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SN 기반 텔레매틱스 서비스 및 기술개발 동향

        장정아,최정단,장병태,Jang, J.A.,Choi, J.D.,Jang, B.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7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2 No.3

        USN 기반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텔레매틱스 시장의 성숙, 유비쿼터스 사회에 대한 열망 및 u-City 사업의 가속화 등에 기인하여, 도로 교통 인프라에 USN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대두하게 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이다. 본 고에서는 USN 기반 텔레매틱스 서비스 및 시장 동향, 해외사례, 관련 특허 및 국내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중점을 두는 구체적인 서비스는 도로 및 교차로 환경에서의 상황정보 제공 서비스로 도로 위에 설치된 T-센서노드를 이용하여 시간 및 방향에 따라 진입하는 차량의 실시간 위치, 속도, 시간 정보를 수집한 뒤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T-베이스스테이션으로 관련 정보를 전달하고 차량 충돌이라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상황인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핵심 기술로 T-센서노드 기술, 센서노드 네트워크 기술 및 T-베이스스테이션 기술이 있으며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 KCI등재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 개발

        장정아,최혜옥,김경호,Jang, Jeong-Ah,Choi, Hai-Ock,Kim, Kyong-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4 No.5

        본 고에서는 최근 기술 개발되고 있는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위피 기반 LBS 단말 플랫폼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 표준 플랫폼 규격에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API 이다. 이러한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은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단말 HAL API, 위피 C API, Java API 의 세가지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HAL 부문과 C 부문은 Generic I/O 기반으로 개발 정의하였고, 이에 대하여서는 본 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표준 플랫폼을 통해 위치정보기반 컨텐츠의 활용, 모바일 단말기 개발자에게 위치정보의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LBS Terminal Standard Platform based on WIPI. The LBS Terminal Standard Platform based on WIPI is API for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obile standard platform providing the environment which i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an platform an application. The mobile Platform consists of HAL API, C API and Java API that it is able to process Location Information data among wireless network. It is defined and developed at the HAL sections and C sections based on Generic I/O, and It describes in details in this paper. This standard Platform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e specification in developing the LBS Terminal development technology and standard method to LBS application developers.

      • KCI등재

        모바일 긴급서비스 프로토콜 연구

        장정아,최혜옥,최완식,Jang Jeong-Ah,Choi Hae-Ock,Choi Wan-Sik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3b

        유선 전화에 의한 119, 112 등의 긴급서비스는 KT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구조서비스 요청자의 위치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전화에 의한 119, 112 긴급구조서비스 요청 시 이동전화의 위치를 이동통신망에서 제공받아야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긴급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에 대한 것으로, 국내외 무선긴급구조서비스 기술, 제도, 관련 연구 현황을 조사하고, TIA/EIA/J-STD-036-A을 기반으로 국내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기술규격을 제시하였다. 무선긴급서비스는 무선긴급구조서비스와 무선긴급경계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무선긴급구조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표준 참조모델은 국내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무신긴급구조서비스 참조 모델의 각 모듈간 세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시나리오와 메시지, 메시지 흐름을 정의하였다. 또한 무선긴급경계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참조모델을 제시하고, 구성요소간의 메시지 흐름 및 메시지 규격에 대하여 정의하였다. The location information of wired 112, 119 emergency call is provided immediately by subscriber database of KT. But emergency call made by mobile phone should be ask location information to mobile network. This paper proposes the network protocol for mobile emergency service refer to TIA/EIA/J-STD-036-A with reviews about technical issues, legacy factors and related researches. The mobile emergency service is divided to mobile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mobile emergency alert service. The network reference model for mobile emergency rescue service is released in domestic sector. In this paper, the interfaces between modules of the network reference model, and service scenarios, message flows are defined. Supplement to mobile emergency rescue service, the network reference model, interfaces and message flows for mobile emergency alert service are developed.

      • KCI등재

        이름에서 가명으로 : 말라르메의 `네앙`과 마그리트의 「이미지의 배반」에 나타난 비재현적 인식과 공(空)

        장정아 ( Jang Jung-a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본고는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 「이미지의 배반」에 표현된 비재현적 인식을 말라르메의 `네앙` 발견 및 불교의 `공`(空)과 연결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는 글이다. 불교의 `무아`와 `공`은 초월적인 보편자 실재를 불허함으로써, 등장 당시 인도 사상계에 혁명적인 파장을 일으켰다. 그런데 그 파장은 사실상 인도 사상계에만 한정되는 게 아니었다. 플라톤의 이데아 철학을 토대로 하는 서구의 세계 이해 또한 보편자 실재를 전제한 재현적 인식 속에 있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언어와 이미지, 나아가 그 언어와 이미지로 구성되는 인간 사유가 보편자 실재에 의한 `대리물`로서 세계를 재현하는 것이어야 했을 때, 보편자 실재란 인간 사유의 개념적 구성물임을 천명한 불교의 `무아`와 `공`은 언어와 이미지 나아가 인간 사유 및 인간 존재 그리고 이 지상까지를 그것인 그대로 자유롭게 만드는 자율의 전언이었던 것이다. 이에 본고는 위의 세계 인식의 두 키워드를 `이름`과 `가명`으로 설정하여 비교하고, 세계에 대한 공(空)적 인식이 가지는 자유와 자율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공`을 토대로 하는 비재현적 세계 인식은 비실체적 관계에 의한 사회 유대의 초석으로서 자리하고, 본고는 그 고찰의 하나로서, 일련의 <말라르메와 불교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비교를 통한 `공`(空)적 가치 연구>를 이어가는 것이다. The `Betrayal of Image` of Magritte lets us see the non-representative cognition to the world. In the picture, the pipe image is independent of the real pipe object of the world. And this independence is also found between the word `une pipe/the pipe` in that picture and the real pipe object. This word`s independence of the real object is also the main topic of the Mallarme`s poetics. Mallarme is the one that knows the value of the non-representative cognition to the world. Thanks to the discovery of the `neant`, Mallarme knows that the words are independent of the object and the world. The referent of the words is not the object of the world, but the result of the composition of the thoughts. As a result, the word of Mallarme and the image of Magritte free from the world. And the human thought is constituted of the words and the images. So the human being and this world free from the real universal i. e. the Idea of Plato and the Brahman of the Indian philosophies and the representative cognition. As the real universal caused the secondary value of the imitation, i. e. words, images, simulacre, this world including the words and the images becomes therefore the other perfect `mystery` itself. This change in the cogniton is already included in the sunyata and the anatman of the Buddhism : the sunyata and the anatman of the Buddhism is the result of the rejection of the real universal. From this article, the value of the sunyata and the anatman is found as the base of the new moral of the non-substantial relation in this world.

      • KCI등재

        ‘反-코기토’로 읽는 보들레르

        장정아(Jang, Junga)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본고에서는 프랑스 상징주의의 효시로 거론되는 보들레르의 『악의 꽃』을 ‘反-코기토’를 통해 조명하고자 한다.『악의 꽃』에서 도출되는 자아의 확장 혹은 와해가 다름 아닌 ‘악’의 ‘꽃’의 개화이며, 그것은 모든 것의 토대이며 중심인 표상하는 자로서의 근대적 주체에서 벗어나 타자를 향해 열려있는 탈근대적 자아의 모습이자 ‘反-코기토’의 한 양태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데카르트 코기토에 의해 근대적 주체가 명증하게 주어져있다고 여겨지는 의식에 의해 그 존재가 증명된 데 비해, 反-코기토적 사유는 데카르트가 드러낸 의식의 명석판명함에 제동을 걸고, 그러한 의식에 의해 증명되어 세계의 중심으로 자리잡은 근대적 주체의 견고한 성벽을 무너뜨리며, 타자와의 상호성 등에서 그 정체성이 수립되는 새로운 주체를 모색하게 된다. 이러한 反-코기토적 사유의 궤적에서 선구자로 평가되는 니체, 프로이트, 맑스가 활동한 19세기에 탈근대적이고 反-코기토적인 사유의 궤적을 보인 시인들이 있었고, 그 중 한 사람이 보들레르임을 그의『악의 꽃』을 통해 읽음으로써, 현대성을 열어보인 보들레르가 사실상 포스트 담론의 해체된 주체 혹은 새로운 주체의 지평에서도 선구적인 입지를 차지하고 있음을 본고에서 드러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고는 탈근대적 인식 체계로 문학 텍스트를 읽는 소통인문학의 예로서, 코기토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 근대가 낳은 주변/중심의 경계를 횡단하는 인문학의 패러다임 창출에 참여하고, 보들레르에서 확인되는 反-코기토적 사유 체계를 19세기 프랑스 상징주의 전반으로 확장 · 고찰할 향후 연구의 초석으로서, 프랑스 상징주의의 생태성 복원의 한 기틀이 될 것이다. This study"s object is to read Les Fleurs du Mal of Baudelaire with the ‘contre-cogito.’ We especially try to reveal the expansion or the efflorescence of the ego as the ‘flower’ of the ‘evil’ in Les Fleurs du Mal. In the modern subject identified by cartegian cogito, it is the clear and distinct consciousness that certifies the human being. So, the ‘contrecartegian cogito’ brings the consciousness into question, and then breaks the modern subject’s wall as the substratum of the world, the post-modern subject is therefore idendified by the interaction with the others. The ego in Les Fleurs du Mal is verified in the such reciprocality with the others and the world : The ‘Mal’ is appeared as a kind of the unconscious, i. e. the unknown part of the human spirit reached by breaking the dualism, and then ‘Les Fleurs du Mal’ as the efflorescence of the ego, i. e. the destruction of the modern ego. Baudelaire is verified as the pioneer of the post- modernism. And this study is located as the example of the transhumanities by reading the poems with the epistemological system : the philosophical ideas of the anti-Cogito started from Nietzsche, Freud and Marx make the poet Baudelaire and his poems read. This study will be succeded by that of “the French Symbolism, the fetal mouvement of the contre-cogito” that will consider Rimbaud, Mallarmé and Nerval with Baudelaire. 본고에서는 프랑스 상징주의의 효시로 거론되는 보들레르의 『악의 꽃』을 ‘反-코기토’를 통해 조명하고자 한다.『악의 꽃』에서 도출되는 자아의 확장 혹은 와해가 다름 아닌 ‘악’의 ‘꽃’의 개화이며, 그것은 모든 것의 토대이며 중심인 표상하는 자로서의 근대적 주체에서 벗어나 타자를 향해 열려있는 탈근대적 자아의 모습이자 ‘反-코기토’의 한 양태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데카르트 코기토에 의해 근대적 주체가 명증하게 주어져있다고 여겨지는 의식에 의해 그 존재가 증명된 데 비해, 反-코기토적 사유는 데카르트가 드러낸 의식의 명석판명함에 제동을 걸고, 그러한 의식에 의해 증명되어 세계의 중심으로 자리잡은 근대적 주체의 견고한 성벽을 무너뜨리며, 타자와의 상호성 등에서 그 정체성이 수립되는 새로운 주체를 모색하게 된다. 이러한 反-코기토적 사유의 궤적에서 선구자로 평가되는 니체, 프로이트, 맑스가 활동한 19세기에 탈근대적이고 反-코기토적인 사유의 궤적을 보인 시인들이 있었고, 그 중 한 사람이 보들레르임을 그의『악의 꽃』을 통해 읽음으로써, 현대성을 열어보인 보들레르가 사실상 포스트 담론의 해체된 주체 혹은 새로운 주체의 지평에서도 선구적인 입지를 차지하고 있음을 본고에서 드러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고는 탈근대적 인식 체계로 문학 텍스트를 읽는 소통인문학의 예로서, 코기토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 근대가 낳은 주변/중심의 경계를 횡단하는 인문학의 패러다임 창출에 참여하고, 보들레르에서 확인되는 反-코기토적 사유 체계를 19세기 프랑스 상징주의 전반으로 확장 · 고찰할 향후 연구의 초석으로서, 프랑스 상징주의의 생태성 복원의 한 기틀이 될 것이다. This study"s object is to read Les Fleurs du Mal of Baudelaire with the ‘contre-cogito.’ We especially try to reveal the expansion or the efflorescence of the ego as the ‘flower’ of the ‘evil’ in Les Fleurs du Mal. In the modern subject identified by cartegian cogito, it is the clear and distinct consciousness that certifies the human being. So, the ‘contrecartegian cogito’ brings the consciousness into question, and then breaks the modern subject’s wall as the substratum of the world, the post-modern subject is therefore idendified by the interaction with the others. The ego in Les Fleurs du Mal is verified in the such reciprocality with the others and the world : The ‘Mal’ is appeared as a kind of the unconscious, i. e. the unknown part of the human spirit reached by breaking the dualism, and then ‘Les Fleurs du Mal’ as the efflorescence of the ego, i. e. the destruction of the modern ego. Baudelaire is verified as the pioneer of the post- modernism. And this study is located as the example of the transhumanities by reading the poems with the epistemological system : the philosophical ideas of the anti-Cogito started from Nietzsche, Freud and Marx make the poet Baudelaire and his poems read. This study will be succeded by that of “the French Symbolism, the fetal mouvement of the contre-cogito” that will consider Rimbaud, Mallarmé and Nerval with Baudela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