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근세 후기 에도문화의 발전과 도시하층민

        장현아(Jang, Hyun Ah) 도시사학회 2013 도시연구 Vol.- No.10

        이 글은 문화 제공자 시점에서 근세 후기 에도문화의 발전을 분석한 시도이다. 근세 후기 에도에서는 조닌문화가 크게 발전했다. 무사나 귀족 등과 같은 사회지배층은 물론이고, 특히 도시 생활자인 조닌들이 문화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근세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풍요로운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해준 덕분에 이전보다 많은 사람들이 문화적 혜택을 누릴 수 있었다. 또한 문화매체의 종류가 다양해진 점과 문화 제공자가 증가한 점도 문화 향유층의 폭이 확대된 점과 무관치 않다. 당시의 대표적 번화가 아사쿠사의 경우, 이곳에 다양한 종류의 문화시설과 흥행자들이 있었던 덕분에 아사쿠사를 중심으로 무사에서부터 농민에 이르기까지 사회 모든 계층이 에도문화를 만끽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이전보다 많은 사람들이 문화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문화적 요소를 생산·제공한 사람들의 시선에서, 그들이 대표적으로 활동한 공간인 아사쿠사를 배경으로 근세 후기 에도문화의 발전이 보이는 바에 주목한다. This thesis analyzes the development of Edo culture(江戶文化) in the late Edo period from the viewpoint of culture provider. Since the late 18th century, the Chonin culture(町人文化) greatly developed in Edo. Not only the social ruling class such as the samurai(武士) and the nobility(公家) but also, in particular, the Chonin(町人), who live in citie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life. Meanwhile, as the kinds of cultural media diversified and the culture providers increased, the class enjoying culture became broader. In case of Asakusa(淺草), the representative Sakariba(盛り場) of Edo(江戶), there were a variety of cultural facilities and show places, all classes from the samurai to the peasantry could enjoy the Edo culture in Asakusa.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what the development of Edo culture in the late Edo period shows from the eyes of those who produced and provided various kinds of cultural elements for more people than before to enjoy cultural benefits with Asakusa,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lace where they displayed activities, as the background.

      • KCI등재

        단순흉부함몰 환자에서 유방확대술

        장현,오상아,윤원준,Jang, Hyun,Oh, Sang-Ah,Yoon, Won-June 대한성형외과학회 2010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7 No.6

        Purpose: The sunken chest deformity without breast asymmetry is not a rare condition encountered in augmentation mammaplasty. Therefore, failure to recognize the deformity and improper surgical plan will lead to a suboptimal result. The authors review the experience of breast augmentation in simple sunken chest patient based on retrospectively collected data. Methods: From January, 2008 to January, 2009, patients with simple sunken chest underwent endoscopic submuscular augmentation mammaplasty through axilla, using silicone implants. Patient demographics were queried and outcomes were assessed. Results: Eleven patients (22 breasts) were followed up for 8.2 months after surgery. Sunken chests were augmented with implant size of approximately 248.9 cc (range: 213~286 cc) and contralateral chest with 211.4 cc (range: 180~235 cc). Simultaneous camouflaging the chest wall depression with breast augmentation resulted in good aesthetic outcome. All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urgery.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mong all patients. Conclusion: We have demonstrated proper surgical planning with precise implant selection to optimize results in patients with small breast and simple sunken chest. Even though asymmetry still remains after the operation, it is still considered as acceptable.

      • KCI등재후보

        2·3차 산업 융합 농장의 고객 만족 요인 분석

        장현동(Hyundong Jang),김성훈(Sounghun Kim)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1 농업과학연구 Vol.38 No.4

        This study aimed at finding the factors impacting customer satisfaction (CS) for conversion farm with 2<SUP>nd</SUP> and 3<SUP>rd</SUP> industry, becaus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conversion farm is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The data on CS from 173 pumpkin farm"s customers by on-line survey were gathered. The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Amos was carried out. Product, service and purchasing were determined as 3 factors impacting to CS. The result showed that purchasing is the biggiest contributor to CS. It means the customers using on-line market are very sensitive to farm"s brand and logistics. It is also found that conversion with processing and farm experience activity is definitely affecting to building customer"s trust. In conclusion, making efforts on enhancing CS in conversion farm is the key to success.

      • KCI등재

        고지방식이 흰쥐에서 산초나무 Butanol 및 Methylene Chloride분획의 항혈전 및 항염증 작용

        장현서(Jang Hyun-Seo),이순재(Rhee Soon-Jae),우미희(Woo Mi-Hee),조성희(Cho Sung-Hee) 韓國營養學會 200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0 No.7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검색된 산초나무 잎의 용매분획의 항혈전 및 항염증작용을 in vivo에서 확인하고자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게 n-butanol 분획과 methylene chloride 분획을 1일 50, 100, 150 ㎎을 4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혈장 APTT 및 TT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 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고지방식이군에 methylene chloride분획 50 ㎎ 이상 공급군은 유의적으로 증가 되어 100 ㎎ 이상 공급군은 정상식이군 수준이었다. 다형 핵 백혈구 5’-lipoxygenase 활성과 leukotriene B₄ 함량이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증가되었으며, 5’-lipoxygenase 활성은 두 용매 분획을 100 ㎎ 이상 공급한 군들이 모두 감소하였다. 백혈구의 leukotriene B₄ 함량은 n-butanol 분획에 의하여 역시 100 ㎎ 이상 공급으로 감소하였으나 methylene chloride 분획에 의하여는 150 ㎎ 공급군에서만 감소하였다. 간 조직 마이크로솜의 cytochrome P₄?? 함량은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두 용매분획의 투여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butanol 분획 150 ㎎ 투여군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 O₂?의 함량과 H₂O₂ 함량도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증가되었으며, butanol 분획 100 ㎎ 이상 투여로 O₂ 의 함량이 감소하고 methylene chloride분획 100 ㎎ 이상에서 H₂O₂ 함량이 감소하였고 두 용매 분획을 150 ㎎ 이상 투여하였을 때는 O₂ 와 H₂O₂ 함량이 모두 감소하였다. 간 조직 GST 활성과 GSH 함량 및 GSG/ GSSG 비율은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감소되었으며, 두 용매 분획 150 ㎎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GSG/GSSG 비율은 100 ㎎ 이상 투여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산초나무 잎의 methylene chloride분획은 고지방식이 흰쥐에서 혈행 장애와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고, 간 조직에서의 자유라디칼 생성계를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glur tathione계의 환원상태를 유지시킴으로서 선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butanol 분획은 항혈전 효과를 제외한 항염증 및 항산화작용에 의한 신체 보호 작용은 기대된다. 이러한 활성을 이용하면 날로 증가되는 지방섭취량에 의한 만성퇴행성질환을 억제하는데 우수한 기능성식품 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thrombogenic,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BuOH (B) and CH₂Cl₂ (MC) fractions extracted from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leaves in rats fed high fat diets. The experimental animal groups were consisted of eight including one 5% fat (N) and one 20% fat (H) without the test materials in diets and six H groups of feeding three levels (50,100 and 150 ㎎/day) of the B and the MC fractions from Z. schinifolium, respectively. Plasma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s and thrombin times ofH group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N group, but they were increased by feeding the MC fraction of 50 ㎎ and over. Polymorphonuclear leukocyte 5' -lipo-xygenase activities and leukocyte leukotriene B₄ contents of the H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 group, but they were decreased in the 100 ㎎ and 150 ㎎ of B fraction or the 150 ㎎ of MC fraction fed groups. Liver cytochrome P₄??, O₂?, H₂O₂ and GSSG contents were increased by the high fat diet but decreased by feeding the B fraction or the MC fraction, while GSH content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lowered by high fat diet were increased by feeding the two solvent fractions. The effects of the solvent fractions were evident at the level of 100 ㎎/day and over. The present results confirmed that two solvent fractions from the leaves of Z. schinifolium have enhancing effects on anti-thrombosis and anti-inflammation partly by antioxidant action and partly by direct modulation of the respective processeds. In conclusion, the n-BuOH and CH₂Cl₂ fractions from leaves of Z. schinifolium can be utilized as the proper ingredients of functional foods for preventing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 블록체인 응용 기반의 거래 시스템 보안 메커니즘 아이디어 설계

        장현서 ( Hyunseo Jang ),김준엽 ( Jun-yeop Kim ),김태환 ( Tae-hwan Kim ),김태완 ( Tae-wan Kim ),김동호 ( Dong-ho Kim ),김재헌 ( Jae-hun Kim ),김진수 ( Jinsu Kim ),정유진 ( Yujin Jung ),박남제 ( Namje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최근 블록체인의 안정성이 화제가 됨에 따라 블록체인을 응용한 시스템 적용을 통한 기록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간의 현금을 거래하는 거래 시스템은 타 시스템과 비교하여 거래 기록의 무결성이 더욱 강조된다. 본 논문에서는 거래 시스템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블록체인을 적용한 여러 거래 시스템을 소개한다.

      • KCI등재

        무청분말이 콜레스테롤식이를 공급한 흰쥐의 장기능 및 분변 중 중성지질 및 Sterol 배설에 미치는 영향

        장현서(Hyun-Seo Jang),안정모(Jung-Mo Ahn),구경형(Kyung-Hyung Ku),이순재(Soon-Jae Rhee),강신권(Shin Kwon Kang),최정화(Jeong-Hwa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0

        본 연구에서는 고콜레스테롤 흰쥐에 무청파우더를 공급함으로써 분변을 통한 지질배설과 장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와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간조직의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변화와 분변중의 지질 및 sterol류의 조성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100 g내외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이용하였으며, 정상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실험군으로 나눈 후 정상군은 다시 무청파우더를 공급하지 않은 군(N group), 무청파우더를 공급한 군(NR group)으로 나누고 고콜레스테롤 식이 실험군은 무청파우더를 공급하지 않은 군(HC group)과 무청파우더를 각각 2.5%(HRL group), 5%(HRM group), 10%(HRH group)씩 공급한 군으로 나누었다. 식이와 식수는 자유섭식 시켰으며, 4주 간 사육한 후 희생시켰다. 분변량은 무청공급군들에서 무청의 공급량이 증가할수록 많은 배변량을 보였다. 수분함량 역시 HC군에 비해 무청공급군들에서 많은 함량을 보였다. 분변중의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TG 함량은 HC군에 비해 무청공급군들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분변중의 bile acid 함량은 HC군에 비해 HRM 및 HRH군에서 2.3배 및 2.7배씩 각각 증가되었다. 분변중의 중성 스테롤류인 cholesterol, coprostanol, coprostanone 함량은 HC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간 microsome의 UDPGT의 활성은 HC군에 비해 HRH군에서 38% 유의적으로 증가되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무청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간조직의 UDPGT 활성의 증가로 담즙산의 흡수를 지연시킴으로써 고콜레스테롤 섭취 시 분변중으로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중성스테롤 및 산성스테롤인 담즙산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나타내었고, 따라서 장기능 및 지질대사 개선을 위한 우수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adish leaves powder on the excretion of fecal triglyceride, and sterol and hepatic UDP-glucuronyl transferase (UDPGT) activity in rats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10 g were randomly assigned to normal control group (N group), normal diet with 5% radish leaves powder supplemented group (NR) and hypercholesterolemic groups, which were sub-divided into radish leaves powder free diet group (HC) and 2.5% (HRL), 5% (HRM), and 10% (HRH) radish leaves powder supplemented group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ad libitum for 4 weeks. Fecal weights and water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radish leaves powder supplemented groups (NR, HRL, HRM, and HRH) than that of N and HC groups. Fecal total lipid contents including fecal neutral and acidic sterols in radish leaves powder supplemented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C group, and especially that of HRH group was the highes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Hepatic UDPGT activity of HRH group was 38% higher than that of HC group. Excretions of fecal bile acid were increased 2.3 and 2.7 folds in HRM and HRH groups compared with that of HC group. And neutral sterol, coprostanol, and coprostanone contents of them were higher in radish leaves supplemented groups than in H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dish leaves may act as potential substitute for a dietary fiber capable of improving a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