어공동체를 만들어냈다. 카우츠키 이후 레너와 바우어 역시 민족은 자본주의 발달 과정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볼크(volk)에서 나치온(nation)으로 변용되는 과정에서 민족이론이 구축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레너는 민족공동체에 대해서는 거리를 두었다. 바우어는 심리적 문화공동체론을 제시했고 이 공동체의 중추적 역할로서 언어를 강조했다. 바우어는 카우츠키와 마찬가지로 민족의 중심을 시민에게 두고, 노동자계급이 포함되는 공동체론을 주장했다. 그러나 국제화를 중시한 카우츠키와 민족문화를 중시하는 레너와 바우어의 입장은 대립적이었다. 이러한 시기에 스탈린은 레너와 바우어를 비판하면서 카우츠키를 계승하여 총체적으로 언어, 지역, 경제, 생활문화의 심리를 민족 개념으로 정의했다. 동유럽에서 발생하고 출현한 ‘민족 개념’이 확산되어 스탈린의 민족 이론이 정형화되었던 것이며, 언어 국제주의가 탈배제성을 담아낼 수 있다는 논리로 재구성되었음이 드러났다. As Stalin’s theory of the nation became widespread in postwar Japan, the theory was developed in a way of applying Stalin’s concept of the nation to Japan’s context. But the fact is that Stalin’s theory of the nation was created in the temporal context originated from Eastern Europe, and Kautsky, Renner, and Bauer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the nation. Kautsk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ce and nation through Hamer’s thesis and learned that the nation is related with the ideology of the modern bourgeoisie. Kautsky’s concept of the nation was formed when capitalism was being developed, and this concept of the nation put emphasis on the civic nation that values the proletariat, rather than the “bourgeois nation.” Based on this, Kautsky came upwith the idea that a nation equals a community of language. In addition to Kautsky, Renner and Bauer also considered that a nation was built in the history of the capitalist development. And they pointed out that the theory of the nation was established while the concept of “volk” was transformed into “nation.” However, while Renner put importance on the nation, he distanced himself from the national community. Bauer argued for the theory of cultural community including the working class, with an emphasis on citizens as the core of the nation, as Kautsky did. However, the position of Kautsky, who valued internationalization, was in confrontation with Renner and Bauer, who emphasized national culture. Stalin also explained that language plays an important part in the concept of the nation. While criticizing Renner and Bauer, Stalin succeeded Kautsky and defined the psychology of languages, region, economy, and living culture on the whole as the concept of the nation. As such, it was revealed that Stalin’s theory of the nation was conceived based on the “concept of the nation” that appeared in Eastern Europe, and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ies and the theory of the nation.

      • KCI등재

        종교의 “폭력”과 “탈종교”의 폭력-오카와 슈메이의 “도의(道義) 천황론”-

        전성곤 ( Sung Kon Ju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1 No.-

        본 논고에서는 일본의 ‘우익’ 사상가로 알려진 오카와 슈메이(大川周明)의 종교사상이 가진 특징을 밝히려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오카와 슈메이가 사상적으로 영향을 받은 도회(道會)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도회는 마쓰무라 가이세키(松村介石)가 서구 기독교를 접하면서 종교 일반이 가진 ‘의례’ 중시가 아니라 종교에 내포된 ‘진리’를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설립한 신종교 단체였다. 그것은 서구나 동양의 종교적 관념을 넘는다는 동서융합을 의식한 것이고, 일본 내부에서 생겨난 구종(舊宗), 신종(新宗)의 개별적 종파(宗派)를 넘는 ‘신앙심과 진리’를 도의(道義, Dogi)라고 표현했고, 그 도의를 <공통, 보편>으로 제시하면서 출발했다. 다시 말하면 신을 믿는 인간의 마음은 동양이나 서양에 상관없이 모든 인간의 의식 속에 존재하는 것인데, 그러한 의식의 발현이 ‘도의’라고 명명한 것이었다. 마쓰무라 가이세키가 주장하는 이러한 도의를 오카와 슈메이는 공감하면서 도회에 참가했다. 오카와 슈메이 또한 종교적 파벌의 차이는 본질적인 의미를 갖지 않고, 모든 인간에게 공통된 의식의 발현에 가탁한 ‘진리적 종교’로서의 신종교를 정의했다. 오카와는 이러한 신종교를 세계적 ‘종교혁명’시대라는 시대적 조류와 연결시켜서 ‘서구의 릴리전(religion)’과도 공통적인 ‘보편종교’로 치환시켜 나간다. 특히 ‘진리적 종교’에 대한 답을 오카와 슈메이는 고대로부터 일본에 존재하던 서민적 종교 믿음이나 신앙(信仰)이 가진 생활 속에 나타난 것에서 찾았다. 오카와 슈메이는 신(神)을 믿는 다는 의식이 일본의 원시적 시대에 존재했던 ‘믿음’이라고 확인하고, 가장 오래된 것이 현재에 가장 새로운 것이라는 논법을 제시하며, 일본이 고대부터 믿어 온 신앙심과 천황을 다시 호명해 왔다. 서구의 기독교가 우주에 초월하는 것이라면, 일본의 신앙심은 생활에 내포된 생명의 힘이라고 간주하면서 ‘실질성’을 확보했다. 그리고 그것은 고래로부터 일본에 전해지는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에 대한 믿음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을 믿는 신앙심은 다시 충(忠)과 효(孝)를 연결하는 논리로 비약되었다. 충효는 곧바로 도(道)였고, 종교의 본질 논리인 ‘자기 생명의 본원’을 경(敬)하는 의미에서 충효가 공통적이며 이것이야말로 바로 국가를 믿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도, 충효, 생명을 연계시켜 통합적인 도의를 의미화 했고 이는 바로 국가 귀일의 논리라며 국가 통합 이데올로기로 이들을 승화시켰다. 그것은 기독교가 인간의 내면을 지배하는 ‘폭력’적이라는 견해에서 출발하여 탈기독교=탈폭력화를 지향하는 ‘탈서구주의’를 의식했지만, 인간 본연의 신앙심과 일본국가=천황제라는 ‘천황환원주의 종교적’ 폭력이 갖는 환원주의는 자각하지 못하면서 만들어낸 ‘탈종교의 폭력’이었던 것이다. Okawa Syumei entered the Japanese Church where Matsumura Gaiseki had established. Moreover, he actively worked at ‘Dokai’ where Matsmura Gaiseki had organized. Matsumura Gaiseki understood the center of the religion is not in ‘formality’ but in ‘truth’. That is, each religion overcomes denominations, east and west, and ‘Dogi(道義)’, which is the logic of ‘ believing in God and seek for truth’ is commonly present. Moreover, the faith in God is the underlying mind of every human, and he took such relevation as ‘Dogi’. Okawa Syumei believed in the transcendence of religion that Matsumura Gaiseki had insisted. He defined the new religion as the difference of religious faction has no essential meaning, and as a ‘truth based religion’ originated from the relevation of common mind to every human. He connected such new religion to the wave of the time named global ‘religious revolution’, and replaced ‘religion of the west’ to the common ‘universal religion’. That was found from the faith present in daily life of Japaneses from the ancient times or within the folksy religious life of belief. Okawa Syumei confirmed the Japanese primitive ‘importance of faith’ that is believing in God, proposed the logic which the oldest is the newest in the present, and recalled the faith from the ancient times then sublimate into national ideology. If the Christianity of the west is transcending the space then, the faith of Japan is considered as the power of life included in the daily life and it is Amaterasu-oomikami(天照大神), which handed down in Japan for long. That is a jump to the logic that connects Chung(忠) and Hyo(孝). Chung and Hyo are Do(道). He insisted that Chung and Hyo are common in means of Gyeong(敬) which means ‘essence of the own life’, the essential logic of of religion, and this is the way to become one with the nation. In other words, he categorized religion into Chung and Hyo, recalled the faith of the ancient times, and completed the Emperor system of Japan.

      • KCI등재

        일본의 ‘국수주의’와 ‘일본주의’의 진폭 그리고 ‘번신’(翻身) 제국주의

        전성곤 ( Jun Sung Ko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2

        본 논문에서는 일본이 국수(国粋)를 어떠한 방식으로 맥락화하여 국가주의의 논리를 합리화했는가 그 변용과정을 설명해내고자 한다. 일본은 내셔널리티(Nationality)를 ‘국수’라고 번역하면서, 국가주의를 창출해냈고 이 국가주의 논리에 침잠하게 되면서 그것으로부터의 탈맥락화를 찾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수’의 세계화(worlding) 프로세스 속에 ‘내재한 원리’를 밝혀내는 것은 일본 국가주의 사유구조를 밝히는데 있어서 매우 유의미하다고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국수를 사용하면서 반서구화와 반한학(漢學)이라는 제3의 입장을 지향하면서 출발했다. 서구의 내셔널리티를 국수로 번역하고, 이 국수라는 용어를 국수주의, 일본주의 변용시켜가면서 국가주의나 제국주의와는 무관한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그것의 근거는 인간의 자유ㆍ해방ㆍ개인 인식의 각성을 해결한다는 ‘보편적 세계성’을 지향한다는 점에 두었기 때문이다. 결국 국수주의에서 일본주의로 나아가면서 만들어낸 세계주의는 ‘국민 도덕론’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론을 통한 전체주의’로 귀착해간 것이다. 즉 역설적으로 ‘세계화 문맥’은 ‘국가주의 = 제국주의’의 공정화(公定化)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논고에서는 서구 이론들이 가진 ‘개념’을 받아들이는 자세와 그 서구어를 모국어와 접목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세계성’을 살펴보고, 어떻게 ‘주체’를 설명하는지를 살펴본다. 보편적 인간의 문제로서 ‘개인의 각성’에 주목하여, 국수주의와 일본주의라는 지반을 형성하는 논리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만들어낸 지적 논리는 서구의 셸링(Schelling), 쇼펜하우어(Schopenhauer)의 영향과 왕양명의 양지(良知)이론, 그리고 그린(Green)과 니체(Nietzsche)의 논리를 니치렌(日連)과 접목시키면서 만들어낸 세계관이었다. 그 세계관은 국수주의나 일본주의, 그리고 세계주의의 진폭 속에서 만들어낸 ‘세계적 시각’이었던 것이다. 즉 서구로부터 빌려온 ‘세계주의’를 내부의 ‘국민주의’와 ‘황조’(皇祖)를 상속하는 부자연스러움 속에서 잉태된 것이었다. 이 부자연스러움을 인지하는 주체를 찾기 위해서는 바로 국수주의가 번신(翻身)하여 ‘국가주의 = 제국주의’로 나아가는 ‘세계’ 속에서 ‘세계’를 탐구한 것이라는 점을 자각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how Japan recontextualized nationalism to rationalize the logic of imperialism and identify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In the view of the researcher, Japan created its own nationalism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nationality” as kokusui (国粋, lit. national characteristic) and giving the concept new meanings. Therefore, engrossed in its own logic of nationalism or imperialism, Japan has not yet reached the stage of decontextualization. In this respect, identifying which principle is intrinsic in Japan’s worlding process of chauvinism is thought to be significant in revealing the thought structure reflected in Japanese imperialism. Japan’s chauvinism and Japaneseism were born from an attempt to overcome the ambivalent position of anti-Western and anti-Chinese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ity’ in the West was translated as kokusui, and the term was taken from the standpoint that it is irrelevant to imperialism and nationalism. In this context, it was claimed that the term connoted the pursuit of cosmopolitanity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related to human freedom, liberation and awakening. Nevertheless, the worlding context created based on chauvinism and Japaneseism was a process centered on Japan and served the rationalization of totalitarianism and the justification of imperialism. This process led to the birth of the new concept of cosmopolitanism, which was national morality, and this ultimately resulted in totalism based on morality. To elaborate on this process,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concepts of Western theories and the cosmopolitanity found in the way of grafting the Western concepts onto the native language, and how it explains the matter of the subject. This approach will enable to identify the logic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Japanese chauvinism and Japaneseism, with a focus on the issue of individual awakening as a universal human issue. The intellectual logic that gave birth to Japanese chauvinism and Japaneseism was a new worldview forged by combining Wang Yangming’s theory of liangzhi (良知, lit. original knowing) and the thoughts of Green and Nietzsche with Nichiren Buddhism, under the influence of Schelling and Schopenhauer. This worldview was thu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created under nationalism, Japaneseism and cosmopolitanism. That is, it was conceived by the unnatural connection of cosmopolitanism borrowed from the West to the internal nationalism and emperor system. To find a subject that can recognize this unnaturalness, there is a need for the awareness of the process where this chauvinism was transformed into a means to explore the world in the world system of the time that was towards imperialism.

      • KCI등재

        ‘유교 국가주의’와 문화권력, 그 속박과 해방

        전성곤 ( Jun Sung Ko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2 No.-

        본 논문에서는, 근대 이행기 한국과 일본에서 형성한 ‘유교국가주의’를 담론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외래사상인 유교를 자국화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공통과 차이점을 밝혀냈다. 이러한 ‘외래문화의 자국화’는, 새로운 ‘문화권력 획득’이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신채호와 오카와 슈메이가 유교 이론에 근거를 두고, 서구도 의식하면서, 기존 유교와 차이성을 두면서 진보적 사상을 구축하고자 하는 점에서 공통적이었다. 또한 맹자의 내재천(內在天) 논리를 받아들여 아(我)와 비아(非我)를 설정하고, 아와 비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신채호는, 아와 비아는 끊임없이 투쟁을 지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오카와 슈메이는 아 속에 비아가 존재하기 때문에 비아의 세계를 아의 세계에서 통일성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신채호는 평등의 의미를, 국민이 애국심을 갖기 위해 상하 구분없이 모두에게 역사를 인지시켜야 한다는 의미에서 사용했다. 그것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렇지만 오카와 슈메이는 평등의 의미를 국민 전체가 자신의 위치에서 자신의 역할에 충실한 것이 평등이며, 그것을 통해 사회 구성원이 성층화 된 공동체를 제안했다. 이러한 인식은, 신채호에게 상대주의적 관점을 형성하게 했고, 충군과 애국도 군주가 아니라 국가로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반면 오카와 슈메이는 국가와 황실을 연결시켜, ‘유교국가주의=천황국가주의’를 세계주의로 가두고자 했던 것이다.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process of creating ' Confucianismnationalism'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ey have discove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localizing Confucianism, a foreign ideology. This is interpreted in this thesis as "nationalization = acquisition of cultural power." Although Shin chae-ho and Ookawa Syumei had common ground in their logic of combining Ah(Self 我) and Biah(Others 非我), they differed in the content of global universal thought as a nation, a royal family issue and an extension of the national anthem. The first finding was that Shin Chae-ho and Okawa Shumei were common in embracing Western theories based on Confucian theory, and trying to create a progressive logic that differs from existing Confucianism.. Shin Chae-ho claimed that "Ah and Biah must continue their struggle for their own self in order to advance to unity." On the other hand, Ookawa Syumei argued that they can unite the world of Biah in the world of Ah. The logic was that it could be unified with Biah. He argued that the important concept for him was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at he should faithfully practice it. This perception led Shin Chae-ho to form a relativistic view and to argue that loyalty and patriotism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state, not to the monarchy. On the other hand, Ookawa Syumei established a royal family on the nation and incorporated emperorism into universalism as idealism based on Confucian.

      • KCI등재

        기타 사다키치(喜田貞吉)의 공(公)담론 형성 고찰

        전성곤(Jun Sung K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일본문화연구 Vol.35 No.-

        To explain the view of history of Kita Sadakichi, it was examined through interlinking the internal social trends of Japan and external colonies at that time. Specifically, inside Japan, the division of eras of Kitawa Hamada who unfolded a tense discussion regarding the Jomon pottery and Yayoi pottery and an analysis frame regard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garding change of ethnicity. The excavation of remains of capital of Hamada brought about a crack in the immanent limit of a methodology called the concentration on the literature by historical studies. Hamada proposed a logic of ‘internal continuity=mutual relativeness’ while Kita insisted ‘severance of Jomon and Yayoi=change’. Consequently Kita explained the regional differences inside Japan through dividing Jomon and Yayoi to make a link to the colony Joseon as well. And that elucidated the difference of pottery development through mobilizing an incidental interpretation called hohyo and assimilation. And that overlapped the logic of ‘assimilation process’ of Ainuin of Japan and Korea-Japan Annexation. It was a ‘self-Orientalism’ of an intelligent person in a pattern of universalism acknowledged in his own community without being able to accomplish post-Japan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