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주의 음악과 인문학 강의 운영 방안

        황혜영(Hwang, Hyeyoung),김혜진(Kim, Heyj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이 연구는 음악 전공과 인문학 전공 두 교수자가 코티칭 강좌로 운영하는 음악과 인문학 수업에서2020학년도 1학기부터 새롭게 도입한 생태주의 주제 수업 사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심각한 생태위기는 인간이 생태계의 다른 생명체나 자연을 도구와 수단으로 여기는 인간중심적 가치관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이기주의적 인간중심사상과 무분별한자연 개발에 대한 반성과 실질적인 환경개선 방안 모색과 함께 보다 근본적으로 인간이 생태계 다른구성원들과 조화와 상생을 추구하는 생태적 가치관을 회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수업에서는 표층적 생태관과 심층적 생태관 두 관점에서 음악과 인문학에 접근해보고 자연 친화적인 시와 동요, 자연을 테마로 하는 음악 작품들을 감상하였다. 또한 2020년 급작스러운 코로나 19 사태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야 되는 상황에서 음악과 함께 오감을 활용하여 자연을 느껴보는 체험시간을 가지도록 오감마인드맵으로 자연 체험 소감과 느낌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 수업후의 설문에서 생태주의 테마 음악과 인문학 수업이 정서적인 회복을 도모하고 몸의 감각을 통해생태주의 사고를 갖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의견을 주었다. 우리는 비대면 온라인 강의 수강 환경에서이러한 생태 체험 오감마인드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직접 선정한 음악을 감상하며 오감을열고 자연에 다가가는 체험에서 느낀 생생한 감각을 신선하고 독창적인 인상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친화적인 사고와 감성을 함양하고 자연에 가까이 다가가고자 한 것과 더불어코로나 위기 속에서 음악과 자연, 인문학적 성찰로 자아를 어루만져주는 기회를 가진 점에 이번 자연과가까워지는 생태주의 음악과 인문학 수업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asses conducted by two professors in the music major and the humanities major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who introduced a new themes of ecological music and humanities. Today, the ecological crisis due to the damage to natur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getting serious. The ecological crisis is attributed to human-centered values in which humans regard other lives in the ecosystem as merely tools and means. In order to overcome this crisis, it is necessary for us to reflect upon selfish, human-centered thoughts and the reckless development of nature, as well as to seek pract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s and solutions. Fundamentally, humans must restore ecological values that seek harmony and coexistence with other members of the ecosystem. In music and humanities classes, we first looked at the seriousness of the ecological crisis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ok time to reflect on ecological problems, all while listening to environmental music. Furthermore, while listening to nature-friendly music, we shared the ecological-oriented values which state humans should respect and live in harmony with other living organisms in the ecosystem listening to nature-friendly music.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that began earlier this year, we guided the students to take the time to try to heal themselves while experiencing nature with spring-themed music. The two professors encouraged the students to create a five-sense mind map for the experience of feeling nature with music, thereby inducing an emotional recovery and promoting the reinforcement of ecological thinking. The significance of ecological music and humanities classes is that they try to cultivate nature-friendly thinking and sensibility, bring students closer to nature, and provid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touch emotions through music, nature, and reflection on the humanities.

      • KCI등재

        <미학의 이해> 비대면 게이미피케이션 강의 사례 분석

        황혜영(Hwang hye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이 연구는 <미학의 이해> 교양 교과목에서 게이미피케이션 학습법을 활용한 비대면 강의 사례를 소개하고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자는 감성적 인식을 기반으로 아름다움과 예술에 대한 제반 문제를철학적으로 고찰하는 미학 수업에서 게임적 요소를 수업에 도입하여 학습효과를 제고하는 게이미피케이션 학습법을 도입하였다. 1회차는 T차트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한 영감의 예술과 모방의 예술에 대한 성찰 활동, 2회차는 현재 감정을 들여다보기와 부정적 감정 종이에 적어 구기기 퍼포먼스, 긍정적 감정 적어두고 보기 등 감정 카드놀이, 감성 사전 단어 새롭게 정의하기 조별활동, 3회차는 미학 질문에 답하기로 번호 맞히기와 수업 내용 단어 알아맞히기, 4회차는 조별 가사 창작하기와 합창하기 활동 등 총 4주 실시간 수업에서 미학과 게임적 요소를 연계하여학습자에게 자연스럽게 강의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도록 하고 주어진 미션들에 집중하고 몰입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수업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며 각자 고립되어 강의를 듣는 상황에서 동료들 사이의 소통과 상호작용 기회를 통해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고 협력 능력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장기화된 전세계적 팬더믹 상황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어루만져줄 수 있도록 게임에 감성 체험 요소를 반영하였다. <미학의 이해> 게이미피케이션 학습법 도입을 통해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와 관심, 자발적 참여 동기를 발견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성취감과 장기적인 학습효과 향상을 가져오고 미학적 주체로서의 감성인식 능력을 강화해가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xamples of non-face-to-face lectures using the gamification learning method in <Understanding Aesthetics> and ways to operate them. This researcher introduced the gamification learning method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by introducing game elements into the class in the aesthetic class that philosophically considers various issues about beauty and art based on emotional recognition. This researcher tried to revitalize the class by combining lecture content and game elements in a total of 4 weeks class : the 1st session was a reflection on the art of inspiration and the art of imitation using T-chart facilitation, the 2nd session was to release emotions and create an emotional dictionary with emotional word card games, the 3rd session is to answer the aesthetic question, guess the number and guess the words of the lecture and the last session is the group lyrics creation and chorus activity. This researcher tried to revitalize classes by introducing gamification learning activities into <Understanding Aesthetics> so that students naturally have interest and interest in lectures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given missions. In addition, while maintaining social distancing due to the corona virus and listening to lectures in isolation, the researcher want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colleagues to broaden their thinking and strengthen their cooperative abilities. the emotional experience element was reflected in the game so that the students’ tired bodies and minds can be touched in the prolonged global pandemic situation. With gamification in <Understanding Aesthetics>, the researcher wanted to help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to improve their sense of achievement and long-term learning effect, and to help develop their aesthetic recognition ability.

      • KCI등재

        대중 앞 토론 보완 하브루타 수업 사례

        황혜영(Hwang Hye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사고와 표현은 종합적 문제해결능력과 사고력,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개설된 학제적 교양과목이다. 본 연구는 사고와 표현의 말하기 중심 강좌에서 직전 학기 토론에 대한 학생 인식과 문제 진단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중 앞 말하기의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으로 하브루타 학습법을 도입한 강의 사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브루타와 대중 앞 토론은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능력, 대화와 협동 능력 등 그 목적과 효과에서 많은 부분 공통되지만 전자는 사적인 말하기이고 후자는 공적인 말하기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우리는 이러한 차이가 지닌 효과의 차별성을 감안하여 대중앞 말하기에 앞서 4회에 걸쳐 하브루타를 도입하여 논리적인 사고와 표현 역량을 지속해서 강화시켜주면서도 대중 앞 말하기의 부담을 완화해주는 효과를 도모하였다. 이번 하브루타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관점의 생각을 풍부하게 발산하고, 토론 전 적극적인 자기 표현 연습을 통해 공적 토론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었으며, 대화와 협력 능력을 기르고 공동체에서의 다양한 역할 분담 역량을 키울 수 있었다. 하브루타와 공적인 토론 활동 후 설문한 결과 토론 수업에 앞서 하브루타 활동을 한 것은 대중 앞 말하기의 부담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하브루타와 공적인 토론은 논리적인 말하기 실력 향상에 서로 보완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브루타와 공적인 토론의 학습 지향 차이에 대한 설문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생각을 풍부하게 표현하거나 생각을 편하고 자유롭게 말하는 데는 하브루타가 훨씬 더 효과적인 반면 생각을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거나 생각을 논리적으로 조리 있게 말하는 데는 공적인 토론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적인 논리대화 하부르타 학습과 공적 토론 학습모델과 결합하여 사적인 말하기와 대중 앞 말하기, 자유로운 자기표현과 논리적인 의사전달 방법의 효과적인 결합으로 통한 사고와 표현 - 말하기 강의를 개선해나가고자 한다. <Thinking and Expression> is an interdisciplinary liberal arts course designed to improve overall problem-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xamples of lectures in which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as introduced. Havruta was introduced in this <Thinking and Expression> (speaking) course considering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regarding students’ problems during the public debate sessions in the course. Students feel emotionally burdened regarding a public debate; Havruta allows students to have a logical conversation in a private space. Public debate and Havruta are common in their purposes and effects, such as logical thinking,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e tried to ease the burden of speaking in front of the public for students by conducting Havruta four times before the public debate. Through Havruta, students were able to freely express various ideas and reliev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public debate through private conversation and debate training. Further, they developed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 their different positions in the group. The results of the survey after the public debate following Havruta indicate that Havruta before the public debate helped to alleviate the burden of speaking in public.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Havruta and public debate complement each other and help improve logical thinking and speaking skills. Addition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Havruta is more effective at expressing thoughts abundantly and talking comfortably and freely, whereas a public debate is more impactful in analyzing thoughts, organizing structures, and talking logic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improve <Thinking and Expression> (Speaking) lectures through an effective combination of private and public speaking, free self-expression, and logical communication methods.

      • KCI등재

        자기 효능신념과 학업 성취간의 관계 - 학습동기 비교 연구의 체계적 고찰 -

        황혜영(Hyeyoung Hwa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5

        본 연구는 자기 효능신념 (본인이 이 과제/활동에서 얼마나 잘 할 수 있을까에 대한 믿음)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이해함에 있어 필요한 비교문화연구에서의 동기 관련 이슈 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기 효능신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에서는 문화적 차이가 있을까? 2) 만약 차이가 있다면,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다른 학습동기관련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서양과 동양권 문화를 가진 국가를 대상으로 비교연구의 목적으로 연구된 결과물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고찰(systematic review)을 실시하였다. 총 35편의 연구들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자기 효능신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를 살펴 본논문들은 일괄적으로 하나의 현상에 주목한다: 평균적으로 수학이나 과학에 뛰어난 학업 성취를 보이는 아시아권 학생들은 미국과 같이 성취가 낮은 국가들의 학생들에 비해 비교적 낮은 자기 효능신념을 보이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역설적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동기 이론을 바탕으로 가능한 동기적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귀인이론의 측면 에서는 능력과 노력이라는 두 가지 귀인요인이 문화권별로 다르게 인식되거나 중요시 되는 정도가 달라짐이 성취와 자기효능신념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선행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기대-가치이론측면에서는 자기효능신념뿐만 아니라 과제에 대해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 (예를 들어, 유용성가치)가 아시아권 학생들의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일부 연구들로 확인되었다. 자기효능감이론 측면에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믿음 보다는 실제능력정도를 반영한 효능신념(calibration of self-beliefs)이 아시아권 학생들의 성취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밝힐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동기적 요인들은 충분한 연구를 통해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에 추후연구들로 재확인 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논문에서는 추후연구를 위한 이슈들을 이론적 측면 및 연구방법론 측면 에서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함의점에 대해 논하였다. This paper brings together the cross-cultural issues related to ability-related beliefs and their relations to academic achievement.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ed: (1) How does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tructs and achievement vary across cultures?, and (2) If the relation appears to be influenced by cultural dimensions, which characteristics could be as factors underlying these differential relations across culture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nd thirty five articl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for the review. The result showed that a puzzling rel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self-belief constructs across cultures appears consistently in this review: East Asian students, who perform relatively high on international tests in math or science, tend to view their competence in math or science more poorly than do students in lower-performing countries such as the U.S. This paper focuses on the substantive cultural hypotheses regarding motivation, which might identify the factors underlying these differing relations across cultures. Each hypothesis is proposed within the motivation theory framework of attribution theory, expectancy-value theory, and self-efficacy theory. There are variances in how the different self-related constructs are defined across culture as well as differences in cultural emphasis on one construct over another. However, these cultural hypotheses were only scantly supported with extant research, thus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se findings. At the end of the paper, several promising research directions regarding three selected concerns are provided: theoretical issues, methodological issu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간호 전문직의 의무적 선행의 범위 규정에 관한 연구

        황혜영(Hyeyoung Hwa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4 No.2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갈등은 의료인의 선행에 대한 견해 차이에 의해 발생 및 심화된다. 동일한 선행을 의료인은 권장의 영역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환자는 의료인이 반드시 따라야 하는의무로 여길 수 있다. 이 경우 의료인은 의무가 아니기에 해당 행위를 하지 않을 수 있고, 환자는의무로서의 선행을 베풀지 않는 의료인을 오해하고 불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전문직의 선행에 대한 올바른 개념 정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의무적 선행과 이상적 선행의 구분이 우선되어야 한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의료인 중에서도 간호사의 의무적 선행에 대한 논의가 더욱 요구됨을주장하였다. 간호가 “모든 개인, 가정, 지역사회를 직접 도와주는 활동”으로 정의됨에 따라, 간호사는 직무 범위를 벗어나는 매우 이상적인 형태의 선행까지도 의무적으로 수행할 것을 요구받게된다. 도덕적 이상으로서의 선행과 의무로서의 선행을 구분하지 못하고 간호사에게 무한정의 희생과 헌신을 강조하는 것은 결국 간호사의 처우를 열악하게 만들고 열정을 가진 간호사들을 소진시킬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탐 비첨(Tom L. 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F. Childress)가 제시한 “구조의 의무(duty of rescue)”를 간호사-환자 관계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고, 간호사의 의무적 선행의 범위를 규정하기 위해 구조의 의무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구조의 의무를 활용하여 간호사가 직면할 수 있는 선행의 속성을 규명하는것은 실현 및 지속 가능한 간호사 상을 제시하고, 간호사-환자 간의 치료적 관계를 증진시킬 수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Conflicts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are caused and aggravated by differences in views on healthcare professionals’ beneficence. Healthcare professionals may consider a certain beneficent act to be a recommendation, whereas the patient may consider the act to be an obligation that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must follow. Healthcare professionals do not regard such acts to be an obligation; thus, healthcare professionals may not perform the act of beneficence. Patients who believe that the act is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obligation may misunderstand and distrust their healthcare profession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ight concep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beneficence; therefore, the distinction between obligatory beneficence and ideal beneficence must take precedence. In this paper, I argue that discussion on the obligatory beneficence of nurses should be required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Nursing is a profession that involves directly helping all individuals, homes, and communities; thus, nurses are forced to perform forms of beneficence outside the scope of their duties, including moral ideal forms. Failing to divide beneficence into moral ideals and obligations and emphasizing unlimited sacrifice and devotion to nurses can deteriorate the treatment of nurses and exhaust nurses with enthusiasm. In this paper, I critically reviewed the duty of rescue proposed by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within the nurse-patient relationship. I hypothesized that the duty of rescue can be used to define the scope of nurses’ obligatory beneficence. The duty of rescue consists of five individual conditions, which I examined in relation to the special nature of nurse-patient relationship. I applied the duty of rescue to the four hypothetical and practicable cases to confirm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duty of rescue to define obligatory beneficence among nursing professionals. I expect that identifying the nature of beneficence using the duty of rescue will present a feasible and sustainable nurse image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patients.

      • KCI등재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학업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및 학업 스트레스의 종단적 관계 분석

        황혜영 ( Hyeyoung Hwang ),김나영 ( Nayoung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전환기를 거치는 동안 학업 및 사회 자아개념과 학업 스트레스가 어떠한 변화양상을 보이는가를 살펴보았고, 학업 및 사회 자아개념의 변화가 학업 스트레스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ELS 2013 1~6차년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총 5,909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업 스트레스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자아개념의 경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사회 자아개념은 초등학교 시기 증가세를 보이다가 중학교로 넘어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학업 자아개념의 감소폭이 클수록 각 시기의 학업 스트레스 증가폭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자아개념의 경우, 초등학교 시기의 증가폭이 클수록 같은 시기 학업 스트레스 증가폭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중학교 진학 후에는 사회 자아개념의 감소폭이 증가할수록 학업 스트레스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학업 및 사회 자아개념은 학업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기에, 특히 학교급 전환기에 학업 및 사회 자아개념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as well as academic stress are chang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nd to identify how changes in the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are related to changes in academic stress. The data were analysed 6 years panel data of KELS 2013 that were collected from 2013 to 2017. Data of 5,091 students (male: 51.0%) were analyzed using piecewise growth modeling. The result shows that academic stress decreased with age between Grades 5 and 10. Academic self-concept also decreased constantly over the period but social self-concept increased during elementary school but turned into the decrease after beginning middle school. As the degree of decrease in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was greater, the degree of increase in academic stress was greater. This implie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ncrease adolescents’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in schools, especially at school transition period, in order to ultimately reduce academic stress.

      • KCI등재

        경향점수를 활용한 교내 동아리 활동 참여가 고등학생의 학업 및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나영(Kim Nayoung),황혜영(Hwang Hye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교내동아리 활동 참여가 고등학생의 학업적 및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중학교 패널 3차년도, 4차년도 및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표본선택편의를 줄이고자 경향점수매칭(PSM)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개인 심리적 특성, 학교생활 변수 및 학교특성이 고등학생들의 교내 동아리 활동 참여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교내 동아리 활동 참여집단과 미참여집단 간 동등성을 확보한 후, 두 집단 간 학업적·사회적 자아개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동아리 활동 참여집단이 미참여집단에 비해 학업적·사회적 자아개념이 모두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학업적·사회적 자아개념을 함양하기 위해서 학교현장에서 동아리 활동 참여를 활성화 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hool club participation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 Data from the 3rd, 4th, and 6th year taken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were analyzed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method to increase causal inference as well as eliminate sample selection bias. Results: First,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life characteristics as well as schoo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clubs. Second, after forming parallelized samples of club participation students and non-participation students and analyzing mean-difference in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between two samp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both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is higher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lubs than those who did not.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terventions for promoting high school students’ club activities in school.

      • KCI등재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 잠재집단의 변화

        김나영(Kim, Nayoung),황혜영(Hwang,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중학교로 이동하는 전환기(school transition)를 중심으로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 잠재집단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경기 교육종단연구 3차년도의 초등학교 6학년과 4차년도의 중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총 2,848명의 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자기결정성동기 프로파일은 각각 5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두 측정시점 모두에서 무동기형, 높은 자율성 동기형, 높은 통제성 동기형, 중간 동기형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낮은 동기형은 초등학교 6학년에서만 강한 동기형은 중학교 1학년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양상은 높은 자율성 관련 동기 수준을 가진 집단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 성 동기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 결과,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의 변화가능성이 함께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진학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학습 동기의 부정적인 변화를 최대한 줄이고 학생의 자율성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features of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from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and identifies transition patterns of student motivational profil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The third and fourth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GEPS) (N=2,848) a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 First,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elementary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are classified into five subgroups: ‘amotivation’, ‘low motivation’, ‘high autonomous motivation’, ‘high controlled motivation’, and ‘moderate motivation’. Middle school students’ profiles include ‘amotivation’, ‘moderate motivation’, ‘high autonomous motivation’, ‘high controlled motivation’, and ‘strong motivation(i.e., high autonomous and high controlled). Second, for patterns of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student motivational profile,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igh-level of autonomous motivation group are significantly higher. Third,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show changeability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풍류, 전통음악, 전래놀이와 함께하는 음악과 인문학 강의 분석

        김혜진(Kim Heyjin),황혜영(Hwang Hye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본 연구는 음악 전공자와 인문학 전공자가 코티칭으로 운영하는 교양강좌 음악과 인문학 수업에서 우리 전통 풍류 사상과 전통음악을 결합한 수업 사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수업에서 풍류 정신과 선비사상, 우리 전통음악에 대해 배우고 부채에 글이나 시를 작성하는 풍류 체험 활동, 전통음악 감상과 전래동요 노래와 춤 체험하기, 그리고 몸과 정신의 균형을 위한 전래놀이 야외 체험활동을 하였다. 풍류 정신은 중국으로부터 삼국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 자생적 고유 사상이다. 유, 불, 선의 외래 사상도 포함하는 우리 전통 풍류는 신라시대 화랑도 정신의 근간이 되었으며 조선시대 선비사상으로 그 전통이 이어져왔다. 도의로 서로 연마하고 노래와 춤으로 서로 즐기며 산천을 찾아 노니는 것을 함께 아우르는 풍류에는 노래와 춤을 즐기는 것이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우리 전통 음악활동은 풍류의 실천적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전통음악은 영혼에 스며드는 느리고 평온하며 우아한 리듬으로 청년들에게 마음의 위안을 주고 정서를 순화시켜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순박한 우리 전통 흥과 가락, 전래동요와 전래놀이 체험은 동심을 회복시켜주고 감성 능력을 고취시켜줌으로써 건강한 인성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우리 고유한 사상과 전통음악음악, 전래놀이를 배우고 누리는 것은 오늘날 다른 문화 사회와 서로 화합하고 교류하고 나누면서도 우리 고유의 정신을 되살리고 보다 깊고 풍성한 자아 정체성을 회복해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that combine the Korean traditional Pungryu(the way the elites enjoyed themselves through travels, songs, and poetry contests, thereby cultivating their emotional bond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liberal arts ‘music and humanities’ taught jointly by music and humanities instructors. In this class, we introduced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our traditional philosophy, music, and plays. The Pungryu is an original native Korean ideology, embracing imported ideologie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Hwarangdo spirit during the Silla Period, and continued its tradition through the Seonbi ideology during the Joseon Dynasty. Music was one of the core parts of Pungryu, which encompassed the refinement of others through development of a sense of moral justice, enjoyment of song and dance, and journeying across the mountains and rivers.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can be said to be the practical realization of Pungryu. We expect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able to provide mental consolation and emotional cleansing to the students through its slow, calming, and elegant rhythm that permeates the soul. In addition, experiences of simple Korean traditional enjoyment and melody,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plays can aid in health personality development by restoring the innocence of childhood and improving emotional sensitivity. Learning and enjoying Korean traditional ideology, traditional music, and traditional play can revive our native spirit and restore a deeper and richer self-identity even as we harmonize and interact with other cultures these days.

      • KCI등재

        Lasso 벌점회귀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학업열의 관련 변수 탐색

        김나영 ( Nayoung Kim ),황혜영 ( Hyeyoung Hw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이 연구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 중 하나인 벌점회귀 모형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1차년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벌점회귀 모형 기법인 Lasso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267개의 분석변수 중 최종적으로 36개의 변수가 선택되었으며, 이 때 모형의 예측 정확도는 87.13%였다. 선택된 변수 중 개인발달 영역에서 학업성취도, 학업무기력,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 주의집중, 그릿, 스마트폰 의존도, 교사와의 관계, 성별, 사교육 유무, 가정의 경제수준, 부모 희망교육 수준 등 중학생의 개인발달 및 발달환경과 관련된 변수가 기존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반면, 주말 독서시간, 주말 학습시간, 평일 학습시간, 진로 관련 대화 빈도, 협업능력, 청소년 활동 참여 횟수 등과 관련된 변수는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plored predi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using the KCYPS 2018 panel data from middle-school student cohorts of first graders. A total of 267 variables were investigated employing Lasso regression among penalized regression techniques. After the pre-processing of data, 36 predictors were finally selected in the Lasso model and the prediction accuracy was determined to be 87.13%. The selected 36 predictors include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helplessnes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ttention, grits, smart phone dependency, student-teacher relationship, gender,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home economic background, and parents' expected education level. These variables regarding students' personal development we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On the other hand, predictors such as reading hours on weekend, study hours on both weekend and weekdays, frequency of career-related conversations, cooperation,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were newly explored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enhancing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