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九ㆍ一八”事變前東北朝鮮人漢語教育狀況分析

        ?莉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11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14

        본고에서는 주로 1905년 일본 제국주의가 조선을 압박해 을사조약을 체결한 후부터 1931년 만주사변까지 26년간 만주한인들의 중국어 교육 상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만주한인은 인구가 비교적 많고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본문은 대표성을 띄는 간도지역을 구체적 연구대상으로 삼아 교육관리자의 차이에 따라 3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만주한인들이 자발적으로 개설한 교육기관의 중국어 교육 상황에 대해 주로 소개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조선 이민이 대거 유입되면서 서당, 학당, 심지어 신식 학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이들 교육기관의 교과과정을 고찰한 결과 모국어 교육에 비해 중국어 교육은 매우 열악해 다수의 학교에서 중국어 수업은 개설조차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빠른 시간 내에 삶의 터전을 마련해야 했던 당시 이민 집단의 실제 수요와 어긋나는 것으로, 연구자는 그 원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밖에 특수한 당시의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간도한인 교육은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중국 정부와 일본 제국주의의 압력 속에 시시각각 동화(同化)의 위험에 놓였기 때문에 당시 이들의 중국어 교육은 특수한 시대적 특징을 나타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중국정부가 만주한인들에게 취했던 주요 정책에 대해 소개할 것이다. 통치계급으로서 중국 정부는 동북지역을 삼키려는 일본 제국주의의 야심을 억제하기 위해 만주한인들을 대하는 데 있어서도 복합적인 태도를 갖게 됨에 따라 강경책과 회유책을 모두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의 만주한인들의 중국어 교육에 대한 태도를 소개하였다. 일본 제국주의는 간도를 동북 침략의 교두보이자, 중국 내륙으로 진입하는 ‘뒷문’으로 인식하였다. 일본 제국주의는 만주한인들에 대해 이들을 동북지방을 침략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거나, 노예로 사용하고자 하는 이원화된 정책을 사용했기 때문에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간도와 만철(滿鐵) 두 지역 사이에는 각기 다른 특징이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20세기 초부터 만주사변 전까지 만주한인들의 중국어 교육 상황 및 특징에 대해 정리, 분석하고 조선족 중국어 교육 발전의 과정을 밝혔다. 또한 이 시기 중국어 교육 현상을 통해 조선족의 중국어 교육이 기타 소수 민족과 상이한 역사적 원인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 인식 연구— 경기 A 지역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

        최현미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3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41

        본고는 중국어 교육계가 직면하고 있는 학습자 감소의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며 교육계의 주요 학습자로 대두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중국어 평생교육으로 유인하고자 경기도 A 지역의 성인학습자 399명을 대상으로 희망하는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비용, 시간 등의 개괄적 욕구와 중국어 평생교육 수업 선택 방해 요인, 대상자의 특성별로 도출된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심층적 니즈 등을 욕구 조사의 주요 조사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설문조사(Survey) 방법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사회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결과로서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학습 동기로 ‘미래 준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또한 향후 듣고 싶은 프로그램에서도 ‘취·창업’과 같은 ‘미래 준비’와 연관된 프로그램에 더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 준비’가 가장 높은 평생교육 학습 동기임에도 불구하고 조사 대상자들의 ‘취업 중국어’분야에 대한 선호도는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심층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성별, 연령별로 타겟화된 수업 개설과 홍보 전략을 시행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실전 취업을 목표로 하는 ‘면세점+의료코디네이터 중국어 수업’ 등의 패키지 수업 운영이나 수강자 혜택 등의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학습자 발굴의 전략 수립과 실행 등의 방법을 제안해 보았다. 셋째, 성인학습자층의 실제적인 욕구를 반영하여 평생교육 중국어 수업의 학습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어 평생교육 수업 신청을 방해하는 요인 중 주요하게 제시된 ‘중국어 수업의 필요성 부족’, ‘시간 부족’ 그리고 ‘강사진의 신뢰 부족’이라는 세 가지 요인의 해결 방안은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declining learners facing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world and to attract adult learners who are emerging as major learners in education as learners of new Chinese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first conduct a consumer-centered survey of adult learners' needs for lifelong Chinese education programs,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is in various way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99 adult learners in area A of Gyeonggi-do. The general needs of the type, cost, and time of the desired Chin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factors that hinder the selection of Chinese lifelong education classes, and the in-depth needs of Chin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deriv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method and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ocial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lifelong Chinese education programs.

      • 대만 한국어교육을 통해 본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의 과제와 전망

        정윤도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3

        본 연구는 대만의 중국문화대를 중심으로 올해로 65주년을 맞는 대만 한국어교육의 교육과정 변화를 살펴보고 그 경험을 토대로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론 제2장에서는 대만에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 측면에서 대학교, 고등학교, 기타 영리 목적의 부속기관 및 사설교육기관으로 나누어 최근까지의 교육 현황을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대만 중국문화대의 학습자들의 변인과 학습 목적을 중심으로 대만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당면한 과제를 분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제4 장 결론에서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이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과제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대만은 대학교에서 고등과정으로 한국어교육 역사가 시작된 지 65년에 이르고 현재는 세 대학에 학부와 석사과정이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는 2018년에 한국어가 정식으로 대만 고등학교 제2외국어로서 채택되면서 현재 124개 고교에서 총23,173명이 학습하고 있다. 한편 대만에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2006년 이래 대만에서 시행되고 있는 TOPIK 응시자수에서도 알 수 있다. 2018년 제57회 TOPIK 이후로 응시 자수가 1.1만명을 돌파하며 세계 순 제4위, 2020년에 시행된 제60회는 코로나 사태로 전세계 63개국의 시험이 취소됨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대만은 4,848명이 참가하는 이변을 낳아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기도 하였다. 또한 오늘날 2019년 코로나 사태 이래 박차를 가하며 다가오는 메타버스 시대의 해외 한국어교육 향후 과제는 분명 새로운 환경 변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예견하건데,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은 다양한 학제하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으로 분화되어 실시될 전망이며, 오프라인 환경에서 온라인 교육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에 대처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인 보조교사의 직무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선방안

        김민영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2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36

        교육부는 학교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실용 외국어 교육의 틀을 마련하고, 모두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원어민 교사를 초청하는 교육 교류 사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국가에서 실시하는 원어민 교사 초청 사업 중 하나인 CPIK사업은 2012년을 시작으로 해마다 원어민 중국어 보조교사를 초청하여 초·중등 교육기관에 파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인 보조교사를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교사연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했다. 먼저 한국과 중국에서 실시하는 연수의 목적을 명확하게 설정한 후, 연수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중국인 보조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능력을 설정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중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인 교사와 중국인 보조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필요한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하나는 사전연수에 편성된 협력수업과 관련된 강의는 온라인 방식으로 운영하여 한국인 교사도 참여하게 하고, 두 교사가 협력수업 운영에 대한 계획, 지도, 평가 등의 과정을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온라인 보수교육을 추가편성하여 중국인 보조교사에게 지속적으로 필요한 교육뿐만 아니라 중국어 교육 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하는 교육적 환류 기능을 담당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내용 언어 통합학습(CLIL)의 중국어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 한국문화를 주제로 한 통합수업

        임지영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2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36

        우리 고유의 가치와 문화를 세계에 잘 알릴 수 있는 언어 능력을 갖추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보고,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중국어와 한국의 문화를 콘텐츠로 결합한 새로운 언어교육법의 필요성을 느껴 연구를 시작하였다. ‘내용 언어 통합 학습(CLIL)’을 중국어 교육에 적용해보려는 초보적인 논문으로 CLIL의 이론에 관해 소개한 후, 한국 대학의 중국어 교육 상황에 적합한 수업모형과 그에 따른 간략한 수업 설계안을 제시하여 중국어 교육에 적용 가능할지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CLIL은 주제에 따라 확장과 변형이 가능하고, 대략적인 주체 토론에서 세밀한 주제 토론으로 단계가 올라갈수록 심화 수업이 가능하며, 내용만 적절하게 구성된다면 다른 제2 외국어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무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엿보았다. 한국의 중국어 교육 환경에 CLIL을 적용하려고 할 때 해결해야 하고,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시도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여 앞으로도 계속 연구해 나갈 계획이다.

      • KCI등재

        고등학교『중국어Ⅰ』문화영역 문항 분석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모의평가를 중심으로 —

        박나현,서형규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3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ope of instruction in the cultural section taught at school through high school『Chinese I』 and the degree of reflection in the questions of the CSAT, and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learning and evaluation and the systematicity. To this end, the entire cultural domain covered in 11 high school 『Chinese I』 textbooks currently used in high schools was organized, divided into 92 categories, and organized into tables. Most of the questions introduced cultural items, which are the core topics of textbooks, and made them the subject of evaluation, but there are still quite a few questions that go beyond the scope of culture every year. Finally, through suggestions on the structure of textbooks and curricula, the future direction of Chinese cultural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was presented. 본고는 고등학교『중국어Ⅰ』을 통해 교실 현장에서 교수 되는 문화영역의 지도범위와 수능 문항의 출제 반영도를 살펴 학습과 평가의 유기적 연계성과 평가지 문항 출제의 체계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 항목의 출제 기준이 되는 교과서의 문화소개 부분을 기초자료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능과 직결되는 9월 전국 모의평가 및 수능의 문화영역 문항을 면밀히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실 현장에서 교수 되는 문화영역의 지도범위와 수능 문항의 출제 반영도를 살펴 유기적 연계성과 출제의 체계성에 대해 검토한 후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고의 분석 대상은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출제된 2017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 7년간의 수능 문화영역 문항과 더불어 같은 해에 실시된 9월 모의평이다. 중국어 과목의 수능 모의평가는 연 4회씩 실시되는데, 두 번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이며, 두 번은 서울특별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이 한 번씩 주관하는 ‘전국연합학력평가’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는 매해 6월과 9월에 실시되며, 그중 9월 모의평가는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직접 출제하는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로 당해연도 수능을 예측하기에 가장 좋은 시험으로 알려져 있다. 즉 수능과 가장 연계성 있게 출제가 된다고 볼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도 9월 모의고사의 문화영역 문항을 분석하면 수능과 비슷한 수준의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고등학교『중국어Ⅰ』교과서 11종의 문화영역 내용 전체를 분석의 기초자료로 삼아 교과서와 수능시험이 얼마나 연계성을 가지는지도 확인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