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적 꾸물거림과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장진이 ( Jin Yi Jang ),이지연 ( Jee Yon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과중한 학업요구가 학업적 꾸물거림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적 꾸물거림과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 충청 지역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과중한 학업요구, 학업적 꾸물거림, 자기존중감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이 가운데 총 25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중한 학업요구, 학업적 꾸물거림, 자기존중감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자기존중감은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적 꾸물거림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즉, 과중한 학업요구는 직접적으로 학업적 꾸물거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동시에 개인의 심리적 자원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학업적 꾸물거림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과중한 학업요구가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를 강조하고, 학업적 꾸물거림에 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탐색과 이에 대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eavy academic demand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vy academic demand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Chungcheong-do were surveyed and data from 257 student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7.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heavy academic demands,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elf-esteem have correaltions.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yielded evidences of good fit. Third,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self-esteem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academic demand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Finally, the study`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의 우울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정서조절, 거부민감성의 구조적 관계

        장진이 ( Jin Yi Jang ),곽노은 ( No Eun Kwak ),이지연 ( Jee Yon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청소년의 우울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지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총 360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우울, 거부민감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정서조절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서조절은 거부민감성과 우울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거부민감성은 우울과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AMOS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모형 검증 결과, 정서조절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아 그 경로를 삭제하여 간명해진 수정 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조절과 거부민감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거부민감성을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이 이중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함을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개입에서 거부민감성에 대한 개입이 중요함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우울에 대한 보다 근접 변인으로서 정서조절과 거부민감성의 중요성을 밝혀냈다는 의의를 가지며,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상담에서 자기초점주의의 적응성 여부와 정서조절과 민감성 수준을 평가하고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 줌으로써 상담 실제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360 adolescents in Seoul, responded to the survey and 331 of them were analyzed by two programs, SPSS and AMOS. The structural model employed in this study was modified because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while emotional regulation did not directly influence depression but indirectly affected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Meanwhi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mplications of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the future research for depression in adolescents are discussed. Particularly it is important to evaluate and intervene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diverse variables which influence depression in adolescents.

      •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 에이전트 모델 설계

        장진철 ( Jin-cheul Jang ),홍성호 ( Sung-ho Hong ),홍성용 ( Seong-yong Hong ),이문용 ( Mun-yong Yi ),윤완철 ( Wan-chul Y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개인화된 IT 서비스의 트렌드는 학습자를 위한 튜터링 시스템에도 학습자의 능력과 수요를 고려한 개인화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을 위해 사용자 프로파일 에이전트(UPA, User Profile Agent) 모델을 제안한다. UPA는 프로세스, 메타데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학력 및 경력 정보, 학습 영역 지식, 개인 능력 측정 정보를 메타데이터에 기반으로 저장한다.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에이전트의 프로세스에 의해 가공되어 학습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 향후 본 논문의 모형 설계를 기반으로 이러닝 기술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지능화된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구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KCI등재

        스마트폰 지속사용의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장진철 ( Jin Cheul Jang ),성우철 ( Woo Chul Sung ),이문용 ( Mun Yong Yi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1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수는 이제 3,000만을 넘어섰다. 점점 시장이 성숙해 가면서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존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지속사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지속사용의도를 강화시키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단말기 품질, 제조사 서비스 품질, 기대충족)과 사용자 경험 만족도가 어떻게 고객의 헌신도와 지속사용의도를 결정하는지를, 확장된 기대충족모델을 기반으로 가설을 세우고, 600명 이상의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검증한다. 또한 서로 다른 스마트폰의 특징별 사용자 경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를 비교한다.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데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number of smart phone users in Korea has reached over 30 million. As the market gets mature, it becomes more cru-cial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mart phone users` continuation intention and devise a way that can fortify it. In this study, we develop research hypotheses about how the antecedents of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phone quality, manufacturer ser-vice quality, and confirmation) influences brand loyalty and continuation intention via their effects on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an extende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and test the hypotheses against the data collected from over 600 smart phone users in Korea. Further, we compare the levels of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and continuation inten-tion across major properties of different smart ph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guidelines on devising a way to heighten the continuation intentions of smart phone users

      • KCI등재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임상현(Sanghyeon Lim),장진이(Jin Yi Jang)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6

        이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자아통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인식된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독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식된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고독감을 통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노인 199명의자료는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의 중다회귀분석과 PROCESS 모델 14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인식된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은 자아통합감에 부적 영향을 미쳐 자아통합감 성취에 유의미한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고독감을 통해 자아통합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고독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함이 검증되었다. 셋째,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고독감을 통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통제감 수준에 따라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 노화를 위한 지표로서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위험 요인과 보호요인이 어떠한 심리적 기제를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와 노인 대상의 교육 및 상담적 개입 전략 마련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ntrol through loneliness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and self-integrity in older adults. 230 older adults(65 and over) in senior-related facil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participated and 199 data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odel 14.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self-integrity,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self-integrity was found. Lastly there wa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ntrol through loneliness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and self-integrity. It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thwarted belongingness on self-integrity through loneliness were found to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contro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oposals for direction of intervention in counseling for older adults to achieve successful aging,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of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자비 수준별 대인간 외상 경험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

        고옥주(Ok-Joo Ko),장진이(Jin-Yi Jang),이지연(Jee-Yon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과학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raumatized self-system between exposure to interpersonal trauma and fear of intimacy and the difference upon level of self-compassion. 300 undergraduate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with package of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Traumatized Self-System Scale (TSSS), Fear of Intimacy Scale (FIS), Self-Compassion Scales (SCS) and data from 300 students analyz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8.0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exposure to interpersonal trauma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raumatized self-system and fear on intimacy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compassion. Second, Finding in structu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raumatized self-system fully mediated the relation of exposure to interpersonal trauma and fear of intimacy. Third, there was no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in self-compassion. Only the influence of traumatized self-system on fear of intimacy was stronger in the higher self-compassion group than the lower one. The result impl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intervene against traumatized self-system, fear of intimacy and self-compassion in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client exposed to interpersonal trauma.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통 감내력, 애도 회피, 침투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김라영(La Yeoung Kim),장진이(Jin Yi J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20 스트레스硏究 Vol.28 No.3

        이 연구는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낙관성, 고통 감내력, 애도 회피, 침투적 반추, 의도적 반추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상실 경험의 경과 기간이 6개월 미만과 6개월 이상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실 경험으로부터 평균 수준 이상의 영향을 받은 대학생 43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모형 검증 결과,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 애도 회피, 침투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단, 애도 회피가 직접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아 이 경로를 제거한 수정 모형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Background: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optimism, distress tolerance, grief avoidance,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dergraduates who have experienced a loss. Methods: Subjects comprised 435 university students (258 females and 177 males), with their duration of grief experience and the elapsed period from when the loss occurred having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Results: Distress tolerance, grief avoidance,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quentially.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ss than 6 months” and “more than 6 months” group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optimism, distress tolerance, grief avoidance,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s: The direct path of grief avoidance to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significant, but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This result suggests the need for active intervention to allow people to face and cope with life after a loss, without avoiding the loss experience.

      • KCI등재

        여대생의 원형 호감도가 상담 선택에 미치는 영향: 상담 의향과 상담 신념의 이중매개효과

        심대흠 ( Shim Dae Hoom ),장진이 ( Jang Jin Y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여대생의 상담 선택에 기저하는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원형 호감도, 상담 의향, 상담 신념, 상담 선택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원형 호감도가 상담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상담 의향과 상담 신념이 이중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1~4학년 여대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하였으며, 총 2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원형 호감도와 상담 선택 간의 관계에서 상담 의향과 상담 신념 각각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상담 의향과 상담 신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원형 호감도에서 상담 선택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원형 호감도가 상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 의사결정을 반영하는 상담 의향과 이성적 의사결정을 반영하는 상담 신념이 모두 매개함을 보여 주는 것으로, 상담 서비스 갭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의식적 의사결정뿐 아니라 무의식적 의사결정을 촉진하는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남자 대학생의 상담 선택 행동에 기저하는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o explore underlying psychological mechanisms on female college students’ counseling decision-making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counseling willingness and beliefs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otype favorability and counseling decision-making. Also, it aims to verify whether counseling willingness and beliefs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play a double mediat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counseling decision-making. Participants included 235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recruited from Google on-line survey system. Results showed that counseling willingness and beliefs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each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prototype favorability and female college students’ counseling decision-making. In addition,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counseling willingness doubly mediated through beliefs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otype favorability and counseling decision-mak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oth counseling willingness, which involved in unconscious decision-making process and beliefs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in r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were important. Therefore, the need of intervention to promote not only conscious decision-making but also unconscious decision-making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gap phenomen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