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전기」의 의미 변모와 근대적인 의의 -A.콩트의 3단계의 법칙 의 시점을 중심으로-

        후천 ( Houquan Zha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5 언어사실과 관점 Vol.36 No.-

        메이지의 계몽사상가들은 문명개화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새로운 학술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수많은 개념을 한자어의 형태로 고안하였다. 새로운 한자어에는 「철학」이나 「심리학」, 「민주」 「과학」 등과 같은 추상개념의 단어가 많은데 「전기」와 같은 과학 기술의 용어도 포함되어 있다. 필자는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한자어를 서양근대의 문명을 이식하는 프로세스에 착안하여 「근대 한자어」라 칭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대」는 일본의 근대라는 의미가 아니라 「서양근대」의 의미이다.「근대 한자어」를 고찰함에 있어서, 주로 아래의 세 가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단어 구성의 문제이며, 또 하나는 단어의 의미 형성과 변모의 문제이다. 나아가 일중한의 사이에서 차용의 사실이 있다면 차용 관계도 중요한 문제이다. 본론은 과학기술의 개념으로써 중요한 용어인 「전기」를 고찰한 것이다.「전기」에 대한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는 「전기」가 ‘electricity’의 번역으로써 중국어로부터 일본에 전해졌다라는 설이 유력하였다. 그러나 몇 가지 문제점이 남는다. 하나는 「전기」가 일본에 전해지기 전에 그것에 해당하는 네덜란드어 역의 「월력」(에레키)과 같은 의미인 것처럼 여겨지고 있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당시의 「전기」가 과연 오늘날의 「전기」와 같은 의미의 용어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구와키 아야오(1935 : 4)는 「에레키테르 물어(物語)」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라는 말은 나중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이다」라 말하고 있다. 야마다 다카오(1958 : 420)는 「한자 번역의 서책으로부터 들어왔다」고 분류하고 있다. 그 때문인지 필자가 2001년에 국어학회에서 발표했을 때에 「전기」를 일본의 근대 한자어로 분류하자 질문자로부터 「중국어라는 것이 정설이다」라고 지적 당하였다. 그러나 그 정설이 어떠한 기준으로 어떻게 정해졌는지는 꼭 명확하지만은 않다. 특히 「전기」와 같은 근대성을 지닌 과학 기술의 용어는 글자의 출현 순서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A.콩트의 지식의 「3단계의 법칙」이나 과학사의 척도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전기」라는 말은 중국어에서 유래했다는 견해는 일찍부터 존재하여, 가와모토 고민(1857 : 3)은 「기해관란광의(氣海觀瀾廣義)」에서 네덜란드어인 「에레키테루」에 해당하는 단어를 「중국인이 최근 전기라 번역함」이라고 말하고 있다. 가와코토 고민(1857)이나 구와키 아야오(1935), 야마다 다카오(1958)의 「전기」 중국어 설에는 특별히 구체적인 중국어의 문헌은 거론되고있지 않다. 이에 반해 마츠이 도시히코(1983)는 「전기」라는 용어가 영국의 선교사 W. 뮤어헤드(William Muirhead 모유렴(慕維廉))의 「지리전지(地理全志)」(1853-54년) 속에서 확인되었다고 구체적인 문헌을 언급하여 명확히 지적하고 있다. 또한 야쓰미미 도시후미(1992 : 118)는 미국 선교사 맥고원(D.J.MacGowan)이 번역한 「박물통서」(1851년)에 대하여 상세히 논고하면서 「전기」라는 단어의 시작이 맥고원의 「박물통서」에 있었다고 말하였다.그러나 「박물통서」의 번역 예가 가장 빨랐다는 이유로 현대의 「전기」라는 용어가 중국어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신빙성이 빈약하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당시 번역된 「전기」라는 말의 의미가 현대의 「전기」와 꼭 합치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박물통서」의 기술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마찰전기」「정전기」의 의미로써 사용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제2차 산업혁명의 상징으로써 이해되고 있는 현대의 「전기」의 개념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또한 야쓰미미 도시후미(2007 : 93)는 「중국에서는 「전기」는 기(氣)가 아니기 때문에 「電(電)」 한 자로 사용되게 되었으나 일본에서는 여전히 「전기」가 사용되고 한국에서도 「전기」의 한글 표기가 사용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어, 여기에서는 확실히 주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중국에서는 「전기」라는 용어가 그 후사용되지 않게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電氣”/전기」는 지금도 「“電氣化”/전기화」 「“電氣工程學”/전기공학」 「“電氣工程師”/전기 엔지니어」와 같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한편 「전기」라는 용어가 중국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과는 반대로 중국의 연구자 중에는 일본의 근대 한자어로써 인정하는 사람도 있다. 예를 들면 언어학자인 왕리(王力1980 : 526)는 「「電」이 접두어로 되어 있는 복합어는 모두 일본어에서 유래한다」고 기술하였다. 최근 장후천(張厚泉 2006 : 58)은 「박물통서」(1851년)를 언급하며 이 책이 아마도 가장 일찍 「전기」를 사용한 중국어 문헌이며 전기는 「전」과 「기」의 복합어로 「기」는 중국 고대 철학의 개념이라 지적하고, 유선전보의 순간적인 통신기능이 「전기」의 형성을 촉진했다고 밝혔다. 중국어의 「전기」가 일본어에 들어오기 전에 네덜란드어인 ‘Elektriciteit’의 일본어 역인 「에레키데리세이리테이」 「에레키(越歷)」에는 이미 「기(器)」의의미가 있었다. 고토 리슌은 「홍모담(네덜란드 이야기)」 (하권) (1765년)에서네덜란드어인 「Elektriciteit/에레키데리세이리테이」를 「모든 고통 있는 병자의 아픈 곳에서 불을 취하는 기구」. 「에레키테리」란, 「이 도구를 연구하여성취했을 때의 사람의 이름을 지금은 이 도구의 이름으로 한다」고 기술하고있다. 또한 모리시마(가쓰라가와) 추료도 「홍모잡어 「5권」」(1787년)에서 「이기구는 먼 서양의 사람, 전광의 이치를 추구하여 처음 만들어낸 완기翫器(장난감) 중 더욱 희귀한 물건」이라 기록하여, 「기(器) (의료기구)」 「완기(장난감)」로 인식하고 있었다. 상기 2개의 문헌은 사이토 세이(1967) 「일본어에 미친 네덜란드어의 영향」이나 스기모토 쓰토무(1995) 「에도의 번역가들」등 에서 거론되고 있다. 「불을 취하는 기구」 「여러 종류의 에레키테루를 새로만들었다」 「완기 중 더욱 희귀한 물건」이라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난학자들은 네덜란드어 ‘Elektriciteit’를 모두 「기(氣)」가 아닌 「기(器)」로써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레키테루는 그 후 오오츠키 겐타쿠의 문하생인 하시모토 소키치(담재曇齋)의 「阿蘭陀(오란다) 에레키테루 구리원(究理原)」(1811년)에서 「호박(琥珀) 」 「호백(虎魄)」의 의미라고 설명되어 있다. 또한 같은 책 「천기기제조병명의(天氣器製造倂名義)의 변(弁)」에서는 천기기(天氣器)로도 번역되고 있다. 그러나 하시모토 소키치가 「전(電)」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구리원(상권)」의 목록에는 「플라스크의 물로 사람을 몹시 놀라게 하는 도설(圖說) 및 전(電)을 나타내는 그림」과 같이 「전(電)」을 사용한 흔적을 확인할 수있다. 한편, 「전기」라는 자연과학의 용어는 20세기의 초반까지, 예를 들어 엄복(嚴復)과 같은 중국의 계몽사상가에게 있어서도 사용하는데 상당한 저항이 있었던 용어였다. 엄복 이전, 외교관인 곽호도(郭蒿燾 1905 :29)는 「윤기여파려일기(倫敦與巴黎日記)」에서 영국의 발전소를 견학한 내용을 「모든 전기는 석탄 속에서 나온다」라고 적고 있다. 곽호도는 1876년 12월에 영국에 부임하여 이듬해 2월부터 일본 공사 우에노 가게노리나 이노우에 가오루 등과 빈번히 교류하여, 1878년 1월에 우에노 가게노리로부터 「동경개성학교 일람(東京開成學校一覽)」이 도착하여 설명을 받았다는 사실을 일기에 적고 있다. 「동경개성학교일람」에는 「왈대기중전기(曰大氣中電氣)」 등 39과목의 학과 명이 거론되고 있다. 엄복과 대조적으로 곽호도의 일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는 우에노 등 일본의 외교관으로부터 받은 영향이라고 단언은 할 수 없지만, 그럴가능성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동경개성학교란 말할 것도 없이 도쿄대학의 전신으로, 1874년에 설치된 법학·화학·공학의 3과로 구성된 근대적인 학교이다. 동경개성학교의 과목에서는 「전기」는 확인할 수 없으나 메이지9 (1876)년 「동경개성학교 일람」「제10장」 「제2조」에는 「전기학용의 모든 기기 중 귀중한 것은 람스덴씨 플레이트 대전기기(大電機器), ···」 (p.27), 「제2년 물리학 전기유동론」 (p.47), 「제1 보통과」에 「대기 중의 전기」 (p. 59)라는 기술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곽호도의 일기 내용에 대한 신빙성은 매우 높다. 부언하자면, 「제1년 초보물리학」에는 아직 「정월력학, 동월력학」의 용어가 사용되었다.「전기」에 대해서는 서주(1870 : 58)도 「백학련환(百學連環)」 「총론」에서 프랑스의 철학자 A.콩트의 지식의 「3단계의 법칙」을 응용하여 「천둥(雷) 」과 「전기」의 관계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서주는 「천둥(雷)」에서 「전기」로 변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였는데, 「주공(周公)의 역리(易理)」나 「음양의 다툼」이라는 개념으로 해석했던 「전기」를 제2단계인 형이상학적개념으로 설명한 것은 분명하다. 이는 가와모토 고민 등의 난학자가 접촉했던 중국에서 전해진 한자역의 「전기」였다. A.콩트는 인간의 지적 발전은 신학적·형이상학적·실증적이라는 세 개의 「stage」 = 「장」(단계, 상태)를 거침으로써 완성된다고 주장한다. 이 점으로 미루어 A. 콩트의 지식의 「3단계의 법칙」으로 서로 다른 시기의 「전기」의 의미가 제2단계 혹은 제3단계에 있는 지를 검증하는 것은 이 학문의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주장하고 싶다. 이 법칙에 따라서 과학기술 용어의 의미를 정의한다면, 근대 한자어는 당연히 서양 근대 문명의 의미를 포함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현대의 「전기」라는 한자어는 A. 콩트가 주장하는 제3단계에 있는 말이며, 과학사의 시점에서 본다면 산업혁명의 의미를 반영하고 있다고 규정하지 않을 수 없다. 제2차 산업혁명(전기·석유)의 통설은 나라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19세기 후반이라는 것은 거의 일치한다. 즉, 전화기·축음기(1877), 전구(1879), 발전기(1880)가 발명된 후의 개념이라는 말이다. 상기의 고찰 결과 「전기」는 일본의 「월력(에레키)」과 「기구」나 「기계장치 」로써 난학에서 출발하였으나, 중국의 한역 양서는 보다 빨리「Electricity 전기」의 본질을 밝혀냈다는 점이 확실하다. 그 때문에 중국어의 한역 양서에서 음양론이나 오행설 등으로 설명하여 번역한 「전기」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이미 중국어의 「전기」와 일본어의 「월력(에레키)」에는 그 의미영역이 상이했었다. 그 후 지식의 제2단계에 있는 중국어의 「전기」를 차용하여 「에레키 」 대신 사용했는데, 그 다음에 제3단계의 「전기」가 외교관을 통해서 중국으로 역수출되었다고 여겨진다. 물론 「근대 한자어」에 대한 문헌을 세밀히 조사하여 중국어인지 일본어인지를 묻는 대조연구가 필요하지만, 「근대한자어」에 대하여 그 말의 당시 의미용법이 현재와 같은지 어떤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덧붙여 말하자면 그 용어의 사용이 일본과 중국, 한국의 근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바로 「근대 한자어」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Enlightenment thinkers of the Meiji Period devised a number of concepts using Chinese words in order to fully influence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and to express the new academic ideas. The new Chinese words often included the words of abstract concepts such as “Philosophy”, “Psychology”, “Democracy”, and “Science” and also included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such as “Electricity.” These newly devised Chinese words were called the “Modern Chinese Words” in this study, referring to the process of implanting the modern Western civilization. Here, the term “Modern” means “Modern Western” instead of “Modern Japanese.” There three basic problems relat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Modern Chinese.” They are the problem of the word structure, and the formation and the change of the word’s meaning. In addition, if there were borrowings of words between Japan, China, and Korea, the borrowing relationship becomes another important problem. This study focused on “Electricity”, an important term representing the concept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electricity”, there is an established theory that “electricity” was transmitted to Japan from the Chinese as a translation of electricity. Still, however, there are few problems. One is that "electric" is regard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Ereki”, the Dutch translation that corresponds to “electricity” before “electricity” was introduced to Japan. Another one is the problem of whether “electricity” at the time meant the “electricity” today. Ayao Kuwaki (1935: 4) argues in "Erekiteru Story" that “As you are well aware of, the term ‘electricity’ was introduced from China later.” Takao Yamada (1958: 420) classified the term to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Western books translated into Chinese.” For this, when I had a presentation at the Society of Japanese Linguistics in 2001 where I classified “electricity” as the modern Chinese word of Japan, I was rectified by the questioner,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it is Chines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clear how it became established by which criteria. Particularly for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 that reflect modernity such as “electricit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Three Stages Law” of A. Comte or the criteria of science history rather than determining it only by the order of textual appearance. The view that the term, “electricity”, was derived from Chinese existed for a long time; Koumin Kawamoto (1857: 3) indicated in “Kikai Kanran Kougi” that the Chinese translated the word that corresponds to the Dutch word, “Erekiteru”, as “electricity” recently. The theory of “electricity” coming from Chinese by Koumin Kawamoto (1857) or Ayao Kuwaki (1935), and Takao Yamada (1958) does not mention specific Chinese literature. On the contrary, Toshihiko Matsui (1983) clearly indicates that the term "electricity" was found in the “Universal Geography (1853~54)” by the English missionary, William Muirhead by indicating the specific literature. In addition, Yatsumimi Toshifumi (1992: 118)discussed “Hakubutsu Tsusho (1851)” translated by the American missionary, D.J. MacGowan in detail and argued that the origin of the word "electricity" is the “Hakubutsu Tsusho” by MacGowan. However, the argument that the modern term of the “electricity” was originated from China sole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translation of “Hakubutsu Tsusho” was dated the earliest somewhat lacks credibility, because the meaning of the word translated into “electricity” at the time does not necessarily square with the meaning of modern day “electricity.” As it was suggested in the description of “Hakubutsu Tsusho”, the term was also used to indicate "frictional electricity" or "electrostatic.” This is far from the concept of modern “electricity” which is understood as a symbol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Yatsumimi Toshifumi (2007: 93) also argued that, China uses “電(電)” as “electricity” is not “氣” whereas Japan still uses “電氣” and Korea also uses the Hangeul notation for “electricity.” Although he did not clearly argued he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term, “電氣” had not been used in China since then. However, “電氣/ electricity” has been widely used in the form of “電氣化 (Electrify)”, “電氣工程學 (Electric Engineering)”, and “電氣工 程師 (Electric Engineer).” Contrary to the argument that the term “electricity” was derived from the Chinese, some Chinese researchers recognize it as the modern Chinese word of Japan. For example, Li Wong (1980: 526) said all compound words prefixed by “電” were originated from the Japanese.” Recently, Houquan Zhang (2006: 58) said "Hakubutsu Tsusho" (the 1851) is perhaps the earliest Chinese literature that used the term “electricity” and argued that “電氣 (electricity)” is the compound word of “電 (thunder)” and “氣 (energy)” where “氣 (energy)” reflects the concept of ancient Chines philosophy and that the instant communication of wired telegram accelerated the formation of the word, “electricity.” “Ereki” and “Erekideriseiritei”, the Japanese transliteration of the Dutch word, ‘Elektriciteit’ already had the meaning of “器 (device)” before the Chinese word “電氣 (electricity)” was transmitted to Japan. Rishun Goto described “Elektriciteit” as the “device which takes fire from the pain of all suffering patients” and “Erekiteri” is the “name of the person who developed this device and the name is now used to indicate the device” in “Dutch Tale” (Vol. 2) (1765). Churo Morishima also recorded in “Komo Zatsuwa (Vol. 5)” (1787), “This is a rarer object among the toys that Western people built for the first time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ic lightning”, regarding it as a “device (medical equipment)” or toy. The two literatures above were mentioned in “Dutch Influence on Japanese Language” by Sei Saito (1967) or “Translators of Edo” by Tsutomu Sugimoto (1995). The fact that it was recorded as the “device to take fire”, “~ made a variety of types of Erekiteru ~”, and “a rarer object among the toys~”, shows that the scholars of Dutch studies have regarded the Dutch word, “Elektriciteit”, as “器 (device)” instead of “電氣 (electricity).” Later, Erekiteru was described to be “amber” in “Oranda Erekiteru Kumoritoki (1811)” by Soukichi Hashimoto, a pupil of Gentaku Otsuki. Also, is also translated as weather instrument (Erekiteru) in “天氣器製造倂名義” of the same book. However, It does not mean Soukichi Hashimoto did not use the term “electric.” The list of “Kumoritoki (Vol. 1)” shows the trace of using “電” in the “Diagram or figure that makes people greatly surprisesd with the water in the flask” in its list. On the other hand, the natural science terms called “electricity” was a term that faced considerable resistance in its use even for Chinese enlightenment thinkers such as Fu Yan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century. Songtao Guo (1905: 29), a diplomat before Fu Yan, described that “all electricity comes from coal” his report on the visit to a power generation plant in England in <London and Paris Diary> dated September 12, 1877. Songtao Guo arrived in England in December 1876 and frequently exchanged with Japanese consul Kagenori Ueno and Kaoru Inoue from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and he wrote in his diary that he received “Tokyo Kaisei School List” as a gift from Kagenori Ueno with explanation in January 1878. The “Tokyo Kaisei School List” mentions the names of 39 subjects including “Atmospheric Electricity.” In contrast to Fu Yan, it is possible that the “electricity” used in Songtao Guo’s diary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diplomats such as Ueno although it cannot be affirmed as so. Needless to say, Tokyo Kaisei School established in 1874 is the predecessor of the University of Tokyo, and is a modern school which was composed of three departments including law, chemistry, and engineering. Although it was unable to find “electricity” in the curriculum offered by Tokyo Kaisei School, the credibility of the contents of Songtao Guo’s diary is quite high considering the descriptions such as “The most precious one of all machines for electrical science is Mr. Ramsden’s large electric machine called ‘Plate’ … (p. 27)”, “Second Year Physics - Electrical Flow Theory” (p. 47), and “Electricity in Atmosphere” in “1. General” (p. 59) in Article 2 of Chapter 10 of the <Tokyo Kaisei School List> written in Meiji 9 (1876). In addition, the <First Year Elementary Physics> used terms like “Static Ereki (Electricity) Science, Dynamic Ereki (Electricity) Science.” For “electricity”, Amane Nishi (1870: 58) also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under and “electricity” in a simple manner using the “Three Stages Law” of A. Comte., the French philosopher in the “Introduction” of the <Encyclopedia>. Amane Nishi has been described the process of change from the “thunder” to “electricity”, and it is clear that he explained “electricity” as a metaphysical concept in the second stage while it had been interpreted as the concept of “Zhougong’s Logic of Change” or the “Struggle between Yin and Yang.” This was clearly the “electricity” imported from Chinese translation that the scholars of Dutch studies such as Koumin Kawamoto contacted. A. Comte stated that human intellectual development is completed as it passes through three “stages” = “places” (steps, states) such as theological, metaphysical, and empirical stages. Therefore, I wish to argue that verifying whether the meaning of “electric” in different times is in the second or third stage based on the “Three Stages Law” of knowledge by A. Comte. is an important issue of this study. If you define the meaning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terms in accordance with this law, the modern Chinese words must naturally include the meaning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In other words, “electricity” as a modern Chinese word is the word in the third stage insisted by A. Comte. and has to be considered that it reflects the meaning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science. Although the common view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electricity and petroleum) i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untry, they all agree that it took place in the late 19th century. In other words, it is the word of the concept that came after the invention of telephone and phonograph (1877), light bulb (1879), and generator (1880). According to the discussion above, it is clear that China``s translation of Western books identified the essence of the "electricity" earlier while Japan started to understand “Ereki” as a “device” or “mechanical device” from Dutch studies. For that, the meaning of “electricity” in Chinese and that of “Ereki” in Japanese already had different area of meaning at the time China acknowledged “electricity” as it was described with the Yin-Yang theory or the Five Elements theory in Western books translated into Chinese. Later, Japan borrowed “electricity” in Chinese in the second stage of knowledge and used it instead of “Ereki” and it is conceivable that “electricity” in the third stage of knowledge could be exported back to China through diplomats. A controlled study inquiring whether a word is Chinese or Japanese by thoroughly reviewing the literatures on “Modern Chinese” is of course necessary; however, clarifying whether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word at the time were the same as the current meaning and usage of the word is all the more important. In other words, exploring how the use of the word influenced the modernization of Japan, China, and Korea is the very purpose of studying “Modern Chinese Words.”

      • KCI등재

        20세기 이래 중국 상고음(上古音) 연구의 성과 및 방향

        張莉莉 ( Zhang¸ Lili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5

        이 글의 목표는 20세기 초부터 지금까지의 중국 上古音에 대한 연구 성과, 특히 최근에 나온 연구에 주목하여 정리하고, 上古音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약 백 년 동안의 연구사를 간략하게 살펴본 후, 上古音 연구에 있어서 논쟁거리인 음절 유형, 운미, 모음체계, 介音의 존재 여부, 기본 자음체계, 복자음체계, 그리고 관련된 형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최근 주류 입장에 따르면 上古漢語의 陰聲 운미에는 유성 폐쇄운미가 없었고 개음절을 지니며, 또한 성조가 없었고, 후치운미가 중고시기에 성조를 이루게 된다. 모음체계의 경우 대략 ‘i, Щ, u, e, a, o’와 같이 6개 모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上古漢語에는 모음성 介音이 존재하지 않고 介音 /r/가 많은 역할을 했다. 한편, 기본 자음 체계에서 논의된 來母와 喉音 계열 및 무성 비음과 무성 유음에 대한 관점은 최신 이론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精母 파찰화 등에 관하여는 아직 異論이 존재하며, 자음군의 경우는 대개 전치자음과 후치자음을 통하여 복자음 체계를 해석하고 있다. 또한, 上古漢語의 재구에 있어서 형태의 기능과 음운 형식에의 대응 관계가 최근의 연구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마지막으로 上古音의 연구 방법, 연구 자료, 연구 범위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여 보았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focus on the achievements of Old Chinese from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till the present, especially from current studies and controversial views to identify trends in Old Chinese studies. In this paper, it presented a brief look at the research history of Old Chinese about 100 years, and focused on the study of syllable types, codas, vowel systems, an existence of the medial, simple initials, initial clusters, and related morphological forms. According to the recent mainstream opinions, Old Chinese yīnshēng rhyme group did not have voiced stop, neither the intonation in Old Chinese, while postcodas became intonations in Middle Chinese. In the case of vowel systems, it can be considered to be consist of the six vowels, such as ‘i, Щ, u, e, a, o’, and there was no vocal medial but /-r-/, which played a major role as medial in Old Chinese. The perspectives of initial /r/, uvular initials, voiceless resonants do not differ much in recent research, however, views about the reconstruction of (MC.)/ts/ in Old Chinese, and whether it was an affricative initial are quite different. The system of initial clusters were mainly consist of pre-initial and post-initial. Furthermore, the function of morphological forms and its correspondence to phonetic forms have drawn attention in recent research. Finally, it presen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rough looking at the research methods, materials, and scope of the study in Old Chinese.

      • KCI등재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역방 ( Yi Fang Zhang ),방명애 ( Myong Ye B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편의군집표집한 중국 북경 소재 3개 고등학교의 학생 1,200명으로부터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 근거하여 위험군 기준 점수인 42점 이상을 받은 11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 동기는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가 가장 높은 응답율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은 메신저였으며, 스마트폰 사용에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폭넓은 인맥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과 상관이 있는 변인은 학교생활 부적응, 스트레스,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들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One thousand two-hundre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three high schoo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ent by mail. The data of 117 students whose smartphone addiction scores were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correlations, and 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motivation for using a smartphone was to communicate with close people.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of a smartphone was messengers. The most satisfactory aspect of a smartphone was to form a support network. Second, smartphone addi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life adaptation, while smartphone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Third,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had impact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tress,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longer hours of using a smart phone,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국 근현대 통속문학의 성격 논고

        張乃禹(Zhang Naiyu) 중국어문학연구회 2021 중국어문학논집 Vol.- No.129

        Chinese modern and contemporary popular literature was formed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and context of Chinese literature,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negotiation and convergence with full-scale literature, and is placed on an extension of Chinese traditional literature by utilizing Chinese characteristics in cultural ideas and aesthetic idea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numerous modern elements such as pop culture, electronic media and market operation are melted, forming another form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So "modern city," "popular media" and "citizen consciousness" can be said to be three basic elements closely related to Chinese modern and contemporary popular literature. However, the phenomenon of "patterning" in the narrative and aesthetic expression of Chinese modern and contemporary popular novels, which have both been influenced and constrained by mass media and marketability, emerges as one of the prominent features. Popular literature is inseparable from popular culture. The formation of large cities with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popular culture, the development of media, the emergence of civic groups, and the composition of civil society provided indispensable premises and fou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pular literature. Citizenship" is a basic component closely related to Chinese modern and contemporary popular literature. China"s distinctive urban pop culture has now been shaped by the huge Chinese citizen class, and the prosperity of popular literature has developed in this very stable yet rapidly changing pace of the city"s pop culture atmosphere. The mass media has changed the concept of creation and aesthetic form of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novels. The fact that mass media hav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ass input and production affects popular literature. Thus, popular literature secures its identity as a media product based on the premise of mas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 patterned popular novels are welcomed and loved by readers because, above all, the combination of patterns itself is full of joy. Patterns are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on of popular novels, which cannot be popular novels without formalized structures, certain creative patterns and formalized paradigms.

      • KCI등재

        현대 중국 대학교육개혁 변천과정 분석

        장리리(Zhang, Li-Li),김병주(Kim, Byoung-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6

        본 이 연구는 현대 중국 대학교육정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211공정과 985공정, 2011계획의 탄생 배경, 주요 목표, 중심 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11공정은 1991년 중국의 8차 5개년 계획(1991~1995) 중 제기되었다. 211공정의 중요 목표는 대학교육의 질과 과학연구수준, 그리고 학교경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985공정은 1998년 5월 4일 강택민의 발언에서 탄생했다. 985공정의 주된 목표는 세계일류대학교와 국제적으로 유명한 높은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교를 만드는 것이다. 이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재정은 관련 부서와 지방, 기업이 함께 마련하도록 하였다. 2011계획은 2011년 4월 24일 후진타오의 칭화대 100년 축제대회 중요한 연설에서 시작되었다. 2011계획의 최종 목표는 "국가인재급구, 세계일류"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211공정, 985공정, 2011계획은 중국 대학 교육의 근 20년간의 3대 이정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11공정은 중국에 높은 수준의 대학 육성의 길을 개척하였고, 985공정은 세계 일류 대학의 육성과정을 가속화하였으며, 2011계획은 새로운 시대적 도전을 맞이하기 위한 역량을 확장하였다.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reform and transition process in the modern Chinese university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 and opening policy, especially, after the 1990s to corporate with the invigorating the country through science and education policy, till now. Chinese higher educational missions of reform and development can be summarized with one sentence, which is constructing the first-class university. To realize such missions, Chinese government successively implemented the University of 211 Project and the University of 985 Project policies. After achieving a remarkable result of the University of 211 Project and the University of 985 Project, Chinese government has also implemented on another important project on colleges and universities, whose name is the Plan of 2011. The Plan of 2011 is the extension of the University of 211 Project and the University of 985 Project. According to the various of requirements on Chinese higher education, three projects have their different emphasis and they also have very clos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s result, the Plan of 211 is also the part of this research paper. By analyzing the three important projects implement background, development details, and their effects upon implementation, we have a clear look at the modern Chinese university education's development and transition process. And by implementing the strategy of rejuvenating the country through science and education, as well as innovation strategy, modern Chinese university education will step forward for a promising future.

      • SCOPUSKCI등재

        생장단계별 배 과육에서 추출된 펙틴의 이화학 특성 및 포도당 흡수 저해 효과

        선(Xian Zhang),이범수(Fan-Zhu Lee),은종방(Jong-Bang Eun)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5

        상품성이 낮은 배의 부가가치 증대와 배 펙틴의 산업적 이용을 위한 목적으로 생장시기에 따라 배 과육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처리법에 의한 펙틴의 추출수율은 배 과실이 성숙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유과로부터 추출한 펙틴의 L<SUP>*</SUP>값은 미숙과나 성숙과에서 추출한 펙틴의 L<SUP>*</SUP>값에 비하여 낮았고 a<SUP>*</SUP>값과 b<SUP>*</SUP>값은 더 높았다. 순도는 22.77-43.07%로 비교적 낮았고 메톡실함량은 3.44-6.73%, DE값은 21.08-41.25%로 저메톡실펙틴이었으며 품종내 성숙과에서 추출한 펙틴의 메톡실함량이 가장 높았다. 고유점도는 1.90-3.81 dL/g이었고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는 약 30% 혹은 그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효과를 보였다. 메톡실함량과 DE값은 고유점도와 5% 수준에서, 포도당 흡수 지연 효과와는 1% 수준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고 고유점도는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과육에서 산처리법으로 추출한 펙틴은 저칼로리 식품 생산에 그리고 기능성 식품 개발에서 좋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펙틴 추출 시 순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더 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roperties of pectin extracted from flesh of Asian pear in 3 cultivars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The extraction yields of pectin by the acidic treatment decreased during the growth. The L<SUP>*</SUP> value of young fruit was lower than unripe and ripe fruit, and a<SUP>*</SUP> and b<SUP>*</SUP> value were higher in the same cultivars. The degree of esterification (DE) and intrinsic viscosity of pectin were 21.1-41.3% and 1.90-3.81 dL/g, respectively. The pectin extracted from flesh of pear showed about 30% glucose retarding effect. The DE value had a high correlation with retarding effect on glucose transport and intrinsic viscosity (p<0.01 and p<0.05).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ectin seems to affect the retardation of glucose transport in blood. Pectin extracted from flesh of Asian pear by acidic treatment could be a good source to develop low calorie and functional food.

      • KCI등재

        “V+ta+量詞短語”句式中虛指賓語“他”的硏究

        張?(Zhang, Xin)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07 중국어교육과연구 Vol.5 No.-

        This paper mentioned that ta(他) has a process of the grammaticalization from notional word to functional word in sentence. It has a function to finish the sentence and expresses the quantity of the subjectivity. It includes four forms: 1. “V+ta+Measure Word Phrase+N”(such as 吃他一??), 2. “V+ta+Measure Word Phrase”(such as 走他一?), 3. “V+ta+?+Idiom”(such as 打他?落花流水), 4. “V+ta+?+A”(such as 喝他?痛快).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