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전략, 시험불안 및 학업성취의 차이

        장유진(Chang, Yujin),황혜영(Hwang,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 유형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자기조절학습과 시험불안의 차이와 프로파일이 이후 학업성취와 어떤 연관을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차년도 자료의 중학교 2학년 6,490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결과, 5개의 프로파일 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으며, 이들 집단은 각각 무동기집단, 낮은 동기집단, 중간 동기집단, 강한동기집단, 높은 자율성 동기집단으로 명명되었다. 프로파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전 략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적응적인 전략의 경우 강한 동기집단과 높은 자율성 집단이 나머지 집단과 비교했을 때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한편, 자기손상화 전략과 시험불안에 있어서는 강한 동기집단이 높은 자율성 동기집단에 비해 자기 손상화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시험불안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에 따라 3학년 학업성취 또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는데, 높은 자율성 집단, 강한 동기집단, 중간 동기 집단, 낮은 동기집단, 무동기집단 순으로 학업성취가 낮아졌으며, 프로파일은 1학년 학업성취를 통제한 후에도 3학년 성 취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조절학습, 시험불안 및 학업 성취에 있어 자율성 동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교육현장에서 자율성 동기를 길러줄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from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and how their motivational profiles relate to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test anxiety, and future academic achievement.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6 data (N=6,490) were used for the analysi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 five-profile model of amotivation, low motivation, moderate motivation, strong motivation (i.e., high autonomous and high controlled), and high autonomous motivation was chosen as a final model.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est anxiety, and future academic achievement. For all the adaptive strategies, both the high autonomous motivation and the strong motivation groups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strategy use, followed by the moderate motivation, the low motivation, and the amotivation groups. For the maladaptive indicators such as self-handicapping strategies and test anxiety, the strong motiv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than the high autonomous motivation group.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for the strong motivation group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igh autonomous motivation group.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at their 8th grade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9th grade academic achieveme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ir previous achievement level. When the moderate motivation group was used as a comparison group, being in the high autonomous motivation or the strong motivation groups was associated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t roles of autonomous motivation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MZ세대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장유진 ( Yujin Chang ),유재욱 ( Jaewook Yo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MZ세대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전국의 대학교 졸업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의 경로계수를 추정하였고, 부트스트래핑(2,000회)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 내용: 전공만족도가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간접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므로 자기효능감은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전체 인구에서 37%가량을 차지하는 MZ세대가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출하고 경제의 주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 연구가 MZ세대에 관한 연구범위의 격차를 해소하고 진로준비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MZ gener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graduates across the country, The path coefficient of the research model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measur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2,000 times). The result is that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path from major satisfaction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ia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Since major satisfaction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Z generation, which accounts for about 37% of the total population, entered society in earnest and became the main axis of the economy. We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to bridge the gap in the scope of research on the MZ generation and present a direction for career preparation.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학부모 관계 및 교사소진 간의 관계: 가정연계효능감의 조절효과

        안거부,장유진,An, Geo-bu,Chang, Yujin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1 한국교육논총 Vol.42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이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과 교사소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그리고 공감능력과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학부모 관계 및 교사소진의 관계에서 가정연계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에 근무하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JAMOVI 1.6.23을 활용하여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 모두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 유의한 정적효과를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서 가정연계효능감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가정연계효능감이 높을 때(M+1SD)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이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가정연계효능감이 평균 수준이거나 낮을 때(M-1SD)는 공감능력이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 모두 교사소진에 유의한 부적효과를 나타냈으며, 공감능력과 교사소진의 관계에서 가정연계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부모 관계와 교사소진에 있어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의 역할을 확인하고, 특히 공감능력이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 미치는 효과가 가정연계효능감 수준에 따라 조절됨을 확인함으로써 가정연계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nd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predict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teacher burnout.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teacher burnout. A total of 208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employed in the Chungbuk area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JAMOVI (version 1.6.23). There were three major findings. First, both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nd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positively predicted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acher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on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Specifically, when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as high (M+1SD), teacher empathy significantly positively predict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By contrast, when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as average or low (M-1SD), the effect of teacher empathy on the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was not significant. Third, both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negatively predicted teacher burnou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acher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on teacher burnout. This study identified the role of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ithin the context of kindergarten teacher-parent relationships and teacher burnout. It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eacher empathy on parent-teacher relationships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정서적 지지, 자기조절력,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박서윤 ( Park¸ Suhyeun ),장유진 ( Chang¸ Yu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교사, 부모, 또래의 정서적 지지, 자기조절력(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학생이 지각하는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자기조절력인 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이 매개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개교의 5, 6학년 47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25와 AMOS 22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동기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또래의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동기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학교생활적응을,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주관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또래지지는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모두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자기조절력의 하위변인 중 정서조절이 종속변인들(주관적 안녕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삶의 안녕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교사, 부모, 또래로부터 받는 정서적 지지의 차별적인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정서적 지지와 학생의 안녕감과 적응 사이를 매개하는 정서조절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four kinds of variables: emotional support from teachers, parents, and peers perceived by upper elementary students; students’ self-regulation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ubjective well-being;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students’ outcome variables(i.e.,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are mediated by their self-regulation(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473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using SPSS 25 and AMOS 22 to analyze the dat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regulation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emotional,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each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s’ support and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Third, emotional regulation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 of peer support to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Emotional support from teachers directly predicted school adjustment, and that from peers directly predicted both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Meanwhile, among sub-variables of self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in affecting dependent variable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The findings indicate the significant role of emotional support from teachers, parents, and peers in making students feel well-being and happiness, and lead positive school life. The results also show the importance of emotional regulation mediating the relations of emotional support to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 문서 내의 주제정보를 이용한 개선된 링크분석 알고리즘

        박기림(Kirim Park),장유진(Yujin Chang),김민구(Minkoo Kim),박승규(Seungkyu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Ⅰ

        최근 인터텟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검색의 방법 중 하이퍼링크 정보를 이용한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하이퍼링크 정보이외에 문서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서와 문서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하이퍼링크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검색 성능을 향상시킨 방법에 개선하여 문서내의 주제정보를 추출하고 주제 단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하이퍼링크의 가중치를 새롭게 부여하여 링크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문서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한 방법보다 뛰어난 성능을 나타내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 괴롭힘 주변인 행동 프로파일: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자기개방적 학급풍토와의 관계

        황혜영 ( Hyeyoung Hwang ),장유진 ( Yujin Chang ),공영희 ( Younghee Kong ),김명섭 ( Myung-seop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4 중등교육연구 Vol.72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괴롭힘 주변인 행동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기개방적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괴롭힘 주변인 행동 프로파일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9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또래 괴롭힘 주변인 역할(방관자, 피해-방어자, 가해-동조자), 자기개방적 학급풍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측정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중학생의 괴롭힘 주변인 행동 유형은 피해자 방어 행동이 높고 방관과 가해자 동조 행동이 낮은 피해자 방어형, 방관 수준이 높고 피해자 방어 수준은 가장 낮은 방관형, 방관, 피해자 방어, 가해자 동조가 모두 평균 수준인 평균형의 세 가지 프로파일로 나타났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기개방적 학급풍토가 괴롭힘 주변인 행동 프로파일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확인한 결과,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높고, 자기개방적 학급풍토가 높다고 지각할수록 평균형이나 방관형에 비해 피해자 방어형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한편,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기개방적 학급풍토 정도가 평균형에 비해 방관형이 되는 데에는 유의한 관계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괴롭힘 주변인 행동 연구에 있어 개인중심 접근이 지니는 의미와 본 연구 결과가 괴롭힘 예방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profiles of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how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a self-disclosing classroom climate are related to these profiles. A total of 392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participated, comple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measure their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a self-disclosing classroom climat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 three-profile model(bystander, victim-defender, and average) was chosen as the final model.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tudents’ perceptions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nd self-disclosing classroom climate predicted latent profile member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sclosing classroom climat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being in the victim-defender profile compared to the average and bystander profile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research on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an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bullying pre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과 진로타협경향성의 조절된 매개모형

        한종임(Han, jonglim),장유진(Chang, Yujin)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탄력성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고,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진로타협경향성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도권 대학 3∼4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29명의 응답 자료를 SPSS 25와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타협경향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진로타협경향성이 낮을 때는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 반면, 진로타협경향성이 높을 때는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준비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탄력성의 관계에서 진로타협경향성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진로타협경향성이 낮은 경우에는 진로타협경향성이 높은 경우보다 진로장벽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부적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Process Macro Model 8을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진로타협경향성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 진로타협경향성 수준을 낮추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며, 이와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ute from career barriers faced by college students through career resilience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resilience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moderated by willingness to compromise one’s care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junior and senior undergraduate students in an undisclosed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429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 and the PROCESS Macr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illingness to compromise the care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barrier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 specifically, the degre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high when students with low willingness to compromise their careers perceived their career barriers to be high. In contrast,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creased for students with strong willingness to compromise their careers when they perceived the career barriers to be high.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willingness to compromise one’s care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Students with low willingness to compromise their careers were found to show a less negativ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resilience when compared to those with high willingness to compromise their careers. La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Model 8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willingness to compromise one’s career. Such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lowering the degree of students’ willingness to compromise their careers in order to enha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The relevant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세라마이드의 액정에멀젼 내 고온 제형 안정성 연구

        홍성윤 ( Sung Yun Hong ),장유진 ( Yujin Chang ),이준배 ( Jun Bae Lee ),박천호 ( Chun Ho Park ),박명삼 ( Myung S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는 세테아릴 알코올, 세틸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라마이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에멀젼의 다층구조에 따른 강화된 계면막에 의해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편광 현미경을 통해 제형 내 몰타 크로스(maltese cross) 무늬를 확인하고, cryo-SEM을 이용하여 다층구조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소각 X선 산란법(SAXS)을 이용하여 라멜라 구조 생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변화를 확인하고 정적 광 산란법(SLS)을 이용하여 입도 분포를 확인하여 액정에멀젼의 제형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We introduce to prepare liquid crystalline emulsion composed of cetearyl alcohol, cetyl palmitate, sorbitan palmitate, sorbitan olivate, ceramide and so on which can enforce interface between oil-based particle and water phase. In terms of structural analysis, the stability of the liquid crystalline emulsion including ceramide, which is immisible ingredient, at high temperature was proved by polarized microscope, cryo-SEM, small-angle x-ray scattering, in addition to viscometer and static light scattering by physical analysis.

      • KCI등재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의 질문중심 상호작용, 자기효능감, 내재적 동기, 학업성취 간의 관계 모형 검증: 저소득층 학생과 비저소득층 학생 비교

        하경영 ( Ha Kyongyoung ),장유진 ( Chang Yujin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17 중등영어교육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 among question-oriented interaction,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classrooms of Korean middle schools. Particularly, the study investigated: 1) how students` perceptions of question-oriented interaction predict their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whether this relation is mediated by th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such as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2) how the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differ between low-income and non-low-income group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06 data (N=6,536)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question-oriented interac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these two variables positively predicted the students`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Both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question-oriented interaction and the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of the next academic year.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some of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low-income and non-low-incom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xample, the effect of question-oriented interaction on intrinsic motivation was stronger for the low-income group whereas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on English achievement were stronger for the non-low-income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 KCI우수등재

        학업 상황에서의 대학생 자기통제 전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명섭(Myung-Seop Kim),황혜영(Hyeyoung Hwang),장유진(Yujin Chang)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학업 상황에서 유혹에 빠지지 않고 공부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자기통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사용하는 자기통제 전략 유형과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자기통제 전략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학업 상황에서 사용되는 자기통제 전략 10가지 요인(상황선택・환경조정, 처벌, 보상, 사전약속, 주의전환, 인지변화, 수용, 신체적 각성, 행동억제, 우선 욕구 충족 후 학습)에 대한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거친 후 국내 대학생 6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차검증을 위해 설문응답 자료를 무선으로 나눈 뒤 절반(n = 311)에 대해 탐색적 요인을 실시하였으며, 나머지 절반(n = 328)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확인, 준거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별로 3개 문항씩 총 30개 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선별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 척도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요인별 신뢰도가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 준거 변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대학생들은 학업 상황에서 자기통제 전략 사용 정도가 높을수록 기질적 자기통제와 학업적 자기통제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통제 실패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우선 욕구 충족 후 학습 전략과 수용 전략은 다른 전략들과 상반되는 관계를 나타냈으며, 보상 전략은 자기통제 실패와의 관련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국내 대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기통제 전략의 유형을 파악하고, 유혹을 효과적으로 이겨내기 위한 교육적 개입 전략을 마련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n academic contexts, effective self-control strategies are essential for students to persist in their studies and avoid succumbing to distractions and temptation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control strategy scale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situations. A self-report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consisting of 10 self-control strategies used in academic contexts: situation selection and modification, punishment, reward, precommitment, distraction, cognitive change, acceptance, physiological arousal, behavioral inhibition, and studying after temporary desire satisfaction. After review by expert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639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o conduct cross-validation, the survey response data was split into halv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one half of the data (n = 31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riterion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other half of the data (n = 328). Based on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nal set of 30 items (three items per factor) was selected for the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of the final scale model, and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s was consistently high.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with criterion variables showed that higher utilization of self-control strategies in academic situation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rait self-control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nd with lower levels of self-control failure. On the other hand, the studying after temporary desire satisfaction strategy and the acceptance strategy showed contrasting relations with other strategies. The relation between the reward strategy and self-control failure was not significant. This newly developed scale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identifying the types of self-control strategies that college students use in academic contexts and in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s to overcome temp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