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개입모형 개발 :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를 예방하는 시각에서

        장수미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1 No.-

        알코올중독은 중독자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의 역기능을 초래한다. 특히, 부모의 알코올중독이 아동의 심리적, 사회적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제까지 알코올중독자 자녀에 대한 지배적인 연구결과였다. 이 연구들은 주로 임상표본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서, 알코올중독 부모가 있는 역기능적 가족환경에서 자라난 자녀에게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알코올중독자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에 대한 치료적 개임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 알코올중독자 가족에서 성장함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적응을 이룬 자녀에 대한 연구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family resilience)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 과정에서 나타난 자녀에 대한 보호요인이 무엇인가를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질병중심, 결함중심 시각을 기반으로 한 치료적 접근에서 벗어나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을 촉진시켜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의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지역사회에서 개입할 수 있는 예방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Alcoholism has effect on all alcoholic's family members as well as alcoholic himself and it has results in adverse effects on the family function. Especially, it was dominant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alcoholic parents make adverse effects on the children's psychologic and social function in most cases. These studi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clinical population. Therefore, they are recognized the fact that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lcoholism will be easily executed to the COA(Children Of Alcoholics) who have brought up under the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Accordingly, there are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for alcoholic's spouse or children . However, the studies on the alcoholic's children who has achieved successful adaptation in spite that they had brought up under alcoholic parents, have made attention to family resilience in the alcoholic family.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y in order to find that what is protective factors in the adaptation of COA that have appeared in the process of family resilience. Also,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transition from medical approach focused on disease and deficits to preventive approach in the community for improving family resilience and preventing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lcoholism.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 모색 : 종합사회복지관 실습에 참여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장수미,김경미,이지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2

        사회복지학전공 학생들은 실습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 적용시켜보며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의 가능성을 탐색하게 되므로 실습은 사회복지사로 성장하는데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실천교육을 위한 대표적인 기초과목인 사회복지실천론은 실습 전에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선수과목으로서 성공적인 실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를 위해 실천론수업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답을 구하기 위해 서울지역 6개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습을 완료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 10명에 대해 6명, 4명으로 구분하여 각 1회씩 총 2차례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고, thematic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실습에서사회복지실천론의 적용, 실습을 통해 실천론 내용의 이해가 깊어짐, 사회복지실천론 수업과 현장의 간극, 사회복지실천론 교과목의 개선과 변화의 방향(사례를 통한 수업진행과 피드백, 현장의 흐름을 반영, 자기인식 및 자아성찰 추가, 가치갈등에 대한 해결연습등)의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과 실천의 통합을 위해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 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를 위한논의와 제언,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휴먼서비스 분야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장수미,정지형,이희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1

        The necessity of non face-to-face counseling developed by ICT has been further emphasizing due to social distancing since COVID-19. As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have been developing, studies that proved those effects have also been reported in Korea. However, few studies that systematically analyzed such programs have been reported. Thus,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17 articles on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that applied (quasi) experimental design and published in KCI by May 31, 2021. The analysis frameworks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published years, academic fields, research designs, subjects, and types of non face-to-face counseling), (2) theoretical backgrounds, contents and structures of the programs, and (3) goals of the programs, measurements, and effectiveness. Based on the primary findings, we argued usefulness (anonymity, efficiency, high accessibility, immediate intervention, and ease of post-monitoring) and limitations (limitations of non-verbal expression, quality of contents, low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lienated groups, and ethical issues) of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and then discussed implications for practical fields of human service.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by providing evidence and basic data that may serve as a guide for practitioners as they conduct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정보통신기술로 발달한 비대면 상담은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그 필요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그 효과성이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 이를 체계적·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1년 5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에 출판되었으며, (유사)실험설계를 적용한 비대면 상담프로그램 논문 17편을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틀은 첫째, 일반적 특성(발행연도, 학문분야, 연구설계, 연구대상, 비대면 상담 유형), 둘째, 이론적 근거, 프로그램 구조와 내용, 셋째, 프로그램 목표와 측정, 효과성이다. 분석 결과에 따라, 비대면 상담의 유용성으로 익명성, 효율성, 높은 접근성, 즉각적 개입, 사후 모니터링의 용이성을, 제한점 및 보완할 점으로 비언어적 표현의 제한, 콘텐츠의 질, 정보 취약계층의 접근성, 윤리적 이슈 등을 제시한 후 휴먼서비스 현장에의 함의를 논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통해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할 때, 실무자에게 지침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 및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팬데믹과 중독 행동 : 정신건강사회복지에의 함의

        장수미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5 No.1

        The COVID-19 pandemic has had a huge impact not only on physical health, but also on mental health. The UN has called COVID-19 and mental health “Parallel Pandemic,” and has declared that COVID-19 is a disaster that devastates mental health(UN, 2021).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an increase in various addictive behaviors such as alcohol, drugs, gambling, and the Internet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pandemics. However, in Korea, there is a lack of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interest for addictive behaviors in disaster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pandemic on addictive behaviors, focusing on the four major addictions: alcohol, drugs, gambling, and the Internet,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 for addicted clients in the post COVID-19 era were discussed 코로나19 팬데믹은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UN은 코로나19와 정신건강을 “Parallel Pandemic”으로 칭하면서, 코로나19가 정신건강을 황폐화하는 재난임을 천명한 바 있다(UN, 2021). 해외 연구에서는 팬데믹 등의 재난 상황에서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등의 다양한 중독 행동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재난시기 중독 행동의 변화 양상 및 이에 따른 사회복지적 관심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등 4대 중독을 중심으로 팬데믹이 중독 행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독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신건강사회복지 정책 수립 및 실천 현장에서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대학생의 간접음주 폐해와 캠퍼스 음주정책

        장수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9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1 No.1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among college students become a widespread health problems in the world. In South Korea, the prevalence of alcohol drinking by the college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by the adults. Recently, concept on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that the result of excessive drinking influences negatively to the other person was introduced in the western societ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it was explored the concept,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of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Second, survey on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was conducted with 503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Third, it was discussed the campus alcohol policy to prevent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These findings provide an understanding on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and basic data for building prevention policy in college campus. 대학생의 과도한 음주(excessive drinking)는 전 세계적인 보건문제로서, 한국 대학생의 월 간 음주율 및 문제 음주율도 성인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최근 서구에서는 과도한 음주로 인 한 결과가 음주자 본인 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음주 폐해 (secondhand harms of drinking)”의 개념이 제기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목 적을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간접음주 폐해의 개념, 실태와 대 응을 살펴보고 둘째, 수도권 및 충청지역 소재 3개 사립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n=503)을 대상으로 간접음주 폐해 경험을 조사한 후 셋째, 대학생의 간접음주 폐해를 예방 하기 위한 캠퍼스 음주정책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간접음주 폐해에 대한 민감성 증진과 예방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사회복지실천과 온라인 상담 : 가능성과 도전 탐색하기

        장수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2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3 No.1

        The COVID-19 pandemic has had a direct impact on social work practice provided by face-to-face service traditionally. The issue of loneness and isolation on vulnerable populations including the elderly and disabled are emerged. Also the violent behaviors(ex. child abuse, partner violence) and addictive behaviors(ex. internet game and online gambling) are increase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online counseling by using ICT as new model of social work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online counseling in the social work practice. The author examined the definitions, availabilities and effects, readiness of social workers, practical, ethical and legal issues in online counseling need to be social work settings in the new normal era.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nd evidences to develop a non face-to-face model in the social work settings. 코로나 19 팬더믹은 전통적으로 대면상담을 진행해 온 사회복지실천 현장에도 변화를 야기시키고 있다. 정부의 방역지침에 의해 사회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없게 되자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외로움과 고립, 돌봄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아동학대, 배우자 폭력 등의 폭력행동, 인터넷 게임, 온라인 도박 등의 중독 행동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새로운 실천 패러다임으로서 정보통신 기술(ICT)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뉴노멀 시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온라인 상담(online counseling)의 개념, 적용 분야와 효과, 온라인 상담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준비, 실천적, 윤리적, 법적 이슈 등 가능성과 도전 이슈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온라인 상담 등 비대면 서비스의 개발과 보급을 위한 근거 및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그 의의를 가질 것이다.

      • 대학생의 도박행동과 정신건강

        장수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4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6 No.1

        선행연구에 의하면 대학생 집단은 청소년, 성인에 비해 도박행동에의 참여가 더 높고, 도박과 관련된 다양한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87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도박행동과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의 정신건강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7.4%의 대학생이 문제도박의 위험을 나타내었고, 대학생의 도박행동 수준과 우울, 불안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p<.001).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 도박문제에 대한 학교와 지역사회에서의 예방 및 치유재활을 위한 개입전략 수립에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According to recent studies, college students are high-risk group to develop problem gambling and have various mental health problems related to gamb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ambling behaviors and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A poll of 870 college students are surveyed their level of gambling behavior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e results are that 7.4% of participants are screened as a problem gamblers and there ar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ambling behaviors and depression/anxiety(p<.001). This results might be useful for college and community to build intervention strategies on gambling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